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 기간
3. 측정도구와 신뢰도
4. 수중활동 프로그램
5.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교육가능급 및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기능 비교
2. 교육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기능 비교
3.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기능 비교
Ⅳ. 논의 및 결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 기간
3. 측정도구와 신뢰도
4. 수중활동 프로그램
5.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교육가능급 및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기능 비교
2. 교육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기능 비교
3.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기능 비교
Ⅳ. 논의 및 결론
본문내용
지체 아동의 달리기동작 사전·사후 비교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달리기동작 사전·사후 비교는 아래 표 10.과 같다.
표 10.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달리기동작 사전·사후 비교
N
Mean
SD
t-value
Sig.
사전검사 12
5.83
1.95
-5.173
.000
사후검사 12
8.42
1.44
표 10.과 같이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달리기동작 사전·사후 비교에서 사후검사 8.42(±1.44)가 사전검사 5.83(±1.95)보다 유의(P<.001)하게 높게 나타났으므로 달리기동작에 효과가 있었음을 증명하고 있다.
그림 3.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 기능 비교
위 그림 3.에서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 기능 중 착용동작, 걷기동작, 달리기동작 모두 사전보다 사후에서 많은 향상을 보이고 있다.
Ⅳ.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이 연구의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가능급 및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기능 비교에서는 착용동작, 걷기동작, 달리기동작에 있어서 모두 교육가능급이 교육가능급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검사에서 착용동작, 걷기동작에 있어서는 교육가능급이 약간 높았으나 달리기동작에 있어서는 오히려 훈련가능급이 더 높게 나타났다는 점과 사후검사 결과에서 교육가능급 및 훈련가능급의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운동기능 습득에 있어서 교육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이 더 우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장명재 등(1998), 홍양자 등(1995) 그 외 많은 연구에서 제시된 훈련가능급보다 교육가능급의 운동기능 수준과 향상도가 높다는 결과들과 일치하고 있다.
둘째, 교육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동작별 사전·사후 비교에서는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 기능 중 착용동작(P<.001), 걷기동작(P<.001), 달리기동작(P<.001) 모두 사전보다 사후에서 많은 향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지체 아동 중 운동기능 발달이 대체적으로 우수한 교육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에게 인라인 스케이트 활동 제공이 적절하며, 운동기능 습득에도 효과가 있음을 증명해 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동작별 사전·사후 비교에서는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 기능 중 착용동작(P<.001), 걷기동작(P<.001), 달리기동작(P<.001) 모두 사전보다 사후에서 많은 향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가능급 정신지체 아동과 마찬가지의 결과로 운동기능 발달이 대체적으로 낮은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에게도 인라인 스케이트 활동 제공이 적절하며, 운동기능 습득에도 효과가 있음을 증명해 준다고 할 수 있다.
교육가능급 및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동작별 사전·사후 비교에서의 결과들은 운동교육 프로그램을 정신지체 아동들에게 개별적으로 적용한 결과 자세, 이동, 기교영역의 발달이 있었다는 추연구(1990)의 연구와 집단스포츠 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소근육운동기능에 효과가 있었다는 이종길(1999)의 연구, 그리고 체육활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기능 중 대근육,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효과가 있었다는 김경숙 등(2000)의 연구와 맥락을 같이하고 있으며, 수중활동이 정신지체아의 자조기능 중 착탈의, 신변처리, 활동영역 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김경숙 등(1999)의 연구와 일부분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이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했던 인라인 스케이트 활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교육가능급 및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기능 비교에서는 착용동작, 걷기동작, 달리기동작에 있어서 모두 교육가능급이 교육가능급 보다 높았다.
둘째, 교육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동작별 사전·사후 비교에서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 기능 중 착용동작(P<.001), 걷기동작(P<.001), 달리기동작(P<.001)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동작별 사전·사후 비교에서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 기능 중 착용동작(P<.001), 걷기동작(P<.001), 달리기동작(P<.001)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참 고 문 헌 -
권혁선. (1988). 사회극화 놀이가 정신지체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경숙(1994). 교육적 분류에 따른 정신지체아의 체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김경숙, 이종승, 조재훈 (1999). 수중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자조기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국제스포츠과학학술대회, 1197-1209.
김경숙, 조창옥, 조재훈 (1999). 체육활동이정신지체아의 운동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2000년도 한국특수체육학회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77-91.
박경숙(1985). 특수아동의 판별과 교육적 조치에 관한 연구.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이성우 (1989). 교육적 게임이 정신지체아의 신체기능과 사회·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논문.
이종길 (1999). 정신지체아의 집단스포츠활동이 사회적응행동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체육학회지. 제7권 제1호, 73-86.
장명재, 김경숙, 장경호, 최원현 (1998). 특수체육 이론과 실기. 서울:태근.
최경혜. (1993). 놀이가 정신지체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추연구 (1990). 운동교육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감각, 언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양자, 이현민 (1995). 정신지체아의 신체조정력 향상도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지. 제3권 제1호, 13-26.
Crain, C., McLaguhlin, J., & Eisenhart. M. (1983). "The Social and Physicals".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mentally retarded. Vol. 18, No. 4.
Cratty, B. J.(1972). Education Games for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Debver : Publishing Co, p. 9.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달리기동작 사전·사후 비교는 아래 표 10.과 같다.
표 10.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달리기동작 사전·사후 비교
N
Mean
SD
t-value
Sig.
사전검사 12
5.83
1.95
-5.173
.000
사후검사 12
8.42
1.44
표 10.과 같이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달리기동작 사전·사후 비교에서 사후검사 8.42(±1.44)가 사전검사 5.83(±1.95)보다 유의(P<.001)하게 높게 나타났으므로 달리기동작에 효과가 있었음을 증명하고 있다.
그림 3.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 기능 비교
위 그림 3.에서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 기능 중 착용동작, 걷기동작, 달리기동작 모두 사전보다 사후에서 많은 향상을 보이고 있다.
Ⅳ.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이 연구의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가능급 및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기능 비교에서는 착용동작, 걷기동작, 달리기동작에 있어서 모두 교육가능급이 교육가능급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검사에서 착용동작, 걷기동작에 있어서는 교육가능급이 약간 높았으나 달리기동작에 있어서는 오히려 훈련가능급이 더 높게 나타났다는 점과 사후검사 결과에서 교육가능급 및 훈련가능급의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운동기능 습득에 있어서 교육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이 더 우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장명재 등(1998), 홍양자 등(1995) 그 외 많은 연구에서 제시된 훈련가능급보다 교육가능급의 운동기능 수준과 향상도가 높다는 결과들과 일치하고 있다.
둘째, 교육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동작별 사전·사후 비교에서는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 기능 중 착용동작(P<.001), 걷기동작(P<.001), 달리기동작(P<.001) 모두 사전보다 사후에서 많은 향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지체 아동 중 운동기능 발달이 대체적으로 우수한 교육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에게 인라인 스케이트 활동 제공이 적절하며, 운동기능 습득에도 효과가 있음을 증명해 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동작별 사전·사후 비교에서는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 기능 중 착용동작(P<.001), 걷기동작(P<.001), 달리기동작(P<.001) 모두 사전보다 사후에서 많은 향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가능급 정신지체 아동과 마찬가지의 결과로 운동기능 발달이 대체적으로 낮은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에게도 인라인 스케이트 활동 제공이 적절하며, 운동기능 습득에도 효과가 있음을 증명해 준다고 할 수 있다.
교육가능급 및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동작별 사전·사후 비교에서의 결과들은 운동교육 프로그램을 정신지체 아동들에게 개별적으로 적용한 결과 자세, 이동, 기교영역의 발달이 있었다는 추연구(1990)의 연구와 집단스포츠 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소근육운동기능에 효과가 있었다는 이종길(1999)의 연구, 그리고 체육활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기능 중 대근육,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효과가 있었다는 김경숙 등(2000)의 연구와 맥락을 같이하고 있으며, 수중활동이 정신지체아의 자조기능 중 착탈의, 신변처리, 활동영역 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김경숙 등(1999)의 연구와 일부분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이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했던 인라인 스케이트 활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교육가능급 및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기능 비교에서는 착용동작, 걷기동작, 달리기동작에 있어서 모두 교육가능급이 교육가능급 보다 높았다.
둘째, 교육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동작별 사전·사후 비교에서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 기능 중 착용동작(P<.001), 걷기동작(P<.001), 달리기동작(P<.001)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의 동작별 사전·사후 비교에서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 기능 중 착용동작(P<.001), 걷기동작(P<.001), 달리기동작(P<.001)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참 고 문 헌 -
권혁선. (1988). 사회극화 놀이가 정신지체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경숙(1994). 교육적 분류에 따른 정신지체아의 체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김경숙, 이종승, 조재훈 (1999). 수중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자조기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국제스포츠과학학술대회, 1197-1209.
김경숙, 조창옥, 조재훈 (1999). 체육활동이정신지체아의 운동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2000년도 한국특수체육학회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77-91.
박경숙(1985). 특수아동의 판별과 교육적 조치에 관한 연구.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이성우 (1989). 교육적 게임이 정신지체아의 신체기능과 사회·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논문.
이종길 (1999). 정신지체아의 집단스포츠활동이 사회적응행동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체육학회지. 제7권 제1호, 73-86.
장명재, 김경숙, 장경호, 최원현 (1998). 특수체육 이론과 실기. 서울:태근.
최경혜. (1993). 놀이가 정신지체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추연구 (1990). 운동교육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감각, 언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양자, 이현민 (1995). 정신지체아의 신체조정력 향상도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지. 제3권 제1호, 13-26.
Crain, C., McLaguhlin, J., & Eisenhart. M. (1983). "The Social and Physicals".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mentally retarded. Vol. 18, No. 4.
Cratty, B. J.(1972). Education Games for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Debver : Publishing Co, p. 9.
추천자료
발달장애아(뇌성마비, 정신지체)아의 기초학습기능 향상법
정신간호학실습-MDD 주요 우울성 기능저하증(major depressive disorder)케이스
운동과 정신건강
[장애][장애인]장애(장애인)정의, 장애(장애인)범주, 장애(장애인)특성(지체장애, 뇌성마비, ...
[시민단체][NGO][시민운동]시민단체(NGO)의 특징, 시민단체(NGO)의 기능, 시민단체(NGO)의 조...
[모든학과] [심리학]스포츠 심리학의 운동과 정신건강에 관한 자료
생물학적 측면과 심리사회적인 측면에서 인간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고 이러한 인간의 이해를 ...
[흡연][질환][운동][성기능][비만][흡연의 병태생리][흡연의 피해]흡연의 영향, 흡연의 요인,...
영아기 발달의 특성(신체운동발달, 인지발달, 언어발달, 사회정서 발달)에 대해 요약 정리. ...
정신생물학적 측면과 심리사회적인 측면에서 인간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고 이러한 인간이해를...
생물학적 측면에과 심리사회학적인 측면에서 인간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고 정신간호사의 역할...
NGO(시민단체, 비정부기구) 개념, 역할과 기능, NGO(시민단체, 비정부기구) 활동양식, 인권단...
중추신경계 : 뇌 (대뇌피질의 구조, 대뇌피질의 기능, 기저핵, 변연계, 수의운동 흥분 전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