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AIDS(에이즈에 대하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AIDS의 개관>
1. AIDS의 정체
2.기회감염

<2. HIV Virus>
1.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2. HIV 바이러스가 사람한테 옮기는 경우
3. HIV 분열 방법
4. HIV Virus의 감염 후 체내 동태
5. 레트로 바이러스(retrovirus)

<3. 증상>
1. AIDS의 증상 개관
2. 증상 분석
1) 감염 직후 초기에 나타날 수 있는 증상
2) 에이즈가 발병하면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
3) HIV에 의한 신경학적 증상

<4. AIDS의 치료>
1. AIDS 치료의 개관
2. 약물 치료

<5. AIDS의 예방방법>
※ 미국 대학보건협회가 제시한 AIDS 예방법

<6. AIDS 환자 관리>

본문내용

bitors (NNRTIs)의 종류에는 delavirdine, nevirapine,efavirenz,등이 있다.
세 번째로 protease inhibitors라는 약들이 새로 개발되었다.
이는 바이러스가 세포속에서 분열한 후 세포밖으로 나오는 것을 억제하는 약물로 ritonavir, saquinivir, indinavir, nelfinavir.등이 이에 속한다.
한가지 약으로만 치료를 하면 HIV가 약에 내성이 생겨 더 이상 듣지 않는 것이 문제이다. 따라서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s와 protease inhibitors를 동시에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로는 어떠한 약도 에이즈나 HIV감염을 완치시키지는 못한다. 또한 심각할 수도 있는 부작용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ZT는 특히 에이즈 발병 초기가 아닌 나중에 복용하면 빈혈이라든지, 백혈구수의 감소 등 심각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이 발생할 경우는 AZT복용을 중지해야 한다. 또,didanosine (ddI)은 췌장염이나 신경손상을 나타낼 수 있다.
protease inhibitors에의한 가장 흔한 부작용은 오심, 설사, 기타 위장관 증상을 나타낸다. 그 외에도 protease inhibitors는 다른 약들과 상호작용을 하여 심각한 다른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HIV 바이러스에 관한 약 외에도 에이즈가 발병하면서 나타나는 기회감염(opportunistic infection)의 치료제들도 있다. 예를 들어,foscarnet과 ganciclovir는 사이토 메갈로 바이러스(cytomegalovirus)에 의한 눈의 감염을 치료하는데 이용되고 fluconazole은 곰팡이 감염에,그리고 아주 중요한 Pneumocystis carinii pneumonia (PCP-Pneumocystis carinii 라는 기생충에 의한 기회감염)치료에 TMP/SMX(흔히 bactrim이라고도 함)또는 pentamidine이 이용된다. CD4+ T-cell의 숫자가 200 이하로 떨어지면 Pneumocystis carinii pneumonia를 예방하기 위해 약을 복용한다.
그리고 에이즈에 의한 기회감염 외에도 에이즈 때문에 카포지 육종(Kaposi's sarcoma)을 비롯한 종양이 발생하는데, 이 의 치료는 방사선 치료,항암제,또 알파 인터페론(alpha interferon),등으로 치료를 하게 된다.
『 Ⅴ. AIDS의 예방방법 』
◎ 에이즈와 싸우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
① 치료방법에 관한 연구
② 백신에 관한 연구
③ 예방과 교육
이중 첫 번째, 두 번째 방법에 확실치가 않으므로 아직까지는 세 번째 방법인 예방과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
HIV감염자는 수년간 증상이 없기 때문에 자신의 성적 파트너가 HIV 검사를 주기적으로 하지 않는 한 HIV에 감염 여부를 알 수가 없다. CDC에서는 성관계시에는 꼭 콘돔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HIV에 감염된 여성이 임신을 할 경우는 아기로 감염되는 것을 막기위해 임신기간중과 분만시에 엄마가 AZT를 복용하여야 하며, 태어난 아기는 AZT를 6주동안 복용하여야 한다. 이렇게 하면 HIV에 감염된 여성에서 아기에게 HIV감염되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고 한다.
※ 미국 대학보건협회가 제시한 AIDS 예방법
① AIDS는 쉽사리 거리는 병이 아니다.
-잡담을 하거나 악수를 하는 따위의 일상적인 대인접촉만으로는 전염되지 않는다.
-기침등의 비말감염으로는 전염되지 않는다.
-수영장이나 목욕탕 같은 곳이 AIDS를 전염시키는 온상이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기우이다.
-식기나 음식물을 통해서는 전염되지 않는다.
-환자가 접촉했던 물체에 의해 전염되는 일은 없으므로 손잡이, 난간, 돈 따위를 꺼림칙하게 생각할 필요 없다.
-직장이나 학교와 같은 집단생활에서도 전염될 염려가 없다.
-병원이나 이·미용원 등에서도 AIDS에 전염되지 않을까 걱정할 필요 없다.
-AIDS나 ARC 환자가 함께 살더라도 성관계를 갖거나 주사침, 면도기, 칫솔 등을 공동 사용하지 않는 한 크게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② AIDS는 이렇게 전파된다.(전염원-AIDS환자의 혈액 및 체액)
-감염된 혈액 또는 혈액제제
-감염된 사람과의 성행위
-오염된(또는 소독되지 않은) 주사기 및 주사바늘과 면도칼, 칫솔 등
-감염된 어머니로부터 태어난 신생아(수직감염)
③ 이런 경우에 AIDS에 걸릴 위험성이 있다.
-동성연애 등 난잡한 성생활
(특히 상처입기 쉬운 항문성교, 오랄섹스, 깊고 격렬한 키스 등)
** 타액에도 HTLV-Ⅲ가 존재하긴 하지만 타액이 AIDS를 전염시킨다는 확실한 증거는 아직 없다. 그러나 키스가 격렬할 경우 입안에 상처가 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AIDS 항체양성자와의 성행위
-혈우병환자
-혈액제제 사용
-정맥주사를 통한 마약 등 의약품의 지속적인 투여 등
『 Ⅵ. AIDS 환자 관리 』
HIV에 감염후 에이즈가 발병하게되면 몸의 면역상태를 체크해야 한다.
면역상태를 검사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CD4+ T-cell의 숫자를 세는 것이다. 또 한가지 방법은 몸안에 바이러스가 얼마나 있는지(viral load) 알아보는 방법이다. CD4+ T-cell의 숫자는 많을수록 바이러스 숫자(viral load)는 적을수록 면역기능이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의 경우 에이즈 환자는 보통 3-4개월마다 이 두가지 검사를 해서 두 가지 검사의 결과를 토대로 치료방침을 결정하게 됩니다.
¥ 참고문헌 ¥
1. 세브란스 병원(1990). 감염관리지침
2. 김준명(1993). 병원감염. 세브란스 병원 Q.A. 워크샵 유인물
3. American Hospital Association(1989). Management of HIV infection in the hospital. AJIC, 17(4), 24A-44A.
4. 파스퇴르 연구소 - 뤽 몽따니에
http://aids.or.kr
http://aids.hallym.ac.kr
http://aids.webmdb.com/aids/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2.11.01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99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