목차
Ⅰ. 문제 제기
Ⅱ. 도입 배경
Ⅲ. 도입 방식
Ⅳ. 쟁점 검토
Ⅴ. 결론
Ⅱ. 도입 배경
Ⅲ. 도입 방식
Ⅳ. 쟁점 검토
Ⅴ. 결론
본문내용
제 비중(%)
20
77
9
가격지지 비중(%)
13
19
14
▣ 가격지지 정책
구 분
미국
EU
일본
가격지지 형태
비상환 융자제도,
융자차액보상제도
개입가격 운영
수매제
(정부미, 자주유통미)
지지수준
총지원금액 :
89억불
총지원금액 :
73억ECU
총생산량의 50% 수준
▣ 직접지불 정책 구조
구 분
미국
EU
일본
직불제 형태
생산자율계약제,
환경보전직불제
보상직불제,
환경직불제,
조건불리직불제
전작보상제,
도작경영안정제,
조건불리직불제
대상면적 비중
(총 농경지 대비)
생산자율계약 49%,
환경보전 4%
보상직불 42%,
환경직불 20%,
조건불리 20∼50%
전작보상 36%,
조건불리 34%
< 미국 >
1) 가격 지지 정책
▣ 유통지원 융자제도 (Nonrecourse Marketing Assistance Loans)
o 수확기 농산물 담보 융자로 홍수출하를 억제하고, 시장가격 하락시 담보 농산물로 상환토록 하는 가격지지제도
o 지원 대상
- 작물 : 밀, 보리, 옥수수, 수수, 귀리, 면화, 쌀 등 16개
- 농가 : 생산자율계약 프로그램 참여 농가
▣ 융자차액보상제도 (Loan Deficiency Payment)
o 융자금을 받지 않은 농가의 경우, 시장가격이 융자가격보다 낮을 때 그 차액을 정부가 보조금으로 지급
o 지원 규모 (2000년) : 72억 달러
2) 직접 지불 정책
▣ 생산자율계약제도
o 농가는 정부와 계약을 맺고 농지보전 등 일정조건으로 매년 일정액의 보조금을 지원받는 제도
- 과거 부족불 지불제를 96년부터 생산중립적 직불제로 전환
o 지원 대상
- 작물 : 밀, 옥수수, 수수, 보리, 귀리, 면화, 쌀
- 면적 (98년) : 8,611 만 ha (전체곡물재배면적의 49%)
- 농가 (98년) : 173만호 (전체농가 219만호 중 79%)
o 지원 규모 (2000년)
- 총 106억 달러, ha당 123달러 (쌀은 ha당 534달러)
▣ 환경보전 직접지불제 (CRP, EQIP, WRP)
o 농지 보전, 환경 보전을 추구하는 농가에 대해 보조금 지급
< EU >
1) 가격 지지 정책
▣ 정부수매제도
o EU 역내 시장가격이 개입가격(지지가격) 이하로 하락할 경우 정부 수매를 통해 농산물 가격을 지지하는 제도
o 92년 공동농업정책 개혁으로 99년까지 개입가격을 15% 인하
2) 직접 지불 정책
▣ 보상지불제도 (compensatory payment)
o 92년 이후 농산물 지지가격 수준을 인하함에 따른 농가소득 감소분을 보조금으로 지급
o 지원 대상과 규모
- 대상 : 곡물류, 유지작물, 쇠고기
- 면적 (99년) : 535 만 ha (EU 전체 농경지의 42%)
- 금액 (98년) : 총 282억 ECU
- 소유 경지의 일정 부분은 휴경 의무 (97년 이후 5%)
▣ 환경보전 직접지불제
o 92년 이후 비료 농약 감축, 유기농업, 환경친화적 영농활동을 하는 농가에 대해 보조금을 지급
o 참여 면적 : EU 전체 농경지의 20%
o 지원 금액(2000년) : 총 21.6억 달러 (ha당 45∼90만원)
▣ 조건불리지역 직접지불제
o 75년 이후 산악지역 등 조건불리지역의 농가에게 정상지역과의 소득격차 해소를 위해 보조금을 지급
o 참여면적 : 독일 50%, 프랑스 47%, 벨기에 20% 등
o 지원 금액 (2000년) : 총 5.5억 ECU (ha당 2.5∼20만원)
< 일본 >
1) 가격 지지 정책
▣ 정부 수매 제도
o 95년 신식량법 제정으로 생산조정 및 적정비축에 의해 전체수급을 조정하기 위해 정부미와 자주유통미를 수매
o 쌀 수매량 (99년) : 473만톤 (전체 생산량의 51.5%)
2) 직접 지불 정책
▣ 전작 보상 제도 (쌀 생산조정제도)
o 69년 이후 쌀 과잉해소대책의 일환으로 논의 전작 및 휴경 등 생산조정을 실시한 농가에 대하여 보조금을 지급
o 생산조정 면적 (99년) : 96만 ha (전체 논면적의 36%)
- 전작 작물 : 보리, 콩, 사료작물
- 보조금 단가 (2000년) : 20만∼40만엔/ha
▣ 도작경영안정제도
o 98년 이후 농가의 경영안정을 위해 쌀 가격이 하락할 경우 일정한 조건하에서 차액의 일부를 보조금으로 지급
o 지급단가 : 시장가격과 보전기준가격(3개년 평균)과의 차액의 80%
o 지원 금액 (99년) : 1,180억엔
▣ 중산간지역 직접지불제
o 중산간지역의 경작포기를 억제하여 농업의 다원적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2000년부터 보조금을 지급
o 대상농지 : 약 90만 ha
o 지급단가 : 평탄지와의 생산비 격차의 80% (논은 80∼120만원/ha)
o 지원금액 (2000년) : 약 700억엔 (국비 330억엔, 지방비 370억엔)
2. 정부의 양정관련 예산 감축 추이
▣ 쌀 AMS의 감축으로 수매량이 매년 감소하고 수매가격도 동결
내지 소폭 인상에 그쳐 정부의 쌀 수매관련 비용이 매년 크게
감축되고 있음
▣ 양곡관리사업 결손
o 1994년 : 6739억원
o 1998년 : 1001억원
< 정부의 양곡관리사업 결손 추이 >
(단위 : 억원, 회계년도 기준)
구 분
1994
1995
1996
1997
1998
수익 (A)
12,124
11,739
15,370
6,882
7,633
O 양곡매출액
12,027
11,700
15,316
6,830
6,434
O 기타
97
39
54
52
1,201
비용 (B)
18,863
17,275
19,333
8,924
8,634
O 양곡매출원가
15,843
13,828
18,458
8,170
8,001
O 차액수매보전
2,073
2,349
633
491
299
O 조작비
675
823
234
169
155
O 관리비
272
275
5
13
13
O 기타
-
-
3
81
166
당기순이익
(A-B)
△6,739
△5,536
△3,963
△2,042
△1,001
< 참고 >
※ 추곡수매량
(정곡기준 천톤)
1,512
1,375
1,241
1,224
928
※ 추곡수매가격
(1등품원/가마)
132,680
132,680
137,990
137,990
145,580
자료 : 농림부, 양정 자료, 각년도.
20
77
9
가격지지 비중(%)
13
19
14
▣ 가격지지 정책
구 분
미국
EU
일본
가격지지 형태
비상환 융자제도,
융자차액보상제도
개입가격 운영
수매제
(정부미, 자주유통미)
지지수준
총지원금액 :
89억불
총지원금액 :
73억ECU
총생산량의 50% 수준
▣ 직접지불 정책 구조
구 분
미국
EU
일본
직불제 형태
생산자율계약제,
환경보전직불제
보상직불제,
환경직불제,
조건불리직불제
전작보상제,
도작경영안정제,
조건불리직불제
대상면적 비중
(총 농경지 대비)
생산자율계약 49%,
환경보전 4%
보상직불 42%,
환경직불 20%,
조건불리 20∼50%
전작보상 36%,
조건불리 34%
< 미국 >
1) 가격 지지 정책
▣ 유통지원 융자제도 (Nonrecourse Marketing Assistance Loans)
o 수확기 농산물 담보 융자로 홍수출하를 억제하고, 시장가격 하락시 담보 농산물로 상환토록 하는 가격지지제도
o 지원 대상
- 작물 : 밀, 보리, 옥수수, 수수, 귀리, 면화, 쌀 등 16개
- 농가 : 생산자율계약 프로그램 참여 농가
▣ 융자차액보상제도 (Loan Deficiency Payment)
o 융자금을 받지 않은 농가의 경우, 시장가격이 융자가격보다 낮을 때 그 차액을 정부가 보조금으로 지급
o 지원 규모 (2000년) : 72억 달러
2) 직접 지불 정책
▣ 생산자율계약제도
o 농가는 정부와 계약을 맺고 농지보전 등 일정조건으로 매년 일정액의 보조금을 지원받는 제도
- 과거 부족불 지불제를 96년부터 생산중립적 직불제로 전환
o 지원 대상
- 작물 : 밀, 옥수수, 수수, 보리, 귀리, 면화, 쌀
- 면적 (98년) : 8,611 만 ha (전체곡물재배면적의 49%)
- 농가 (98년) : 173만호 (전체농가 219만호 중 79%)
o 지원 규모 (2000년)
- 총 106억 달러, ha당 123달러 (쌀은 ha당 534달러)
▣ 환경보전 직접지불제 (CRP, EQIP, WRP)
o 농지 보전, 환경 보전을 추구하는 농가에 대해 보조금 지급
< EU >
1) 가격 지지 정책
▣ 정부수매제도
o EU 역내 시장가격이 개입가격(지지가격) 이하로 하락할 경우 정부 수매를 통해 농산물 가격을 지지하는 제도
o 92년 공동농업정책 개혁으로 99년까지 개입가격을 15% 인하
2) 직접 지불 정책
▣ 보상지불제도 (compensatory payment)
o 92년 이후 농산물 지지가격 수준을 인하함에 따른 농가소득 감소분을 보조금으로 지급
o 지원 대상과 규모
- 대상 : 곡물류, 유지작물, 쇠고기
- 면적 (99년) : 535 만 ha (EU 전체 농경지의 42%)
- 금액 (98년) : 총 282억 ECU
- 소유 경지의 일정 부분은 휴경 의무 (97년 이후 5%)
▣ 환경보전 직접지불제
o 92년 이후 비료 농약 감축, 유기농업, 환경친화적 영농활동을 하는 농가에 대해 보조금을 지급
o 참여 면적 : EU 전체 농경지의 20%
o 지원 금액(2000년) : 총 21.6억 달러 (ha당 45∼90만원)
▣ 조건불리지역 직접지불제
o 75년 이후 산악지역 등 조건불리지역의 농가에게 정상지역과의 소득격차 해소를 위해 보조금을 지급
o 참여면적 : 독일 50%, 프랑스 47%, 벨기에 20% 등
o 지원 금액 (2000년) : 총 5.5억 ECU (ha당 2.5∼20만원)
< 일본 >
1) 가격 지지 정책
▣ 정부 수매 제도
o 95년 신식량법 제정으로 생산조정 및 적정비축에 의해 전체수급을 조정하기 위해 정부미와 자주유통미를 수매
o 쌀 수매량 (99년) : 473만톤 (전체 생산량의 51.5%)
2) 직접 지불 정책
▣ 전작 보상 제도 (쌀 생산조정제도)
o 69년 이후 쌀 과잉해소대책의 일환으로 논의 전작 및 휴경 등 생산조정을 실시한 농가에 대하여 보조금을 지급
o 생산조정 면적 (99년) : 96만 ha (전체 논면적의 36%)
- 전작 작물 : 보리, 콩, 사료작물
- 보조금 단가 (2000년) : 20만∼40만엔/ha
▣ 도작경영안정제도
o 98년 이후 농가의 경영안정을 위해 쌀 가격이 하락할 경우 일정한 조건하에서 차액의 일부를 보조금으로 지급
o 지급단가 : 시장가격과 보전기준가격(3개년 평균)과의 차액의 80%
o 지원 금액 (99년) : 1,180억엔
▣ 중산간지역 직접지불제
o 중산간지역의 경작포기를 억제하여 농업의 다원적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2000년부터 보조금을 지급
o 대상농지 : 약 90만 ha
o 지급단가 : 평탄지와의 생산비 격차의 80% (논은 80∼120만원/ha)
o 지원금액 (2000년) : 약 700억엔 (국비 330억엔, 지방비 370억엔)
2. 정부의 양정관련 예산 감축 추이
▣ 쌀 AMS의 감축으로 수매량이 매년 감소하고 수매가격도 동결
내지 소폭 인상에 그쳐 정부의 쌀 수매관련 비용이 매년 크게
감축되고 있음
▣ 양곡관리사업 결손
o 1994년 : 6739억원
o 1998년 : 1001억원
< 정부의 양곡관리사업 결손 추이 >
(단위 : 억원, 회계년도 기준)
구 분
1994
1995
1996
1997
1998
수익 (A)
12,124
11,739
15,370
6,882
7,633
O 양곡매출액
12,027
11,700
15,316
6,830
6,434
O 기타
97
39
54
52
1,201
비용 (B)
18,863
17,275
19,333
8,924
8,634
O 양곡매출원가
15,843
13,828
18,458
8,170
8,001
O 차액수매보전
2,073
2,349
633
491
299
O 조작비
675
823
234
169
155
O 관리비
272
275
5
13
13
O 기타
-
-
3
81
166
당기순이익
(A-B)
△6,739
△5,536
△3,963
△2,042
△1,001
< 참고 >
※ 추곡수매량
(정곡기준 천톤)
1,512
1,375
1,241
1,224
928
※ 추곡수매가격
(1등품원/가마)
132,680
132,680
137,990
137,990
145,580
자료 : 농림부, 양정 자료, 각년도.
추천자료
농가부채 현황과 농업정책자금의 이용의 실태
일본 근대 농업경제사
환경을 생각하는 농업
[무역학]자유무역체제하의 한국농업의 현주소와 나아갈 길
한-미 FTA 협상 - 미국 농업 분과-
(한국경제의이해)한국농업정책의 전개과정에 대해 논하시오
(한국경제의이해D형)한국농업의 경영상의 변화에 대해 논하시오
농산물의 수입개방에 따른 우리나라 농업의 대처방안
한중FTA 해결과제 (농업)
사회경제생활사)조선시대 농업,상업,수공업의 발달
아르헨티나 경제발전, 농업발전, 도시 문제, 자유무역, 공업화, 정치실패, 재정적 타격, 혁신...
기아와 식량안보 (바이오연료, 농업혁명, 곡물과점, 식량안보정책, GMO : Genetically Modifi...
농협법의 역사 {구농협법제정전의 농업관련단체의 법령 연혁, 구농협법의 연혁, 통합 농협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