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유혹의 가능성
B. 유혹의 통로
C. 유혹과 죄
D. 유혹에 대한 승리
E. 성결 후의 범죄
F. 범죄 후의 회복
G. 성결 : 굳세게 하는 은혜
B. 유혹의 통로
C. 유혹과 죄
D. 유혹에 대한 승리
E. 성결 후의 범죄
F. 범죄 후의 회복
G. 성결 : 굳세게 하는 은혜
본문내용
상실하였던 자는 보통 점차적으로 그 은혜를 회복한다고 보았다. 또한 성결의 은혜를 상실하였던 자는 그 은혜의 귀중함을 실감하기 때문에 더욱 경성하여 은혜의 유지와 성장에 힘 쓸 것이며, 따라서 그는 이전보다 더욱 충만한 은혜 가운데 거할 수 있다고 보았다.
G. 성결 : 굳세게 하는 은혜
성결한 성도가 실족하지 않기 위한 7가지 충고 :
1) 교만을 경계하여 끊임없이 깨어 기도하라.
2) 열광을 경계하라.
3) 율법 무용론을 경계하라.
4) 태만의 죄를 경계하라.
5) 하나님 외에 아무것도 추구하지 말라.
6) 분열을 경계하라.
7) 모든 일에 남의 모범이 되라.
온전히 성결한 성도라고해도 타락할 가능성은 있다. 이는 인간이 타락으로 인하여 더욱 악화된 연약성을 가지고 있고, 죄인들로 구성된 사회 속에 살고 있으며, 더욱이 유혹하는 마귀가 끊임없이 공격하고 있기 때문이다(벧후3:17). 그러나 성결은 타락을 방지하는 가장 강력한 보호자이다. 성결은 성도의 신앙을 유지하고 보호하여 준다. 물론 성결의 은혜라도 사람으로 하여금 죄를 짓지 못하게 할 수는 없지만, 죄를 지을 가능성은 가장 최소화하고, 승리의 가능성을 가장 극대화시켜 준다. 그러므로 성결한 성도는 자신의 성결을 흠이 없게 유지해야 한다(고전10:12; 갈5:1; 살전3:13; 5:17; 벧후1:10). 성결은 마음속에 있던 죄성이 사라지고, 하나님을 향한 사랑으로 충만하게 하며, 동기의 순수성을 가져오므로 사람이 타락하지 않고 하나님을 섬길 수 있게 한다. 성결의 은혜 또는 성결의 신앙은 성도의 승리의 원동력이다(롬8:37; 고전15:57).
G. 성결 : 굳세게 하는 은혜
성결한 성도가 실족하지 않기 위한 7가지 충고 :
1) 교만을 경계하여 끊임없이 깨어 기도하라.
2) 열광을 경계하라.
3) 율법 무용론을 경계하라.
4) 태만의 죄를 경계하라.
5) 하나님 외에 아무것도 추구하지 말라.
6) 분열을 경계하라.
7) 모든 일에 남의 모범이 되라.
온전히 성결한 성도라고해도 타락할 가능성은 있다. 이는 인간이 타락으로 인하여 더욱 악화된 연약성을 가지고 있고, 죄인들로 구성된 사회 속에 살고 있으며, 더욱이 유혹하는 마귀가 끊임없이 공격하고 있기 때문이다(벧후3:17). 그러나 성결은 타락을 방지하는 가장 강력한 보호자이다. 성결은 성도의 신앙을 유지하고 보호하여 준다. 물론 성결의 은혜라도 사람으로 하여금 죄를 짓지 못하게 할 수는 없지만, 죄를 지을 가능성은 가장 최소화하고, 승리의 가능성을 가장 극대화시켜 준다. 그러므로 성결한 성도는 자신의 성결을 흠이 없게 유지해야 한다(고전10:12; 갈5:1; 살전3:13; 5:17; 벧후1:10). 성결은 마음속에 있던 죄성이 사라지고, 하나님을 향한 사랑으로 충만하게 하며, 동기의 순수성을 가져오므로 사람이 타락하지 않고 하나님을 섬길 수 있게 한다. 성결의 은혜 또는 성결의 신앙은 성도의 승리의 원동력이다(롬8:37; 고전1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