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지주의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지주의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II. 영지주의 정의와 기원
1. 영지주의 정의
2. 영지주의 기원
(1) 기독교 이후의 발생설
(2) 기독교 이전 발생설
3. 영지주의자들
III. 주요 사상
1.이원론적 사고
2.구원관
3. 신 관
4. 윤리관
IV. 긍정적 기능과 부정적 기능
1. 긍정적 기능
2. 부정적 기능
V. 결 론

본문내용

구원의 방도는 그리스도의 구속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들의 지식을 통해서 물질의 속박에서 벗어나 하나님의 세계로 돌아가려고 하였던 것이다. 그들의 지식이란 그노시스 혹은 ‘보다 높은 지식’으로서 초자연적 지식을 의마형ㅆ으며 이것은 소수 영적인 지식인에게만 국한된다고 보았으므로 구원이 극소수의 특정인에게만 국한된 것으로 보아 기독교를 편협한 종교로 만들려고 하였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영지주의는 기독교를 혼합주의 종교로 만들려고 했다는 점이다. 영지주의는 유대적 요소, 헬라적 요소, 이런 여러 근원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것들을 모조리 이용해서 기독교적 요소를 가미하여 하나의 우주적인 종교가 되게 하려는 일련의 시도를 하였으며, 기독교를 당시의 종교 풍토에 적응시키려고 했던 것이다. 부우세트는 노스틱주의를 본질적으로 기독교를 벗어난 후퇴적 운동, 즉 보편적 종교의 발흥에 대한 혼합 종교의 반발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그러므로 영지주의는 유대교에 깊이 뿌리박고 있으면서 나중에는 유대교적 요소와 기독교적 교리 그리고 이교 사상의 신비주의적인 것들을 혼합시킨 것으로 영지주의는 이 혼합을 시도하기 위해서 생략과 해석에 의해 적응을 시도하려다 복음을 왜곡시켰던 것이다. 영지주의는 3세기까지는 번창하였으나 얼마 못가서 자취를 감추어 버리고 말았던 것이다. 만일 기독교가 영지주의 이단을 결속하여 대치하지 않고 저들과 제휴하였던들 오늘의 기독교 역사도 저들과 함께 사라졌을 것이다.
V. 결 론
교회사, 뿐만 아니라 종교사는 정통과 이단의 싸움터 그 자체이다. 애초에 정통과 이단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참 진리를 수호한다는 미명하에 권력을 둘러싸고 다투는 세력들이 있고, 좀더 강한 쪽이 나머지를 이단으로 규정하는 과거의 역사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야말로 종교사는 이단을 만들고, 정통이 되기 위해 몸부림치는 싸움터이다.
정통은 이단을 통해 존재한다. 이단이 없이는 정통이 되기도 불가능하다. 예수의 인간성을 부인했던 영지주의나 신성을 부인했던 아리우스주의가 없었다면, 예수가 신이자 동시에 인간이라는 삼위일체 교리도 생겨나지 않았을 것이다. 이렇듯 정통은 이단을 만들어 자신과 차별화 함으로써 비로소 스스로 정통이 된다. 그렇다고 해서 영지주의나 아리우스주의의 주장이 모두 옳다는 것은 아니다. 이단은 스스로 이단이 되는 것이 아니라 정통과의 관계 속에서 이단이 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싶은 것이다.
영지주의가 비밀전승을 주장하고, 자신들만의 무수한 복음서를 집필하고, 그럴듯한 교리로 순진한 신자들을 혼란케 했음은 분명하다. 기독교 신앙의 근본을 뿌리 채 흔들어 놓을 만큼 충격적인 교리들을 여러 차례 주장했고, 때로 어떤 영지주의자들은 신앙의 상징이라고 말할 수 있는 사도신조를 고백하지 않을 만큼 독선적이고, 제멋대로였다. 하지만 이 혼란 뒤에는 사도전승의 재확립과 신약성서 정경 작업의 착수, 사도신경의 확정이라고 하는 발전적인 교회의 반응이 뒤따랐다. 교회의 제도는 더욱 조직적인 모습을 갖추게 되었고, 부활에 대한 영지주의자들의 주장으로 인해 다소 약화될 수 있었던 교회의 권위는 더욱 분명하게 다져질 수 있었다. 확실히 교회는 이른바 영지주의라는 이단을 통해 정통으로서의 위치를 더욱 굳건히 지켜낼 수 있었던 것이다. 결국 영지주의자들은 스스로 정통이라고 자처하는 교회가 더욱 분명하게 정통일 수 있도록 만들었다.
참 고 문 헌
1. Berkhof. Louis. The history of christian doctrine 김진홍, 김정덕공역, 기독교 교리사, 서울 : 세종문화, 1975.
2. Franzen August. Kliene kirchen geschichte 최석우역, 교회사. 서울 분도출판사, 1984
3. Latourette kenneth scott. A history of christianity 윤두혁, 기독교회사 상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79.
4. Williston walker A history of christian church 민경배외 3역 세계 기독교회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5
5. 김의환 기독교회사 서울 성광문화사 1985
6. 외경위경편집부, 외경위경전서, 신약외경iii, 서울 성인사, 1985
7. 김진혜 “요한의 신학 사상과 만데안 문서의 영지주의 비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1984
8. 김헌태 “영지주의와 신약성서에 나타난 그노시스”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 장로회신학대학대학원, 1984.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5.22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79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