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장한다는 점에서 사실상 일종의 신비주의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신비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노자 역시 자신의 주장에 대한 어떤 합리적인 설명도 제시하지 않고 있다. 그의 가르침은 의도적으로 애매모호하고 불명료하며, 흔히 한 가지 이상의 다층적인 의미로 해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노자는 여러곳에서 성인이 지니고 있는 우주의 신비를 꿰뚫어보는 특이한 통찰력을 지시하는 말로서 빛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주의 신비는 "우리의 감각 능력이나 인식 능력을 초월하는, 빛으로 가득 찬 어두움"이다. 그렇다면 노자는 분명히 신비주의자이다. 그러나 노자는 어느 정도 신비주의자일까? 왜나하면 신비주의에도 단순한 명상에서부터 황홀경의 경지에 이르기까지의 갖가지 단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노자의 신비주의에 대해 어떤 단정을 내린다는 것은 쉽지않은 일이다. 우선 도덕경 그 자체가 도가의 신비주의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제공해주지 않고 있다. 단지 장자에 이러한 문제와 관련이 있어 보이는 몇가지 암시적인 구절이 있을 뿐이다.
이쯤에서 결론을 내려보자.
지금까지 우리는 노자와 그가 저서했다고 하는 도덕경에 대해 알았보았다. 그리고 공자만큼 잘 알려지지 않은 노자에 대해 공부해보면 아주 신비롭고 전에 보지 못한 사상이 여러분들의 속으로 들어가 자리잡게 될 것입니다.
사실 저는 아직까지 노자가 정녕 누구였는지 또 우리에게 무엇을 주고 갔는지 참 의문점이 많이 남습니다.
[참고 문헌]
노자와 도교 -막스칼덴마르크-
백서도덕경-老子를 읽는다 -박희준-
중국사상사 -동경대 중국철학 연구실-
중국철학사 -가노나오키-
노자는 여러곳에서 성인이 지니고 있는 우주의 신비를 꿰뚫어보는 특이한 통찰력을 지시하는 말로서 빛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주의 신비는 "우리의 감각 능력이나 인식 능력을 초월하는, 빛으로 가득 찬 어두움"이다. 그렇다면 노자는 분명히 신비주의자이다. 그러나 노자는 어느 정도 신비주의자일까? 왜나하면 신비주의에도 단순한 명상에서부터 황홀경의 경지에 이르기까지의 갖가지 단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노자의 신비주의에 대해 어떤 단정을 내린다는 것은 쉽지않은 일이다. 우선 도덕경 그 자체가 도가의 신비주의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제공해주지 않고 있다. 단지 장자에 이러한 문제와 관련이 있어 보이는 몇가지 암시적인 구절이 있을 뿐이다.
이쯤에서 결론을 내려보자.
지금까지 우리는 노자와 그가 저서했다고 하는 도덕경에 대해 알았보았다. 그리고 공자만큼 잘 알려지지 않은 노자에 대해 공부해보면 아주 신비롭고 전에 보지 못한 사상이 여러분들의 속으로 들어가 자리잡게 될 것입니다.
사실 저는 아직까지 노자가 정녕 누구였는지 또 우리에게 무엇을 주고 갔는지 참 의문점이 많이 남습니다.
[참고 문헌]
노자와 도교 -막스칼덴마르크-
백서도덕경-老子를 읽는다 -박희준-
중국사상사 -동경대 중국철학 연구실-
중국철학사 -가노나오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