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총정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고려의 왕

2.고려의 명칭

3.고려의 성립

4.고려의 발전과 전개

5.고려의 사회, 경제

6.고려의 문화

7.고려의 대외관계

8.고려의 멸망

본문내용

배층이 누구냐에 따라 항시적으로 변하였고, 여전히 이들을 외교의 대상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처음 거란이 압박을 해왔을 때에는 건국 초기에 굳건한 자주적 의식을 바탕으로 항쟁을 계속하여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후 12세기에 들어서서는 정치가 혼란하게 되자 여진과 강화를 맺기에 이르렀다.
더구나 13세기 몽고가 침입했을때 최씨무인정권이 집권하고 있었는데, 항쟁의 굳은 결의를 고수하고 강화도로 천도하여 항전을 계속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고려의 대외정책은 당시의 국제적인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내린 결과라기보다는 당시 고려 내의 정치가들 사이의 이해관계에 의해 행해진 것이다.
결국 몽고와 여러 차례에 걸친 전쟁 끝에 대몽항쟁은 종식되고 원간섭기에 들어가게 되었다.
*고려의 멸망
1270년 무인정권이 붕괴되고 왕정이 복구되었지만, 고려는 이보다 더 큰 전환을 맞게 되었다. 고려는 원의 도움으로 왕권이 회복되었기 때문에 원의 간섭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우리 민족의 끈질긴 항쟁에도 불구하고 원은 여러대에 걸쳐 고려의 정치를 좌지우지하였다. 그러나 그런 중에서도 공민왕은 반원정책을 내세우고 혁신적인 개혁안이 제시하면서 자주적인 국가로서의 고려의 발전을 도모하였다.
그러나 공민왕의 개혁정치는 공민왕이 암살됨으로써 지속되지 못하고 고려는 다시 혼란의 길을 걷게 되었다.
대내적으로는 권문세가와 신흥사대부의 대립으로, 대외적으로는 왜구와 홍건적의 계속되는 침입으로 정국은 더욱 어수선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시 왜구토벌에 큰 공이 있었던 이성계 일파는 위화도 회군을 계기로 새로운 국가인 조선을 건국하게 되었다.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10.21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5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