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방교육재정의 개념
2. 우리 나라 지방교육재정의 특성
3. 지방교육재정의 재원
4. 지방교육재정법의 개정
5. 지방교육재정의 운영
2. 우리 나라 지방교육재정의 특성
3. 지방교육재정의 재원
4. 지방교육재정법의 개정
5. 지방교육재정의 운영
본문내용
부금의 재원 확충
(종전) 내국세 총액의 1,000분의 118(11.8%) →
(개정) 내국세 총액의 1,000분의 130(13%)로 확충
② 지방자치단체의 교육특별회계 전출 금액 인상
(종전) 시·도세의 2.6% →
(개정) 시·도세의 3.6%로 인상
3) 시행 : 2001년 1월 1일
5. 지방교육재정의 운영
1) 예산의 편성 : 교육감은 산하 교육기관 및 교육행정 기관의 예산 요구서를 기초로 하여 예산안을 작성하여 회계연도 개시 60일 전까지 교육위원회에 제출한다.
2) 예산의 심의 : 교육위원회는 예산안을 심의하여 회계연도 개시 40일 전까지 시·도 의회에 제출한다.
3) 예산의 의결 : 시·도 의회는 소관 상임위원회와 예산 결산 특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예산안을 의결하여 예산을 확정한다.
(종전) 내국세 총액의 1,000분의 118(11.8%) →
(개정) 내국세 총액의 1,000분의 130(13%)로 확충
② 지방자치단체의 교육특별회계 전출 금액 인상
(종전) 시·도세의 2.6% →
(개정) 시·도세의 3.6%로 인상
3) 시행 : 2001년 1월 1일
5. 지방교육재정의 운영
1) 예산의 편성 : 교육감은 산하 교육기관 및 교육행정 기관의 예산 요구서를 기초로 하여 예산안을 작성하여 회계연도 개시 60일 전까지 교육위원회에 제출한다.
2) 예산의 심의 : 교육위원회는 예산안을 심의하여 회계연도 개시 40일 전까지 시·도 의회에 제출한다.
3) 예산의 의결 : 시·도 의회는 소관 상임위원회와 예산 결산 특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예산안을 의결하여 예산을 확정한다.
추천자료
지방자치:지방자치단체의 권한과 지방행정에대한 국가관여와 통제
[지방자치]지방자치의 개념, 지방자치의 의의, 지방자치제도의 역사, 지방자치의 필요성, 지...
지방자치제의 정의, 지방자치의 형태, 지방자치의 제도적 변천과 전개과정, 지방자치의 일반...
[지방자치제도]지방자치제도의 배경, 필요성, 장단점, 문제점, 경영전략, 발전과제 분석(지방...
[갈등][세대 갈등][학교공동체 구성원간 갈등][대인적 갈등][노사 갈등][지방자치단체간 갈등...
지방자치단체법상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지방자치단체]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와 종류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여가정책 집행 & 특수 계층에 대한 지원과 정책 [대구지방단체]
[사회복지법제론] 사회복지와 자치법규 (사회복지와 자치법규, 지방의회와 지방자치단체의 장...
[지방자치의 내용] 지방자치단체의 종류와 집행기관, 지방자치단체의 권한, 변화의 물결
[지방자치地方自治단체의 사무 및 자치권]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지방자치단체 자치권
[지방자치단체의 수입] 지방재원의 의의(개념정의), 재원의 종류(자치단체의 자체재원 및 의...
지방자치단체장의 의의(개념정의), 지방자치단체장 권한과 역할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 지방자치권의 의의(개념정의)와 특징(특성), 자치권의 종류(자치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