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차별과 멸시를 당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유대인들은 율법이라는 무기로 이방인들을 차별하고 억압하였다. 바울은 이런 차별기능을 정확히 인식하고, 그로인해 차별 당하는 이방 그리스도인들의 자리를 수호하기 위하여 율법의 의가 아닌 믿음의 의를 선언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바울의 의인론은 더 이상 유대인들이 율법이라는 특권을 가지고 이방인들을 차별하고 멸시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이런 맥락에서 바울의 의인론은 강자에 대한 약자의 보호법이며 지배자에 대한 피지배자의 투쟁교과서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또한 바울의 의인론은 모든 불평등과 불의, 착취, 수탈로 점철되는 왜곡된 인간관계에서 생기는 모순된 구조를 해결하려는 구체적이며 치열한 하나님의 해방사건 이었다.
나가며 (Closeing Sentence)
바울은 새로운 피조물, 새로운 인간, 새로운 세계를 위해 투쟁했던 인물이다. 그것은 곧 인간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세계를 위한 투쟁을 지시하는 것일게다. 그의 의인론이 비록 역사적 제약성을 지니고 있지만 근본적인 모티브는 하나님의 세계에 억압과 차별이란 결코 있을 수 없다는 전역사를 포괄하는 보편적인 하나님의 의로운 선언인 것이다.
오늘 이 시대는 지식과 정보가 부족해서 쩔쩔매는 시대가 아니다. 보이는 곳에서나 보이지 않는 곳에서나 진실로 행동하는 양심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앎으로서 끝나버리면 그것은 신학이 아니다. 신학은 신학함(doingtheology)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먼저 인간답게 살아야 한다. 그것은 곧 인간답게 살지 못하도록 만드는 모든 구조에 투쟁과 전쟁을 선포하는 것과 같다. 바울처럼 말이다.
나가며 (Closeing Sentence)
바울은 새로운 피조물, 새로운 인간, 새로운 세계를 위해 투쟁했던 인물이다. 그것은 곧 인간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세계를 위한 투쟁을 지시하는 것일게다. 그의 의인론이 비록 역사적 제약성을 지니고 있지만 근본적인 모티브는 하나님의 세계에 억압과 차별이란 결코 있을 수 없다는 전역사를 포괄하는 보편적인 하나님의 의로운 선언인 것이다.
오늘 이 시대는 지식과 정보가 부족해서 쩔쩔매는 시대가 아니다. 보이는 곳에서나 보이지 않는 곳에서나 진실로 행동하는 양심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앎으로서 끝나버리면 그것은 신학이 아니다. 신학은 신학함(doingtheology)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먼저 인간답게 살아야 한다. 그것은 곧 인간답게 살지 못하도록 만드는 모든 구조에 투쟁과 전쟁을 선포하는 것과 같다. 바울처럼 말이다.
추천자료
역사신학의 이단들
영지주의 연구
바울 서신 해석
동성애에 대한 신약적 고찰
구원 계시의 발전사 II
아이리스 V.컬리의 '성경과 기독교교육' 요약,정리,적용 리포트
예수를 언급하지 않고 기독교적 설교를 할 수 있는가?
[구약성서][구약성경][구약성서와 신약성서 비교]구약성서의 일고, 구약성서의 언어, 구약성...
고린도후서 2장 14절에서 3장 3절 연구
신약의 정경화 과정
바울(롬 4장)과 야고보(2:14-26), 히브리서(11장)가 믿음을 이해
[구원론][믿음][행위][구원론 새 시제][구원론 새 존재][내용][기독론][유아세례]구원론의 의...
[바울신학] 로마서 ~ 히브리서 각권 연구 (저자와 저작시기,기록 목적,핵심어,중심내용,진리...
예배학 기말고사 레포트_예배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