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개소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연개소문의 출생

2. 연개소문은 왜 쿠데타를 일으켰을까?

3.연개소문과 이세민 두 세계관의 충돌

4.당의 고구려 침공의 명분

5.동북아의 운명을 둔 대전쟁

6.결론

본문내용

망시켰다.
♣결론
중국 기록들이 연개소문을 극악한 인물로 그린 것은 세계제국 당나라에 씻을 수 없는 패배를 안겨준 인물이기 때문이다. 당태종에게 결정적인 타격을 입히고 결국은 죽음에까지 이르게 한 연개소문에 대한 중국측의 기록은 아주 극도로 나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또 하나 연개소문에 대한 기록은 고구려를 멸망시킨 신라의 입장에서 기술된 것이 오늘날 남아있는 것인데 신라 입장에서도 연개소문은 김춘추와의 연결을 거절했고 그리고 신라가 어떤 속국으로 섬겼던 당나라와 지속적인 긴장관계를 유지했던 그러한 인물이기대문에 신라입장에서도 부정적으로 기술했고 그 부정적인 기술을 김부식이 삼국사기에서 그대로 인용한 것이다. 연개소문에 대한 평가는 오랫동안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연개소문이 죽은 뒤 3년만에 고구려는 패망했고 연개소문에 대한 기록도 묻힐 수밖에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는 분명 위태로운 시기에 나라를 지킨 뛰어난 장수였습니다. 그러나 현재 남아있는 자료로는 그가 대내정치는 어떻게 했는지 당시 국민들에게는 어떤 권력자였는지는 구체적으로 알 수 없습니다. 다만 분명한 건 잔인무도하고 포악한 독재자로 연개소문을 그렸던 삼국사기의 기록은 당시 고구려의 적국이었던 당나라의 시각에서 쓰여진 왜곡된 기록이라는 사실입니다. 우리들에게는 당나라의 조직적인 악마만들기에 희생된 영웅 연개소문을 재평가해서 복원할 필요가 있습니다.
- end -
참고문헌
인물로 보는 고구려사 (창해) 김용만
고구려 700년의 수수께끼 (대산) 이덕음
한권으로 읽는 삼국왕조실록 (들녘) 박영규
소설 <연개소문-중원방랑> (행림) 유현종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10.21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5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