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청소년 문화담론 만들기
3. 청소년 문화담론의 형성을 위해
4. 청소년 문화와 다양성의 조직화
2. 청소년 문화담론 만들기
3. 청소년 문화담론의 형성을 위해
4. 청소년 문화와 다양성의 조직화
본문내용
바람직한 변화는 사회의 구성원들이 자신이 원하는 삶의 형태에 대해 상상할 수 있는 곳에서"(같은 책: 21) 나오게 마련이다. 다름아닌 청소년 문화에 대한, 이를 통한 어른들의 자기교육과정이야말로 우리가 원하는 삶의 형태를 함께 상상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를 위한 사회교육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려면 무엇보다도 먼저 어른들 스스로의 모습을 되돌아보고 뉘우치는 일이 중요하다. 어른들이 어른다운, 어른스러운 사회에서만 청소년들의 삶은 되살아날 것이고, 그래야만 우리 교육도 교육답고 사람답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부르디외, P.(1995)(정일준 옮김) 상징폭력과 문화재생산 (서울: 새물결)
조혜정(1996) 학교룰 거부하는 아이들,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서울: 또하나의 문화)
정유성(1994) 사람-삶-되살림 1: 인간다운 생존을 위한 교육 (서울: 한울)
- (1996) 역사속의 신세대. 1990년대: 궁핍한 정신, 풍요의 구가, <역사비평> 1996년 가을호, 155-165.
- (1997가) 너그러이 용서하려무나, 또 하나의 문화 편(1997) 새로 쓰는 청소년 이야기 1 (서울: 또 하나의 문화), 17-25.
- (1997나) 교육에 침을 뱉아라: 춤추는 대중문화, 눈먼 교육, 한국 교육인류학회 1997년 추계학술대회 "대중문화와 교육" 발제원고
- (1998가) 사람-삶-되살림 2: 새로운 교육문화 사회운동론 (서울: 한울)
- (1998나) 공동체로의 해방을 위한 사회교육, <평생교육연구> 제4권 제1호, 1998.9. 1-10.
- (1998다) 청소년 문화의 교육적 의미, 한국 교육철학연구회 1998년 학술대회 "문화개방과 문화교육" 발제원고.
청소년백서(1997) 청소년백서 1997(문화체육부)
Ari s, Ph.(1990) Geschichte der Kindheit (Munchen: DTV)
Beck, U.(1986) Risikogesellschaft. Auf dem Weg in eine andere Moderne (Frankfurt am Main: Suhrkamp)
- (1993) Die Erfindung des Politischen (Frankfurt am Main: Suhrkamp)
Clarke, J./Hall, S./Jefferson, T./Roberts, B.(1998) Subcultures, Cultures and Class, in: Hall, S./Jefferson, T. (eds.)(1998) Resistance through Rituals: Youth Subcultures in Post-War Britain (New York/London: Routledge), 9-74.
Cohen, Ph.(1997) Rethinking the Youth Question (London et al.: Macmillan)
Collins, J.(1995) Arcitectures of Excess: Cultural Life in the Information Age (New York/London: Routledge)
Fornas, J.Bolin, G.(eds.)(1995) Youth Culture in Late Modernity (London: SAGE)
Giroux, H.A.(1994) Disturbing Pleasure: Learning Popular Culture (New York/London: Routledge)
Giroux, H.A./Simon, R.I.(1989) Popular Culture, Schooling & Everyday Life (New York: Bergin & Garvey)
Giroux, H.A./McLaren, P.(1992) Media Hegemony: Toward a Critical Pedagogy of Representation, Introduction to: Schwoch, J. et al. (1992) Media Knowledge: Readings in Popular Culture, Pedagogy, and Criticalchip (Albany: SUNY Press)
Gramsci, A.(1987) Gedanken zur Kultur (Leipzig: Roderberg)
Griffin, Ch.(1993) Representations of Youth (Cambridge: Polity)
Hall, S./Jefferson, T.(eds.)(1998) Resistance through Rituals: Youth Subcultures in Post-War Britain, 3. Print (New York/ London: Routledge)
Kellner, D.(1995) Media Culture: Cultural Studies, Identity, and Politics Between the Modern and the Postmodern (New York/London.: Routledge)
Mansel, J.(1995) Sozialisation in der Risikogesellschaft (Neuwied: Luchterhand)
Mead, M.(1971) Der Konflikt der Generationen: Jugend ohne Vorbild (Olten: Walter)
Reimer, B.(1995) Youth and Modern Lifestyle, in: Fornas, J./Bolin, G.(eds.)(1995) Youth Culture in Late Modernity (Lon- don: SAGE), 120-144.
Schwoch, J./White, M./Reilly, S.(1992) Media Knowledge: Readings in Popular Culture, Pedagogy, and Criticalchip (Alba- ny: SUNY Press)
Willis, P.(1990) Erziehung zwischen Reproduktion und kulturellen Produktion, in: 32. Jg. Heft 1 Jan./Feb. 1990, 9-28.
참고문헌
부르디외, P.(1995)(정일준 옮김) 상징폭력과 문화재생산 (서울: 새물결)
조혜정(1996) 학교룰 거부하는 아이들,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서울: 또하나의 문화)
정유성(1994) 사람-삶-되살림 1: 인간다운 생존을 위한 교육 (서울: 한울)
- (1996) 역사속의 신세대. 1990년대: 궁핍한 정신, 풍요의 구가, <역사비평> 1996년 가을호, 155-165.
- (1997가) 너그러이 용서하려무나, 또 하나의 문화 편(1997) 새로 쓰는 청소년 이야기 1 (서울: 또 하나의 문화), 17-25.
- (1997나) 교육에 침을 뱉아라: 춤추는 대중문화, 눈먼 교육, 한국 교육인류학회 1997년 추계학술대회 "대중문화와 교육" 발제원고
- (1998가) 사람-삶-되살림 2: 새로운 교육문화 사회운동론 (서울: 한울)
- (1998나) 공동체로의 해방을 위한 사회교육, <평생교육연구> 제4권 제1호, 1998.9. 1-10.
- (1998다) 청소년 문화의 교육적 의미, 한국 교육철학연구회 1998년 학술대회 "문화개방과 문화교육" 발제원고.
청소년백서(1997) 청소년백서 1997(문화체육부)
Ari s, Ph.(1990) Geschichte der Kindheit (Munchen: DTV)
Beck, U.(1986) Risikogesellschaft. Auf dem Weg in eine andere Moderne (Frankfurt am Main: Suhrkamp)
- (1993) Die Erfindung des Politischen (Frankfurt am Main: Suhrkamp)
Clarke, J./Hall, S./Jefferson, T./Roberts, B.(1998) Subcultures, Cultures and Class, in: Hall, S./Jefferson, T. (eds.)(1998) Resistance through Rituals: Youth Subcultures in Post-War Britain (New York/London: Routledge), 9-74.
Cohen, Ph.(1997) Rethinking the Youth Question (London et al.: Macmillan)
Collins, J.(1995) Arcitectures of Excess: Cultural Life in the Information Age (New York/London: Routledge)
Fornas, J.Bolin, G.(eds.)(1995) Youth Culture in Late Modernity (London: SAGE)
Giroux, H.A.(1994) Disturbing Pleasure: Learning Popular Culture (New York/London: Routledge)
Giroux, H.A./Simon, R.I.(1989) Popular Culture, Schooling & Everyday Life (New York: Bergin & Garvey)
Giroux, H.A./McLaren, P.(1992) Media Hegemony: Toward a Critical Pedagogy of Representation, Introduction to: Schwoch, J. et al. (1992) Media Knowledge: Readings in Popular Culture, Pedagogy, and Criticalchip (Albany: SUNY Press)
Gramsci, A.(1987) Gedanken zur Kultur (Leipzig: Roderberg)
Griffin, Ch.(1993) Representations of Youth (Cambridge: Polity)
Hall, S./Jefferson, T.(eds.)(1998) Resistance through Rituals: Youth Subcultures in Post-War Britain, 3. Print (New York/ London: Routledge)
Kellner, D.(1995) Media Culture: Cultural Studies, Identity, and Politics Between the Modern and the Postmodern (New York/London.: Routledge)
Mansel, J.(1995) Sozialisation in der Risikogesellschaft (Neuwied: Luchterhand)
Mead, M.(1971) Der Konflikt der Generationen: Jugend ohne Vorbild (Olten: Walter)
Reimer, B.(1995) Youth and Modern Lifestyle, in: Fornas, J./Bolin, G.(eds.)(1995) Youth Culture in Late Modernity (Lon- don: SAGE), 120-144.
Schwoch, J./White, M./Reilly, S.(1992) Media Knowledge: Readings in Popular Culture, Pedagogy, and Criticalchip (Alba- ny: SUNY Press)
Willis, P.(1990) Erziehung zwischen Reproduktion und kulturellen Produktion, in:
추천자료
[교육사회학] 학교 부적응 청소년을 돕기위한 방안
[교육사회학] 약물남용 청소년의 사회적응 프로그램
교육사회 - 이데올로기, 헤게모니, 문화자본의 개념 및 교육적용
[사회복지/청소년교육] 청소년복지관에서 실행할 청소년 미디어동아리 프로그램 프로포절
북한의 사회문화, 북한의 대중문화, 북한체육(북한스포츠)의 목적, 북한체육(북한스포츠의)의...
[교육사회학] 제 10장. 청소년과 교육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평가] 사회문화적 특징들과 시대적인 요청사항들의 01.특징과 요청사...
[교육사회학] 교육 사회학(Sociology of Education)문화자본 이론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의 주요 개념, 특징, 비판점, 교육의 시사점과 관련하여 서술...
[다문화사회복지] 주관부처별 다문화정책(법무부, 여성가족부, 교육부, 행정자치부, 문화체육...
조선대 다문화사회와 학교교육 기말레포트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비고츠키 이론의 특징과 비판점 및 교육적 시사점)
사회조사방법론=청소년교육과 관련한 연구주제를 선정하여 연구계획서를 작성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