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슬레의 성령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성령의 본질
1. 성령은 누구인가?
1) 우리 안에 계신 하나님
2) 구원의 성취자
3) 성화를 이루시는 영
4) 믿음을 주시는 영
5) 능력을 주시는 영
6) 전도하게 하시는 영
2. 성령의 인격성
3. 성령의 신격성
1) 삼위일체론과 성령
2) Filioque

Ⅲ. 성령의 증거
1. 직접증거
2. 간접증거
3. 성령의 우리 영과의 공동증거
Ⅳ. 성령의 확증과 열매
1. 성령의 확증
2. 성령의 확증과 그 열매와의 관계
3. 성령의 활동

Ⅴ. 한국감리교회와 웨슬리의 성령신학

Ⅵ. 결론

본문내용

ly Spirity (Eerdmans Publishing Co, 1980),「성령신학」, 김명룡 역,(서울, 나눔사, 1989), pp, 143-148).
현대 오순절 성령운동의 원류는 웨슬리의 감리회 운동이며, 18세기 감리회는 19세기 미국의 성결운동을 낳았다고 주장하였다. 브루너는 더나아가 웨슬리의 감리회 운동의 결과가 오순절주의라는 최종적 결과를 나타내었다고 하였다. 이렇게 볼 때, 웨슬리의 부흥운동은 현대 오순절 운동가들의 모형이 된다고 볼 수 있다.
) Ibid., p.23, 24, 32-55를 참조하라. 예를들어 칠레에서 오순절 운동을 시작한 사람은 감리교 목사 후버(W.C. Hoover)였고, 유럽에서는 노르웨이 감리교 목사 바라트(T. B. Barratt 1862-1940)이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성령운동은 웨슬리의 성령운동과는 여러면에서 차이가 있다. 웨슬리의 성령운동을 오늘의 한국교회의 일반적인 성령운동과 비교해 볼 때 주목되는 현상은 웨슬리는 말씀과 성화의 실천적 생활 중심의 메시지가 중심이었다면 한국 교회의 성령운동은 웨슬리에 비해서 물질 축복과 신비주의 혹은 신유주의적 경향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경향의 성령운동은 다음의 몇가지 점에서 비난을 피할 수 없다. 첫째는 성령의 주권적 행사를 마치 인간이 운영하는 양하는 잘못된 자세이다. 둘째는 객관성을 상실한 통제되지 않은 영성의 위험이 있다. 셋째는 열광주의자들의 반 이성적, 반 사회적, 반 역사적인 경향이다.
) 황승룡,「성령신학」 (서울:대한예수교장로회 출판국, 1989), p.247-249.
웨슬리는 이러한 잘못을 철저히 경계하여, 열광주의자들이 십자가에 죽으신 예수 그리스도 보다 자신들이 체험한 영적 뜨거움과 이에 따른 행복과 평화에 도취되어 본질적 신앙의 내용보다 이에 따른 감정적 사실을 더 강조하는 경우를 위험하게 여기고, 성령의 역사에 편승한 작위를 사전에 막기위하여 철저한 교육을 하였고, 성서 중심주의자로서 복음의 객관성을 주장하여 이에 대한 증인으로 활동하였다.
오늘날 성령을 범신론적으로 이해하는 사람들이 있다. 1991년 2월7일 부터 호주 캔버라에서 열린 WCC 제 7차 총회에서 이화여대 정현경 박사는 "성령이여 오소서 만물을 새롭게 하소서" 라는 연설을 하였다. 그는 거기서 성령을 동양의 氣를 갖고 설명하면서 성령을 氣와 취급하였다. 그리고 그는 氣는 생명의 호흡이요 생활의 에너지이며, 창조의 영, 하늘과 땅과 인간을 조화시키는 영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그가 말하는 성령은 성부와 성자와 본질상 동일한 3위의 하나님이라기 보다는 무당이 믿는 귀신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는 듯한 인상을 주어 물의를 일으키기도 하였다.
) 국민일보, 1991년 3월 15일 제9면을 참조하라.
오늘날 사이비 기독교는 왜곡된 성령론에서 출발하는 경향도 없지 아니하다.
역사 철학자 아놀드 토인비(Arnold Toynbee)는 문명의 과정을 발생, 성장, 몰락, 붕괴, 해체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토인비는 역사의 早期 단계에서 몰락의 시초를 발견하면서, 몰락의 시초는성장의 둔화에 대처하는 시기로서, '고뇌의 시기'라고 하였다. 그는 이 고뇌의 시기에 전쟁이나 혁명도 일어나고 분열도 생기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합운동도 생기는데 이 고뇌의 시기에 대처를 하지 못하면 몰락의 길을 가게된다고 하였다.
) A. J. Toynbee, A Study of History (Abridgement;New York: Oxford Univ. Press, 1947).
토인비는 역사의 몰락을 인간이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는 영향력과 관심을 지닌 요소들에 의하여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았다. 오늘날 교회의 성장이 둔화되고 그리스도인의 신앙 성장도 둔화되고 있는 듯이 보인다. 둔화의 요소에는 인간의 책임이 있다. 둔화와 감소의 늪에 도달한 한국 감리교회는 특별한 각성이 없이는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러한 시점에서 웨슬리의 성령론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토인비가 말하는 고뇌의 시기를 대처하게 하고, 또한 한국교회를 보다 확고히 세워줄 수 있을 것이다.
Ⅶ. 결론
그리스도인의 완전 추구는 웨슬리 신학의 중심이며 이 완전은 성령의 역사로 말미암아 성취되는 것이기 때문에 웨슬리 신학은 성령의 신학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성령은 언제나 우리에게 파악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결단을 촉구하는 하나님의 말씀을 향한 응답속에서만 체험되는 것이다." 따라서 "성령은 마치 하늘에서 내려오는 것과 같은 것이 아니며 자기 영혼 속에 응어리와 같이 머무르는 어떤 실체도 아니다." 성령은 인격적인 하나님과 인간과의 결단을 중심으로 한 관계 안에서 파악되어진다.
) 노로요시오, op. cit., pp.568-569.
성령은 우리를 그리스도와 연합하게 하시며,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된 것을 확신하게 하시며, 우리의 모습이 하나님의 형상을 닮아가도록 역사하신다. 인간의 구원은 성령의 역사하심에 기인한다. 이런 웨슬리의 성령론에 비추어 오늘날 우리 한국교회의 성령운동이 개인적인 축복이나 은사 위주의 운동으로 확산되기 보다는 성숙한 인간으로 변화하는 차원으로 확산되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성령운동은 참 인간으로서의 복귀에 그 궁극적 목표가 있기 때문이다.
역사적 감리교회를 배후에서 지탱한 힘의 원천은 성령의 감화의 교리이다. 이 성령의 감화는 회개와 의인, 중생과 성화 그리고 그리스도인의 완전의 근거가 된다.
) Robert W. Burtner and Robert E. Chiles, ed., op. cit., p.30.
한국 감리교회는 올더스케이트에서의 웨슬리의 성령체험을 통하여 계속적인 성령의 역사가 미움과 싸움이 아니라 사랑과 평화를 위하여, 불의에 대한 무관심 혹은 움추림이 아니라 사회정의를 위하여 작용하도록 힘을 써야한다. 지금 우리가 웨슬리의 성령의 감화의 교리로 무장할 때, 한국교회는 그동안 우리의 사이를 갈라 놓았던 파당과 신학의 차이, 정치 이데올로기, 성 차별의 장벽, 지연과 학연이라는 장벽, 성직자와 평신도, 있는자와 없는 자 사이의 장벽을 무너뜨릴 수 있고, 선취된 하나님의 나라를 세울 수 있을 것이다.
  • 가격6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3.12.17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88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