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울 서신 해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장 바울의 복음

제3장 바울의 율법관 연구 동향

제5장 바울이냐 야고보냐

제7장 하나님의 약속과 이스라엘의 미래

제9장 바울과 여성 침묵

제11장 빌립보서의 예수 그리스도 찬가

본문내용

은 빌립보서 찬가 ‘전체’를 놓고 볼 때, 각기 그 찬가의 세부 항목들 중 일부를 희생시켜야 가능하다. 빌립보서 찬가 ‘전체’의 배경으로 영지주의를 설정하는 것은 이미 살펴본 대로 어려우나, 그 찬가의 ‘부분’의 배경을 기독교 영지주의로 설정하는 것은 적합하다. 빌립보교회에 소개된 기독교 영지주의 사상은 예수의 신적 본질을 강조하고 자신들의 본질을 그것과 일치시킨다. 기독교 영지주의 사상을 수용하고 확장하고 수정한 빌립보교회의 찬가 전체를 바울은 다시 수용하고, 확장하고, 수정한다. 이것을 통해 바울은 기독교 영지주의자들이 자신들의 영지와 직관에 의해 자신들의 신성을 회복하려는 것을 거부하고 하나님이 신자들의 영광 회복의 주체임을 밝힌다.
3. 찬가의 기능
빌립보교회는 예수가 하나님의 형체를 지녔다는 인식을 전제한 후, 그러나 “하나님과 동등함을 취할 것으로 생각하지 아니했다”와 “종의 형체를 가졌다”를 부가한다. 이러한 부가는 영지주의의 사상을 부분적으로 수정해 준다.
바울은 유오디아와 순두게의 대립을 염두에 두고 그들에게 같은 마음을 품으라고 권고한다. 그들의 다툼이 바울의 빌립보서 기록 동기 중 하나였을 것이다. 바울의 신적 본질은 스스로 자신을 높이는 데 있지 않고 오히려 자신을 비우고, 낮추는 데 있음을 강조함으로써 빌립보 교인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신성에 대한 집착, 곧 높은 상태에 대한 의식에서 연유되는 다툼과 갈등을 제거하려 하고, 그를 통해 평화 공존을 독려한다.
빌립보교회는 이미 위에서 언급한 내적 분쟁뿐만 아니라, 외적 위협에도 직면해 있었다. 외적 대적자들 때문에 두려워 하는 분위기가 1장 28절에 전제되어 있다. 이러한 정황에 용기를 주기 위해 바울은 에바브로디도의 복종적인 삶의 태도를 빌립보교회가 따라야 할 모델로 소개된다.
빌립보서는 대적자들의 위협 앞에 놓인 위태로운 정황을 염두에 두고 기록한 것이다. 여기서 바울은 그 찬가의 8절에서 복종적인 십자가의 죽음에 대한 강조를 통해 빌립보교회로 하여금 영지주의 사상과 부분적으로 결별하게 하고, 그들에게 외부 위협자들이 가하는 고통에 대한 감내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상징세계를 제공한다.
※비판과 대안
빌립보서 찬가는 바울이 빌립보 교회의 문제 해결에 대한 것으로 제시하는 것의 중심해서 중요한 것을 제시하고 있다. 서중석 교수님의 연구처럼 빌립보 찬가는 빌립보서의 중심 생각을 드러내고 있다. 분문 중 바울의 “하늘 시민권” 언급을 영지주의적인 것으로 보는 시강이 있어서 이것에 대해 언급하려 한다. 당시 빌립보 도시는 부유하였다. 이 도시의 사람들은 로마 시민이라는 점에서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 로마 시민이라는 것은 로마 사회에서 많은 특권을 누릴 수 있음을 뜻하는 것이었다. 이것에 대해 바울은 하늘의 시민권에 대해 언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나님 나라의 시민으로써 겸손한 마음으로 남을 낫게 여기고, 오히려 하늘나라의 시민권을 가진 것에 자랑스러워하면서 살아야 함을 강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았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0.09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54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