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4대정신의 형성과 위상
Ⅲ. 4대정신의 의미와 구조
1. 무실
2. 역행
3. 충의
4. 용감
Ⅳ. 4대정신의 뿌리
Ⅴ. 4대정신의 실천
Ⅵ. 현대 국민교육에 주는 시사점
Ⅱ. 4대정신의 형성과 위상
Ⅲ. 4대정신의 의미와 구조
1. 무실
2. 역행
3. 충의
4. 용감
Ⅳ. 4대정신의 뿌리
Ⅴ. 4대정신의 실천
Ⅵ. 현대 국민교육에 주는 시사점
본문내용
그 실천적 삶이 오늘의 국민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몇 가지로 요약하는 것으로 결론을 삼고자 한다.
오늘날 우리 교육은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음을 누구나 걱정한다. 그 위기의 실상이 무엇인가? 그것은 도덕적 타락과 교육력의 약화라고 할 수 있다. 그 원인은 교육 외적인 측면과 교육 내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外的으로는 부정부패와 황금만능주의에 병든 사회에서 오는 價値의 顚倒 현상이다. 목적을 위하여 수단이 정당화되고 양심이 마비되어 부정과 부패에 대한 심한 불감증에 걸려 있다. 內的으로는 오직 입시 위주의 교육에서 오는 인간교육의 부재는 물론, 스스로 생각하고 창조하는 智力의 계발에도 실패하여 지식교육 자체에도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외적 원인과 내적 원인은 서로 어울려 그 선후를 가릴 수 없게 되었다. 사회가 교육을 오염시키고, 교육은 사회를 정화하고 선도하는 능력을 상실했다.
한국 교육이 당면한 위기를 이렇게 진단해 볼 때 도산의 誠實思想은 국민교육의 개혁 방향을 모색하는데 많은 시사를 줄 것이다. 이를 여섯 가지로 요약해 본다.
첫째는 한국 교육이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의 정립이다. 올바른 교육 목적의 정립 없이 교육의 성공을 바랄 수 있겠는가? 그 동안 우리의 교육은 당면한 목표에만 급급하여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목적의 설정보다 지엽 말단의 수단적 가치 추구에 급급해 왔다. 작게는 눈 앞에 있는 시험 점수를 올리는 것이고, 좀더 크게는 정권 안보 차원에서 특정 이데올로기의 주입이나 물질적 생산성 향상을 위한 도구로 전락시켰다. 어렵고 급할 때일수록 교육은 원대하고 근본적인 시각에서 그 방향을 설정해야 함을 도산은 가르치고 있다.
둘째는 국민교육은 사회교육과 학교교육을 포괄하는 거시적 차원에서 구상하고 추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도산은 조국의 앞날이 가장 암울했던 시대에 민족 앞에 이상과 희망을 제시하였고, 민족의 독립과 자존을 위한 원대하고 치밀한 방략을 제시하였다. 그의 독립운동 방략은 군사 정치 경제 외교 교육 등 다방면에 걸친 총체적 접근이었다. 도산이 실천한 모든 사업은 모두가 독립이라는 하나의 목적을 향했고, 근본을 인격혁명에 두었다는 점에서, 넓은 의미의 민족교육이며 동시에 독립운동이었다.
셋째는 교육에서의 정직성의 재인식이다. 죽은 덕목으로서의 정직 이 아닌 참으로 정직한 삶을 실천하는 실질적인 도덕성 회복을 위한 가치를 재 인식해야 한다. 우리의 교육을 眞과 正을 기초로 하여 다시 세우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의 학교에서 정직과 성실이 모든 교육적 가치의 최우선이 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정직은 단순히 윤리적 덕목의 하나가 아니고, 모든 것의 시작이며 기초이기 때문이다. 율곡선생도 학문(교육)은 어두운 방에서도 스스로를 속이지 않는 데서 시작된다. 고 했다.
넷째는 교육에 있어서 인식과 실천의 통일이다. 도산의 글이나 말씀을 그것만 떼어놓고 보면, 진부한 도덕 교과서처럼 보일 수도 있다. 도산의 위대함은 그의 삶과 결합시킬 때 비로소 참된 가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는 스스로 깨달은 것을 실천함으로써 가르쳤다. 자신의 앎은 스스로 삶 속에서 체득한 것이며, 뜨거운 조국애와 민족애로 승화되어 입을 열면 웅변이 되어 듣는 이에게 깊은 감동을 주었다. 그는 말씀과 행동, 앎과 삶이 하나로 통일되었기에 더욱 깊은 감동을 준다.
다섯째 도산은 참된 민주적 교사상과 민주적 지도자의 전형을 보여 주었다. 그는 청소부에서 대통령까지 어떤 직에 있어도 어울릴 그런 인물이다. 지극히 평범하면서도 비범한 인물이다. 그의 리더쉽은 카리스마적인 권위를 바탕으로 한 것이 아니며, 따뜻한 인간애와 합리적 실천을 통한 솔선수범의 지도자 였다. 도산의 생애와 사상을 통하여 민주사회의 참된 교사상과 지도자상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의식개혁 운동으로서의 흥사단 운동의 재평가와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의식개혁은 자율적 자기반성을 통해서 가능하며, 동시에 연대감을 통한 범국민적 대중운동을 통해서 가능하다. 정직하게 살고자 하는 사람들이 단결하여, 약해지는 스스로의 의지를 격려 강화하고, 다수의 눈으로 소수의 거짓과 부정을 감시하고, 아울러 단결된 힘으로 불의와 부정에 맞서 싸워야 한다. 그리하여 다수의 힘으로, 정직한 삶이 현실적으로도 이롭고, 거짓된 삶이 손해를 본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입증해 주어야 한다. 의식개혁은 끊임없는 자기반성과 자아혁신이 필요조건이지만, 동시에 단결된 다수의 힘이 수반되어야 한다. 여기에 흥사단 운동의 존재 의의가 있다.
< 참고 문헌>
島山紀念事業會(편). 「安島山全書(中)」. 汎洋社出版部,1990.
島山思想硏究會(편).「島山思想硏究 第1集」. 興士團出版部, 1986.
島山思想硏究會(편).「島山思想硏究 第2集:변혁기의 개혁운동과 도산사상」. 연구사, 1993.
島山思想硏究會(편). 「安島山全書(下)」. 범양사출판부,1993.
尹絲淳.「韓國儒學論究」. 玄岩社,1980.
李光洙. 「島山安昌浩」. 大成文化社,1947.
李萬珪. 「朝鮮敎育史」(1,2).거름,1988.
李萬根(編). 「島山餘錄」. 흥사단출판부,1986.
李珥. 「栗谷全書」.
朴義洙(外). 「興士團運動七十年史」. 興士團出版部,1986.
朴義洙(外). 「島山과 힘의 哲學」. 흥사단출판부,1986.
朴義洙, 安島山의 漸進主義 敎育思想과 그 現代的 意義 「江南大學論文集 第17集」 1987.
박현환. 「흥사단운동」. 대성문화사,1955.
宋建鎬. 「韓國 人物史論」. 한길사, 1985.
安秉煜. 「島山思想」. 三育出版社, 1972.
安秉煜. 「民族의 스승 島山安昌浩」. 흥사단,1966.
兪東濬. 「兪吉濬傳」. 일조각,1987.
張利郁. 「島山의 人格과 生涯」. 大成文化社,1973.
張乙炳. 「인물로본 한국 민족주의」. 범우사,1988.
趙要翰(외). 「哲學的 人間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
朱耀翰 (편저). 「安島山全書」. 三中堂,1963.
---------------
도산사상연구회(편) 「도산사상연구」제3집(1995.11.), pp.125-150 . L.A. 도산:코리언-아메리칸 국제학술회의 발표(1994.2.5).
오늘날 우리 교육은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음을 누구나 걱정한다. 그 위기의 실상이 무엇인가? 그것은 도덕적 타락과 교육력의 약화라고 할 수 있다. 그 원인은 교육 외적인 측면과 교육 내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外的으로는 부정부패와 황금만능주의에 병든 사회에서 오는 價値의 顚倒 현상이다. 목적을 위하여 수단이 정당화되고 양심이 마비되어 부정과 부패에 대한 심한 불감증에 걸려 있다. 內的으로는 오직 입시 위주의 교육에서 오는 인간교육의 부재는 물론, 스스로 생각하고 창조하는 智力의 계발에도 실패하여 지식교육 자체에도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외적 원인과 내적 원인은 서로 어울려 그 선후를 가릴 수 없게 되었다. 사회가 교육을 오염시키고, 교육은 사회를 정화하고 선도하는 능력을 상실했다.
한국 교육이 당면한 위기를 이렇게 진단해 볼 때 도산의 誠實思想은 국민교육의 개혁 방향을 모색하는데 많은 시사를 줄 것이다. 이를 여섯 가지로 요약해 본다.
첫째는 한국 교육이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의 정립이다. 올바른 교육 목적의 정립 없이 교육의 성공을 바랄 수 있겠는가? 그 동안 우리의 교육은 당면한 목표에만 급급하여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목적의 설정보다 지엽 말단의 수단적 가치 추구에 급급해 왔다. 작게는 눈 앞에 있는 시험 점수를 올리는 것이고, 좀더 크게는 정권 안보 차원에서 특정 이데올로기의 주입이나 물질적 생산성 향상을 위한 도구로 전락시켰다. 어렵고 급할 때일수록 교육은 원대하고 근본적인 시각에서 그 방향을 설정해야 함을 도산은 가르치고 있다.
둘째는 국민교육은 사회교육과 학교교육을 포괄하는 거시적 차원에서 구상하고 추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도산은 조국의 앞날이 가장 암울했던 시대에 민족 앞에 이상과 희망을 제시하였고, 민족의 독립과 자존을 위한 원대하고 치밀한 방략을 제시하였다. 그의 독립운동 방략은 군사 정치 경제 외교 교육 등 다방면에 걸친 총체적 접근이었다. 도산이 실천한 모든 사업은 모두가 독립이라는 하나의 목적을 향했고, 근본을 인격혁명에 두었다는 점에서, 넓은 의미의 민족교육이며 동시에 독립운동이었다.
셋째는 교육에서의 정직성의 재인식이다. 죽은 덕목으로서의 정직 이 아닌 참으로 정직한 삶을 실천하는 실질적인 도덕성 회복을 위한 가치를 재 인식해야 한다. 우리의 교육을 眞과 正을 기초로 하여 다시 세우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의 학교에서 정직과 성실이 모든 교육적 가치의 최우선이 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정직은 단순히 윤리적 덕목의 하나가 아니고, 모든 것의 시작이며 기초이기 때문이다. 율곡선생도 학문(교육)은 어두운 방에서도 스스로를 속이지 않는 데서 시작된다. 고 했다.
넷째는 교육에 있어서 인식과 실천의 통일이다. 도산의 글이나 말씀을 그것만 떼어놓고 보면, 진부한 도덕 교과서처럼 보일 수도 있다. 도산의 위대함은 그의 삶과 결합시킬 때 비로소 참된 가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는 스스로 깨달은 것을 실천함으로써 가르쳤다. 자신의 앎은 스스로 삶 속에서 체득한 것이며, 뜨거운 조국애와 민족애로 승화되어 입을 열면 웅변이 되어 듣는 이에게 깊은 감동을 주었다. 그는 말씀과 행동, 앎과 삶이 하나로 통일되었기에 더욱 깊은 감동을 준다.
다섯째 도산은 참된 민주적 교사상과 민주적 지도자의 전형을 보여 주었다. 그는 청소부에서 대통령까지 어떤 직에 있어도 어울릴 그런 인물이다. 지극히 평범하면서도 비범한 인물이다. 그의 리더쉽은 카리스마적인 권위를 바탕으로 한 것이 아니며, 따뜻한 인간애와 합리적 실천을 통한 솔선수범의 지도자 였다. 도산의 생애와 사상을 통하여 민주사회의 참된 교사상과 지도자상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의식개혁 운동으로서의 흥사단 운동의 재평가와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의식개혁은 자율적 자기반성을 통해서 가능하며, 동시에 연대감을 통한 범국민적 대중운동을 통해서 가능하다. 정직하게 살고자 하는 사람들이 단결하여, 약해지는 스스로의 의지를 격려 강화하고, 다수의 눈으로 소수의 거짓과 부정을 감시하고, 아울러 단결된 힘으로 불의와 부정에 맞서 싸워야 한다. 그리하여 다수의 힘으로, 정직한 삶이 현실적으로도 이롭고, 거짓된 삶이 손해를 본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입증해 주어야 한다. 의식개혁은 끊임없는 자기반성과 자아혁신이 필요조건이지만, 동시에 단결된 다수의 힘이 수반되어야 한다. 여기에 흥사단 운동의 존재 의의가 있다.
< 참고 문헌>
島山紀念事業會(편). 「安島山全書(中)」. 汎洋社出版部,1990.
島山思想硏究會(편).「島山思想硏究 第1集」. 興士團出版部, 1986.
島山思想硏究會(편).「島山思想硏究 第2集:변혁기의 개혁운동과 도산사상」. 연구사, 1993.
島山思想硏究會(편). 「安島山全書(下)」. 범양사출판부,1993.
尹絲淳.「韓國儒學論究」. 玄岩社,1980.
李光洙. 「島山安昌浩」. 大成文化社,1947.
李萬珪. 「朝鮮敎育史」(1,2).거름,1988.
李萬根(編). 「島山餘錄」. 흥사단출판부,1986.
李珥. 「栗谷全書」.
朴義洙(外). 「興士團運動七十年史」. 興士團出版部,1986.
朴義洙(外). 「島山과 힘의 哲學」. 흥사단출판부,1986.
朴義洙, 安島山의 漸進主義 敎育思想과 그 現代的 意義 「江南大學論文集 第17集」 1987.
박현환. 「흥사단운동」. 대성문화사,1955.
宋建鎬. 「韓國 人物史論」. 한길사, 1985.
安秉煜. 「島山思想」. 三育出版社, 1972.
安秉煜. 「民族의 스승 島山安昌浩」. 흥사단,1966.
兪東濬. 「兪吉濬傳」. 일조각,1987.
張利郁. 「島山의 人格과 生涯」. 大成文化社,1973.
張乙炳. 「인물로본 한국 민족주의」. 범우사,1988.
趙要翰(외). 「哲學的 人間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
朱耀翰 (편저). 「安島山全書」. 三中堂,1963.
---------------
도산사상연구회(편) 「도산사상연구」제3집(1995.11.), pp.125-150 . L.A. 도산:코리언-아메리칸 국제학술회의 발표(199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