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나님의 말씀으로 믿는 사람은 이와같은 진리의 중요성을 의심할 수 없습니다. . . 그리하여 하나님 자녀의 독특한 특권의 하나를 표시하고 있습니다.
신앙의 확신에 관하여 나는 초대교회가 이 주제를 기쁘게 다루었다고 생각한다. . . 그러나 나는 로마의 클레멘트, 익나시우스, 폴리갑, 오리겐, 그 외의 교부들을 주의깊게 읽으면, 그들 자신이 이 확신을 소유했거나 이 확신을 가진 참 신자들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음을 의심할 수 없다.
루터, 멜랑크톤 및 개혁자들 중에(모두는 아니라 할지라도) 다른 많은 사람들이 모든 신자는 자기가 하나님께 용납되었다는 의식과 이것이 초자연적 증거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빈번하게 그리고 강하게 주장한다.
- 웨슬레의 확신의 교리는 성화론과 더불어 그가 기독교에 공헌한 요소 중의 하나로 많은 신학자들에 의해 인정되고 있다.
- 확신의 교리는 일차적으로 성서에 증거되어 있으며 이성에 의해 해석되어지고 초대교회 시대부터 강조되어 왔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오늘날 신자의 경험으로 확증된다. 실제로 웨슬레의 올더스게이트에서의 신앙 체험은 이 교리를 더 분명하게 해주었다.
2. 증거의 성격과 내용
- 성령의 증거에는 성령의 직접 증거와 간접 증거의 두 종류가 있다.
성령의 증거는 영혼 위에 나타나는 하나의 내적 인상인데, 하나님의 영이 이것을 통하여 나에게 직접 증거하는 바는. . .(직접 증거) 아주 똑같다고 할 수 없으나 거의 하나님을 향한 선한 양심의 증거와 같은 것이니, 이는 우리가 우리 영 안에서 느끼는 것을 곰곰히 생각하여 행하거나 또는 이성적으로 추리한 결과에서 오는 확신이다. 엄격히 말해 부분적으로는 하나님의 말씀으로부터,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우리 자신의 체험에서 얻은 결론이다. . .(간접 증거)
- 웨슬레가 강력히 주장한 것은 이 모든 것 배후에는 우리의 어떤 의식보다 선행하고, 어떤 형식이나 예식과는 별도로 성령의 직접적이고 본래적인 증거가 있다는 것이다.
- 성령의 증거 : ① "내가 하나님의 자녀이다"라는 것을 내게 말해준다.
② 우리 영에게 하나님의 사랑과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를 증거한다.
③ 성령과 우리 영은 우리 자신의 칭의, 중생, 양자됨을 증거한다.
④ 성령은 우리가 성결케 되었음을 강조한다.
- 확신의 폭 또는 정도의 3단계
① 신앙의 분명한 확신 : 의심과 두려움이 섞여있는 신앙, 그리고 모든 그리스도인의 일반적인 특권으로 설교되는 것.
② 신앙의 충만한 확신 : 의심, 두려움없이 용서에 대한 완전하고 내재적인 신앙.
③ 희망의 충만한 확신 : 영광 중에 하나님과 함께 있을 것에 대한 완전한 확신.
- 이 중에서 희망의 충만한 확신은 신자가 온전한 성결 안에 거한다는 조건 위에서 순간순간 계속적으로 주어지기 때문에 한번 성령의 증거가 있었다고 그것이 우리의 궁극적인 구원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다. 즉 우리가 범죄할 때에는 이 성령의 증거는 소멸된다는 것이다.
이것(확신)을 부정하면 우리들의 종교는 형식적인 것으로 떨어져 버릴 위험이 있다. . . 그리고 이것을 인정한다고 하여도 무엇을 인정하는가를 분명히 이해하지 못하면 열광주의의 방종에 뛰어들기 쉽다. . . 이 중대한 진리는 성서적, 이성적으로 확증해야 한다.
- 웨슬레는 당시의 이성주의에 물든 영국 국교회와 무절제한 신비주의자들을 경계하면서 외적으로 성령의 열매를 확신의 또다른 증거로 강조했다. 이는 우리 안에서 역사하는 성령에 의한 그리스도와의 신앙 관계는 내적 및 외적인 변화가 뒤따라야 한다는 그의 확신에서 비롯된 것이다.
- 이러한 확신의 교리는 오늘도 성도의 신앙 생활에 현재적 구원에 대한 확신과 함께 미래의 구원에 대한 산 소망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신앙의 확신에 관하여 나는 초대교회가 이 주제를 기쁘게 다루었다고 생각한다. . . 그러나 나는 로마의 클레멘트, 익나시우스, 폴리갑, 오리겐, 그 외의 교부들을 주의깊게 읽으면, 그들 자신이 이 확신을 소유했거나 이 확신을 가진 참 신자들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음을 의심할 수 없다.
루터, 멜랑크톤 및 개혁자들 중에(모두는 아니라 할지라도) 다른 많은 사람들이 모든 신자는 자기가 하나님께 용납되었다는 의식과 이것이 초자연적 증거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빈번하게 그리고 강하게 주장한다.
- 웨슬레의 확신의 교리는 성화론과 더불어 그가 기독교에 공헌한 요소 중의 하나로 많은 신학자들에 의해 인정되고 있다.
- 확신의 교리는 일차적으로 성서에 증거되어 있으며 이성에 의해 해석되어지고 초대교회 시대부터 강조되어 왔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오늘날 신자의 경험으로 확증된다. 실제로 웨슬레의 올더스게이트에서의 신앙 체험은 이 교리를 더 분명하게 해주었다.
2. 증거의 성격과 내용
- 성령의 증거에는 성령의 직접 증거와 간접 증거의 두 종류가 있다.
성령의 증거는 영혼 위에 나타나는 하나의 내적 인상인데, 하나님의 영이 이것을 통하여 나에게 직접 증거하는 바는. . .(직접 증거) 아주 똑같다고 할 수 없으나 거의 하나님을 향한 선한 양심의 증거와 같은 것이니, 이는 우리가 우리 영 안에서 느끼는 것을 곰곰히 생각하여 행하거나 또는 이성적으로 추리한 결과에서 오는 확신이다. 엄격히 말해 부분적으로는 하나님의 말씀으로부터,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우리 자신의 체험에서 얻은 결론이다. . .(간접 증거)
- 웨슬레가 강력히 주장한 것은 이 모든 것 배후에는 우리의 어떤 의식보다 선행하고, 어떤 형식이나 예식과는 별도로 성령의 직접적이고 본래적인 증거가 있다는 것이다.
- 성령의 증거 : ① "내가 하나님의 자녀이다"라는 것을 내게 말해준다.
② 우리 영에게 하나님의 사랑과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를 증거한다.
③ 성령과 우리 영은 우리 자신의 칭의, 중생, 양자됨을 증거한다.
④ 성령은 우리가 성결케 되었음을 강조한다.
- 확신의 폭 또는 정도의 3단계
① 신앙의 분명한 확신 : 의심과 두려움이 섞여있는 신앙, 그리고 모든 그리스도인의 일반적인 특권으로 설교되는 것.
② 신앙의 충만한 확신 : 의심, 두려움없이 용서에 대한 완전하고 내재적인 신앙.
③ 희망의 충만한 확신 : 영광 중에 하나님과 함께 있을 것에 대한 완전한 확신.
- 이 중에서 희망의 충만한 확신은 신자가 온전한 성결 안에 거한다는 조건 위에서 순간순간 계속적으로 주어지기 때문에 한번 성령의 증거가 있었다고 그것이 우리의 궁극적인 구원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다. 즉 우리가 범죄할 때에는 이 성령의 증거는 소멸된다는 것이다.
이것(확신)을 부정하면 우리들의 종교는 형식적인 것으로 떨어져 버릴 위험이 있다. . . 그리고 이것을 인정한다고 하여도 무엇을 인정하는가를 분명히 이해하지 못하면 열광주의의 방종에 뛰어들기 쉽다. . . 이 중대한 진리는 성서적, 이성적으로 확증해야 한다.
- 웨슬레는 당시의 이성주의에 물든 영국 국교회와 무절제한 신비주의자들을 경계하면서 외적으로 성령의 열매를 확신의 또다른 증거로 강조했다. 이는 우리 안에서 역사하는 성령에 의한 그리스도와의 신앙 관계는 내적 및 외적인 변화가 뒤따라야 한다는 그의 확신에서 비롯된 것이다.
- 이러한 확신의 교리는 오늘도 성도의 신앙 생활에 현재적 구원에 대한 확신과 함께 미래의 구원에 대한 산 소망을 제공해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