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전학파의 거시이론
(2) 케인즈의 거시이론
(2) 케인즈의 거시이론
본문내용
, 케인즈의 소득이론을 접목시킨 신고전학파(neo-classical)가 등장하였다.
가 통화주의의 등장
- 또 post-Keynesian(New Keynesian Economics)도 등장하였다.
가 이들은 케인즈학파이면서 신고전학파의 논리, 특히 합리적 기대론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가 그러나 기본적인 틀인 가격의 경직성은 그대로 유지한다.
가 통화주의의 등장
- 또 post-Keynesian(New Keynesian Economics)도 등장하였다.
가 이들은 케인즈학파이면서 신고전학파의 논리, 특히 합리적 기대론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가 그러나 기본적인 틀인 가격의 경직성은 그대로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