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공동체의 활용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 현재로선 전혀 문제될 것이 없는 상태”라고 밝혔다.
한국정보문화센터(www.icc.or.kr) 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의 이수진 선임연구원은 “아직 실체를 정확히 확인하지 못했다”면서 “소수의 사이버 팸은 이기주의, 개인주의적 경향이 강하다는 청소년들이 실제로는 끈끈한 끈이나 정을 중요시하고 있다는 반증”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현재 가족에서 애정을 충분히 나누지 못하거나, 자녀로서의 역할에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므로 오히려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필요한 때”라고 덧붙였다.
사이버문화연구소(http://cyberculture.re.kr)의 민경배 소장은 “간접 체험을 즐기려는 ‘역할놀이’나 현실 가족 관계에서 불만을 느낀 청소년들이 확장된 가족 관계를 만들어 대안을 찾는 현상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재의 여론몰이에 대해 그는 “단순히 새로운 현상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점만 부각하고 있을 뿐 왜 온라인을 통해 새로운 관계를 추구하고 있는지에 대한 진단이 없다”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ECONOMIST iWeekly 102 호 | 입력날짜 2002.05.13
관련사이트 프리챌 네오위즈 다음커뮤니케이션 한국정보문화센터 사이버문화연구소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10.30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94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