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9세기 변혁사상의 대두와 새로운 변혁세력
2. 서학•천주교의 도전과 정부의 탄압
(1) 서학 연구와 천주교 수용
조선 후기에는 농업생산의 증대와 상품화폐경제의 발달에 힘입어 급격한 농민층 분해와 신분제의 동요가 일어났다. 그리고 반주자학적 입장의 실학사상이 대두하였다. 이러한 봉건제 해체기의 양상들은 지주전호관계의 모순을 더욱 심화시킴으로써 농민들의 항조투쟁(抗租鬪爭)을 고양시켰다. 더 나아가 이러한 바탕 위에서 농민들의 부세투쟁(賦稅鬪爭)이 격렬해졌다. 이른바 ‘민란의 시대’가 시작된 것이다. 또한 그만큼 봉건지배층의 위기의식이 가중되었다.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경우, 자기가 살고 있는 시대를 모든 사람이 난(亂)을 생각할 만큼 심각한 위기의 시대라고 단정할 정도였다.
그러한 점에서 이 시기 천주교의 수용과 서학연구는 서세동점(西勢東漸)의 결과라는 외부적 요인에서만 비롯된 것이 아니라 사회변혁을 희구하던 조선사회의 내재적 요청에 따른 것이었다. 한편 이시기 서구자본주의 열강이 조선에 형태를 달리하면서 봉건지배층 및 민에게 새로운 위기의식의 대상으로 다가왔음은 물론이다.
15세기 말 지리상의 발견 이후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비롯한 중상주의국가는 그들의 원료공급지를 구하기 위해 동아시아 지역까지 침략의 손길을 뻗치기 시작했다. 지리상의 발견에 가장 열을 올린 포르투갈의 경우, 1498년에 바스코 다 가마가 아프리카 남단의 희망봉을 돌아서 인도 서해안의 캘리컷에 도착하였다. 이어서 포르투갈은 1510년에 동방진출의 거점으로서 고아를 공략하였고, 1511년에는 말레이시아 반도의 말라카에 진출하였다. 또한 1557년에는 중국과 일본에 진출하기 위한 거점으로서 마카오를 강점하였다.
에스파냐의 경우, 마젤란은 1519∼22년에 대서양을 거쳐 남아메리카주 남단에 있는 마젤란해협을 돌아서 필리핀제도에 이르렀으며, 세계일주를 완수하여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실증했다. 그후 에스파냐는 필리핀을 식민지로 만들어 마닐라에 아시아 진출을 위한 거점을 구축하였다. 이와 같이 이들 나라가 아시아 침략에 열을 올린 것은 종래 이슬람 상인의 독점을 제치고 인도나 동남아시아의 향신료 무역을 서로 독점하려는 데 있었다. 육식을 주로 하는 유럽의 식생활에서 향신료는 귀중하고도 고귀한 물건이었다.
포르투갈이나 에스파냐는 아시아 진출에서 다 같이 무역과 포교를 배합하는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아시아에서 획득한 식민지를 무역 이권과 종교전도의 거점으로 삼았다. 당시 그들은 “무엇 때문에 동양에 가는가”라고 물으면 “스파이스와 이나마(영혼)를 위하여”라고 대답했다. 따라서 아시아에서의 전도활동에도 양국의 이해관계를 반영한 각 교파간의 갈등이 생겼다.
2. 서학•천주교의 도전과 정부의 탄압
(1) 서학 연구와 천주교 수용
조선 후기에는 농업생산의 증대와 상품화폐경제의 발달에 힘입어 급격한 농민층 분해와 신분제의 동요가 일어났다. 그리고 반주자학적 입장의 실학사상이 대두하였다. 이러한 봉건제 해체기의 양상들은 지주전호관계의 모순을 더욱 심화시킴으로써 농민들의 항조투쟁(抗租鬪爭)을 고양시켰다. 더 나아가 이러한 바탕 위에서 농민들의 부세투쟁(賦稅鬪爭)이 격렬해졌다. 이른바 ‘민란의 시대’가 시작된 것이다. 또한 그만큼 봉건지배층의 위기의식이 가중되었다.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경우, 자기가 살고 있는 시대를 모든 사람이 난(亂)을 생각할 만큼 심각한 위기의 시대라고 단정할 정도였다.
그러한 점에서 이 시기 천주교의 수용과 서학연구는 서세동점(西勢東漸)의 결과라는 외부적 요인에서만 비롯된 것이 아니라 사회변혁을 희구하던 조선사회의 내재적 요청에 따른 것이었다. 한편 이시기 서구자본주의 열강이 조선에 형태를 달리하면서 봉건지배층 및 민에게 새로운 위기의식의 대상으로 다가왔음은 물론이다.
15세기 말 지리상의 발견 이후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비롯한 중상주의국가는 그들의 원료공급지를 구하기 위해 동아시아 지역까지 침략의 손길을 뻗치기 시작했다. 지리상의 발견에 가장 열을 올린 포르투갈의 경우, 1498년에 바스코 다 가마가 아프리카 남단의 희망봉을 돌아서 인도 서해안의 캘리컷에 도착하였다. 이어서 포르투갈은 1510년에 동방진출의 거점으로서 고아를 공략하였고, 1511년에는 말레이시아 반도의 말라카에 진출하였다. 또한 1557년에는 중국과 일본에 진출하기 위한 거점으로서 마카오를 강점하였다.
에스파냐의 경우, 마젤란은 1519∼22년에 대서양을 거쳐 남아메리카주 남단에 있는 마젤란해협을 돌아서 필리핀제도에 이르렀으며, 세계일주를 완수하여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실증했다. 그후 에스파냐는 필리핀을 식민지로 만들어 마닐라에 아시아 진출을 위한 거점을 구축하였다. 이와 같이 이들 나라가 아시아 침략에 열을 올린 것은 종래 이슬람 상인의 독점을 제치고 인도나 동남아시아의 향신료 무역을 서로 독점하려는 데 있었다. 육식을 주로 하는 유럽의 식생활에서 향신료는 귀중하고도 고귀한 물건이었다.
포르투갈이나 에스파냐는 아시아 진출에서 다 같이 무역과 포교를 배합하는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아시아에서 획득한 식민지를 무역 이권과 종교전도의 거점으로 삼았다. 당시 그들은 “무엇 때문에 동양에 가는가”라고 물으면 “스파이스와 이나마(영혼)를 위하여”라고 대답했다. 따라서 아시아에서의 전도활동에도 양국의 이해관계를 반영한 각 교파간의 갈등이 생겼다.
추천자료
기독교교육과정분석 (종교교육과정분석 - 기독교교과목, 기독교대안학교)
발건강 관리에 대한 이해, 발의 기본 상식, 발관리 일반, 발반사 요법, 발톱 관리, 올바른 제...
노인학댕의 현황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
[경세치용학파][중농학파][실학사상][유형원][이익][정약용]경세치용학파(중농학파) 실학사상...
[가톨릭교회][카톨릭교회][천주교회][성당]가톨릭교회(카톨릭교회, 천주교회, 성당)의 개념, ...
가사를 찾아가는 길
[인간복제]인간복제의 의미, 인간복제의 위험성, 인간복제의 피해, 인간복제와 무아윤회, 인...
[금연][금연운동][금연프로그램][담배][흡연][간접흡연][담배연기]금연의 분류, 금연의 과정,...
알코올 중독에 대한 치료적 접근
한국교회 제사의 문제점, 유래, 역사, 의미, 제사문제 논쟁, 조상제사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
이혼
한국 가족의 전통적 가족가치관과 변화된 가족가치관에 대해 서술. 그리고 가족과 관련된 드...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그의 생애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