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고려의 왕
2.고려의 명칭
3.고려의 성립
4.고려의 발전과 전개
5.고려의 사회, 경제
6.고려의 문화
7.고려의 대외관계
8.고려의 멸망
2.고려의 명칭
3.고려의 성립
4.고려의 발전과 전개
5.고려의 사회, 경제
6.고려의 문화
7.고려의 대외관계
8.고려의 멸망
본문내용
배층이 누구냐에 따라 항시적으로 변하였고, 여전히 이들을 외교의 대상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처음 거란이 압박을 해왔을 때에는 건국 초기에 굳건한 자주적 의식을 바탕으로 항쟁을 계속하여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후 12세기에 들어서서는 정치가 혼란하게 되자 여진과 강화를 맺기에 이르렀다.
더구나 13세기 몽고가 침입했을때 최씨무인정권이 집권하고 있었는데, 항쟁의 굳은 결의를 고수하고 강화도로 천도하여 항전을 계속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고려의 대외정책은 당시의 국제적인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내린 결과라기보다는 당시 고려 내의 정치가들 사이의 이해관계에 의해 행해진 것이다.
결국 몽고와 여러 차례에 걸친 전쟁 끝에 대몽항쟁은 종식되고 원간섭기에 들어가게 되었다.
*고려의 멸망
1270년 무인정권이 붕괴되고 왕정이 복구되었지만, 고려는 이보다 더 큰 전환을 맞게 되었다. 고려는 원의 도움으로 왕권이 회복되었기 때문에 원의 간섭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우리 민족의 끈질긴 항쟁에도 불구하고 원은 여러대에 걸쳐 고려의 정치를 좌지우지하였다. 그러나 그런 중에서도 공민왕은 반원정책을 내세우고 혁신적인 개혁안이 제시하면서 자주적인 국가로서의 고려의 발전을 도모하였다.
그러나 공민왕의 개혁정치는 공민왕이 암살됨으로써 지속되지 못하고 고려는 다시 혼란의 길을 걷게 되었다.
대내적으로는 권문세가와 신흥사대부의 대립으로, 대외적으로는 왜구와 홍건적의 계속되는 침입으로 정국은 더욱 어수선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시 왜구토벌에 큰 공이 있었던 이성계 일파는 위화도 회군을 계기로 새로운 국가인 조선을 건국하게 되었다.
처음 거란이 압박을 해왔을 때에는 건국 초기에 굳건한 자주적 의식을 바탕으로 항쟁을 계속하여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후 12세기에 들어서서는 정치가 혼란하게 되자 여진과 강화를 맺기에 이르렀다.
더구나 13세기 몽고가 침입했을때 최씨무인정권이 집권하고 있었는데, 항쟁의 굳은 결의를 고수하고 강화도로 천도하여 항전을 계속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고려의 대외정책은 당시의 국제적인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내린 결과라기보다는 당시 고려 내의 정치가들 사이의 이해관계에 의해 행해진 것이다.
결국 몽고와 여러 차례에 걸친 전쟁 끝에 대몽항쟁은 종식되고 원간섭기에 들어가게 되었다.
*고려의 멸망
1270년 무인정권이 붕괴되고 왕정이 복구되었지만, 고려는 이보다 더 큰 전환을 맞게 되었다. 고려는 원의 도움으로 왕권이 회복되었기 때문에 원의 간섭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우리 민족의 끈질긴 항쟁에도 불구하고 원은 여러대에 걸쳐 고려의 정치를 좌지우지하였다. 그러나 그런 중에서도 공민왕은 반원정책을 내세우고 혁신적인 개혁안이 제시하면서 자주적인 국가로서의 고려의 발전을 도모하였다.
그러나 공민왕의 개혁정치는 공민왕이 암살됨으로써 지속되지 못하고 고려는 다시 혼란의 길을 걷게 되었다.
대내적으로는 권문세가와 신흥사대부의 대립으로, 대외적으로는 왜구와 홍건적의 계속되는 침입으로 정국은 더욱 어수선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시 왜구토벌에 큰 공이 있었던 이성계 일파는 위화도 회군을 계기로 새로운 국가인 조선을 건국하게 되었다.
추천자료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한국화
고려시대 불화를 통해 본 고려시대의 특성
한국 체육사 (원시 및 부족국가시대,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농민항쟁, 조선사림정치
[A+] 고려시대 서민문화 - 고려인 의료혜택, 병원, 음주문화, 고려장, 장례풍속, 금주령, 장...
고려시대는 귀족제인가 관료제인가 - 『한국사 시민강좌』중 「고려사회의 기본 성격」을 중...
[역사의식, 역사, 역사교육, 역사학, 역사게임, 고려시대, 춘원 이광수]역사의식의 정의, 역...
[일상생활사] 차와 커피의 역사 - 차의 어원과 우리나라에 전래된 역사 및 고려시대와 조선시...
지방행정(地方行政)의 특수문제 - 대외관계, 도시화, 광역화 (지방자치단체의 대외관계, 도시...
[고려시대 행정체계] 고려시대의 인사행정(교육제도,과거제도)과 재무행정(토지제도,조세제도)
[고려시대 행정체계] 고려시대의 행정조직(行政組織) - 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
한국역사에서의 교육철학 {삼국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의 교육과 철학, 개화기 민족수난기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