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기본 개요
1.개요
2.역사 및 변천사
1> 케걸(keger)넘어뜨리기
2> 나인핀즈(Nine Pins)
3> 텐 핀즈(Ten Pins)
4> 현대의 볼링
5> 한국볼링의 발전사
6>볼링역사 연대표
3.경기의 특성
II. 볼링용어 해설
III. Bowling 게임종류 및 방식
1.게임의 정의
2.볼링 경기방식
3. 경기 규칙 및 점수계산법(예제)
IV. 스트라잌
1.스트라이크 겨냥방법
2.스트라이크 존
2-1.스트라이크 존(포켓)의 원리
2-2. 스트라이크 죤(포켓) 조정법(Strike zone(Pocket) Adjustment)
2-3. 3:1:2조정법
2-4. 3:4:5 조정법=스탠드 배수이동이론
2-5. 에임스팟트 및 스탠스 평행이동 조정법
3. 스페어 처리방법
V.구질의 종류
1) 스트레이트 볼(straight ball)
2) 훅 볼(hook ball)
3) 커브 볼(curve ball)
VI.시설 및 용품
1.개요
2. 레인의 구조와 명칭
3.경기 시설 및 공구 규격
4. 볼링공 선택요령
5. 체중과 볼의 선택
6.기타필요장비
VI. 볼링장 에티켓 15원칙
1.개요
2.역사 및 변천사
1> 케걸(keger)넘어뜨리기
2> 나인핀즈(Nine Pins)
3> 텐 핀즈(Ten Pins)
4> 현대의 볼링
5> 한국볼링의 발전사
6>볼링역사 연대표
3.경기의 특성
II. 볼링용어 해설
III. Bowling 게임종류 및 방식
1.게임의 정의
2.볼링 경기방식
3. 경기 규칙 및 점수계산법(예제)
IV. 스트라잌
1.스트라이크 겨냥방법
2.스트라이크 존
2-1.스트라이크 존(포켓)의 원리
2-2. 스트라이크 죤(포켓) 조정법(Strike zone(Pocket) Adjustment)
2-3. 3:1:2조정법
2-4. 3:4:5 조정법=스탠드 배수이동이론
2-5. 에임스팟트 및 스탠스 평행이동 조정법
3. 스페어 처리방법
V.구질의 종류
1) 스트레이트 볼(straight ball)
2) 훅 볼(hook ball)
3) 커브 볼(curve ball)
VI.시설 및 용품
1.개요
2. 레인의 구조와 명칭
3.경기 시설 및 공구 규격
4. 볼링공 선택요령
5. 체중과 볼의 선택
6.기타필요장비
VI. 볼링장 에티켓 15원칙
본문내용
여 만들며,표면은 특수도표로 칠해져 있다.
핀의 밑부분은 각이 지지 않아 넘어지기 쉬운데,이것을 막기 위하여 고리모양의 글라스 파이버를 부착시켰다.
핀 표면은 흰색으로 칠해져 있는데 목 부분에는 표가,어깨부분에는 공인표와 생 산자의 마크가 붙어있다.공통규격을 인정하는 표가 떨어지거나,칠한 것이 벗겨진 핀은 공식 경기에는 사용할 수 없다.
c. 핀의 크기
핀의 키는 37.5cm이고 목부분의 직경은 3.5cm 머리부분의 직경은 6.37cm이며,볼이 직접 닿는 불룩한 부분은 직경이 11.9cm 이곳의 높이는 11.25cm이다.
d. 핀의 무게
핀 하나의 무게는 3파운드6온스(약1.3kg)이상 3파운드 10온스(약1.6kg)이하로 규정 되어 있다.또 열개의 핀을 세트 했을 때,가장 무거운 핀과 가장 가벼운 핀의 무게차이는 112g이내이여야 한다.
e. 핀의 배열
핀은 한변이 91.4cm인 정삼각형의 바닥에 열개의 핀이 30.38cm간격으로 세워져 있다. 이 핀들은 어프로치에서 보와 제일 끝쪽 오른쪽부터 10,9,8,7번 그 다음 줄은 6,5,4번 제일 앞쪽 핀을 1번 핀이라고 한다.
3> 볼
a. 볼의 구조
재질
볼의 재질은 금속은 금지하며,볼의 내부는 합성고무등으로,표면은 에보나이트 등으로 만든다.
무게
볼의 무게는 국제규격상 가장 무거운 것이 16파운드(7.2kg)이며,그 이하는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다. 톱웨이트는 3온스이내이다.
크기
공인 볼의 크기는 어느 곳을 재 보아도 직경 21.5cm,둘레 68.58cm인 완전한 구형체로 만들어 졌다.
밸런스
볼의 무게의 밸런스는 구질에 크게 영향을 주게 되므로 규격은 일정하게 정해져 있으며,공인 경기에서는 투구하기 전 엄격하게 확인한다.볼에는 3개의 구멍이 뚫려 있는데 여기에 엄지,중지,약지를 집어 넣어 잡는다.지공이 있는 쪽에 보통 메이커와 마크가 새겨져 있으며, 이부분을 볼의 머리부분이라고 하고, 반대쪽의 아래 부분보다는 약간 무겁게 되어 있다.이 무게의 차를 톱웨이트라고 한다.이것은 머리 부분에 3개의 지공을 팔때 아래 부분의 무게 밸런스가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 미리 더한 무게이다. 그러나 지공을 한 양만 감량해도 얼마간의 차는 남아있기 마련인데,이 차가 크면 클수록 볼이 한층 회전과 스피드가 더해져 핀을 맞히고 강한 핀액션을 일으키는,날카롭게 파고드는 볼이 된다.여기서 톱웨이트를 마읍대로 크게 하는 것을 막기 위해 지공을 한 후, 톱웨이트는 3온스(85.05g)이내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4. 볼링공 선택요령
1)초보자의 경우 볼의 무게는 자기 체중의 약 1/10 이하의 가벼운 것을 선택하 고 제로피치 콘벤셔널 그립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F.I.Q 규정에는 8에서 16파운드까지 있다.
2)첫째 손가락은 너무 꽉 조이지도 않고 너무 느슨하지도 않은, 손가락을 넣은 채 빙빙 돌려보아 무리 없이 돌릴 수 있는 것을 선택. 첫째 손가락을 넣은 채 중.약지 손가락의 제 2관절이 각각 손가락 구멍의 중앙보다 약간 자기에게 가 까운 쪽에 오는 것, 즉 콘벤셔널 그립으로 잡아 손바닥이 볼에 밀착되지 않고 손바닥과 볼과의 사이에 연필 한자루가 들어갈 정도의 틈이 생기도록 한다.
3)볼의 무게는 중.약지 손가락의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게 느껴지고 돌려 보 았을때 볼이 몸의 일부분인 듯 느껴지도록 할 것.
5. 체중과 볼의 선택
*자기 체중의 1/10의 볼 선택(단,연령,성별,체격조건에따라 조정 선택할 수 있다.)
*국제 규정에는 최고 16파운드 이하면 아무리 가벼워도 된다.라고 규정
*핀의 무게
3파운드 2온스(1.4kg)에서 3파운드 10온스(1.6kg)까지
(표준형 : 3파운드 6온스)
6.기타필요장비
볼링화
볼링에 있어서 상체를 지탱해 주는 하체는 아주 중요하죠. 특히 Step과 관련된 볼링화는 그리, 큰 차이를 느낄시줄 모르겠지만 안정된 Step을 위해서는 볼링화 하나는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저의 경험상, 처음은 몰랐는데 My Shoes신다가 볼링장 Shoes를 신어보니 제대로 것지도 못하겠더라고요. 그만큼 느낌이 큽니다.
게다가 위생상 좋고, 볼링화 대여비도 줄이고, 볼링을 자주 즐긴다면 볼링화는 필수 품이죠. 가격도 싼것은 15,000원이면 구입할 수 있습니다.
볼링 아대
볼링 아대는 손목보호차원 뿐만 아니라 볼에 회전을 쉽게 해주도록 도와 줍니다. 보통 코브라, 몽그스, 장갑 아대로 볼수 있습니다.
코브라 아대는 검지부분이 돌출 되어 있어, 강한 볼의 회전을 돕습니다. 초보자들의 엄지 타이밍을 고정시켜주는데 좋은 효과를 나타내며 기구의 제작각도에 의해 손목의 턴 (TURN)을 자연스럽게 유도해 줍니다. 볼을 릴리스하는 순간에 밀어 주는 푸싱 (PUSHING) 력과 볼의 회전력을 증진시켜줍니다.
몽그스 아대는 손가락 전체를 반쯤 덮습니다. 코브라 보다 회전력은 적게 주나 강한 리프팅을 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장갑 아대는 볼 그립시 착용감을 증진 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 손목을 지지해주는 효과는 없습니다
VII. 볼링장 에티켓 15원칙
1.어프로치에 들어갈 때는 반드시 볼링 슈즈로 갈아신는다.
2.자기가 선택한 볼로만 사용한다.
3.투구는 핀이 완전히 세트된 다음에 한다.
4.옆 어프로치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5.함부로 어프로치에 들어가지 않는다.
6.자기보다 먼저 투구 자세를 취한 사람에게 양보한다.
7.동시 투구 동작에 들어간 경우는 오른쪽 사람이 우선한다.
8.볼을 쥔 채 어프로치 위에서 오래 서 있지 않는다.
9.볼을 던진 후 너무 오래 어프로치에 서 있지 않는다.
10.로프트 볼을 던지지 않는다.
11.투구하려는 사람의 주의를 흐트러뜨리지 않게 한다.
12.어프로치 밖에서 볼을 휘두르지 않는다.
13.스코어가 나쁜 것을 레인 상태 탓으로 돌리지 않는다.
14.다른 사람의 단점을 비판하지 않는다.
15.어프로치에 물을 흘리지 않는다.
참고 및 인용처 :
그 기원과 발달 1992년 미야타 테츠로 저서. <일부 발췌>
http://www.bowling.or.kr
http://www.krl.co.kr
http://jbc.cschool.net
핀의 밑부분은 각이 지지 않아 넘어지기 쉬운데,이것을 막기 위하여 고리모양의 글라스 파이버를 부착시켰다.
핀 표면은 흰색으로 칠해져 있는데 목 부분에는 표가,어깨부분에는 공인표와 생 산자의 마크가 붙어있다.공통규격을 인정하는 표가 떨어지거나,칠한 것이 벗겨진 핀은 공식 경기에는 사용할 수 없다.
c. 핀의 크기
핀의 키는 37.5cm이고 목부분의 직경은 3.5cm 머리부분의 직경은 6.37cm이며,볼이 직접 닿는 불룩한 부분은 직경이 11.9cm 이곳의 높이는 11.25cm이다.
d. 핀의 무게
핀 하나의 무게는 3파운드6온스(약1.3kg)이상 3파운드 10온스(약1.6kg)이하로 규정 되어 있다.또 열개의 핀을 세트 했을 때,가장 무거운 핀과 가장 가벼운 핀의 무게차이는 112g이내이여야 한다.
e. 핀의 배열
핀은 한변이 91.4cm인 정삼각형의 바닥에 열개의 핀이 30.38cm간격으로 세워져 있다. 이 핀들은 어프로치에서 보와 제일 끝쪽 오른쪽부터 10,9,8,7번 그 다음 줄은 6,5,4번 제일 앞쪽 핀을 1번 핀이라고 한다.
3> 볼
a. 볼의 구조
재질
볼의 재질은 금속은 금지하며,볼의 내부는 합성고무등으로,표면은 에보나이트 등으로 만든다.
무게
볼의 무게는 국제규격상 가장 무거운 것이 16파운드(7.2kg)이며,그 이하는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다. 톱웨이트는 3온스이내이다.
크기
공인 볼의 크기는 어느 곳을 재 보아도 직경 21.5cm,둘레 68.58cm인 완전한 구형체로 만들어 졌다.
밸런스
볼의 무게의 밸런스는 구질에 크게 영향을 주게 되므로 규격은 일정하게 정해져 있으며,공인 경기에서는 투구하기 전 엄격하게 확인한다.볼에는 3개의 구멍이 뚫려 있는데 여기에 엄지,중지,약지를 집어 넣어 잡는다.지공이 있는 쪽에 보통 메이커와 마크가 새겨져 있으며, 이부분을 볼의 머리부분이라고 하고, 반대쪽의 아래 부분보다는 약간 무겁게 되어 있다.이 무게의 차를 톱웨이트라고 한다.이것은 머리 부분에 3개의 지공을 팔때 아래 부분의 무게 밸런스가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 미리 더한 무게이다. 그러나 지공을 한 양만 감량해도 얼마간의 차는 남아있기 마련인데,이 차가 크면 클수록 볼이 한층 회전과 스피드가 더해져 핀을 맞히고 강한 핀액션을 일으키는,날카롭게 파고드는 볼이 된다.여기서 톱웨이트를 마읍대로 크게 하는 것을 막기 위해 지공을 한 후, 톱웨이트는 3온스(85.05g)이내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4. 볼링공 선택요령
1)초보자의 경우 볼의 무게는 자기 체중의 약 1/10 이하의 가벼운 것을 선택하 고 제로피치 콘벤셔널 그립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F.I.Q 규정에는 8에서 16파운드까지 있다.
2)첫째 손가락은 너무 꽉 조이지도 않고 너무 느슨하지도 않은, 손가락을 넣은 채 빙빙 돌려보아 무리 없이 돌릴 수 있는 것을 선택. 첫째 손가락을 넣은 채 중.약지 손가락의 제 2관절이 각각 손가락 구멍의 중앙보다 약간 자기에게 가 까운 쪽에 오는 것, 즉 콘벤셔널 그립으로 잡아 손바닥이 볼에 밀착되지 않고 손바닥과 볼과의 사이에 연필 한자루가 들어갈 정도의 틈이 생기도록 한다.
3)볼의 무게는 중.약지 손가락의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게 느껴지고 돌려 보 았을때 볼이 몸의 일부분인 듯 느껴지도록 할 것.
5. 체중과 볼의 선택
*자기 체중의 1/10의 볼 선택(단,연령,성별,체격조건에따라 조정 선택할 수 있다.)
*국제 규정에는 최고 16파운드 이하면 아무리 가벼워도 된다.라고 규정
*핀의 무게
3파운드 2온스(1.4kg)에서 3파운드 10온스(1.6kg)까지
(표준형 : 3파운드 6온스)
6.기타필요장비
볼링화
볼링에 있어서 상체를 지탱해 주는 하체는 아주 중요하죠. 특히 Step과 관련된 볼링화는 그리, 큰 차이를 느낄시줄 모르겠지만 안정된 Step을 위해서는 볼링화 하나는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저의 경험상, 처음은 몰랐는데 My Shoes신다가 볼링장 Shoes를 신어보니 제대로 것지도 못하겠더라고요. 그만큼 느낌이 큽니다.
게다가 위생상 좋고, 볼링화 대여비도 줄이고, 볼링을 자주 즐긴다면 볼링화는 필수 품이죠. 가격도 싼것은 15,000원이면 구입할 수 있습니다.
볼링 아대
볼링 아대는 손목보호차원 뿐만 아니라 볼에 회전을 쉽게 해주도록 도와 줍니다. 보통 코브라, 몽그스, 장갑 아대로 볼수 있습니다.
코브라 아대는 검지부분이 돌출 되어 있어, 강한 볼의 회전을 돕습니다. 초보자들의 엄지 타이밍을 고정시켜주는데 좋은 효과를 나타내며 기구의 제작각도에 의해 손목의 턴 (TURN)을 자연스럽게 유도해 줍니다. 볼을 릴리스하는 순간에 밀어 주는 푸싱 (PUSHING) 력과 볼의 회전력을 증진시켜줍니다.
몽그스 아대는 손가락 전체를 반쯤 덮습니다. 코브라 보다 회전력은 적게 주나 강한 리프팅을 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장갑 아대는 볼 그립시 착용감을 증진 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 손목을 지지해주는 효과는 없습니다
VII. 볼링장 에티켓 15원칙
1.어프로치에 들어갈 때는 반드시 볼링 슈즈로 갈아신는다.
2.자기가 선택한 볼로만 사용한다.
3.투구는 핀이 완전히 세트된 다음에 한다.
4.옆 어프로치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5.함부로 어프로치에 들어가지 않는다.
6.자기보다 먼저 투구 자세를 취한 사람에게 양보한다.
7.동시 투구 동작에 들어간 경우는 오른쪽 사람이 우선한다.
8.볼을 쥔 채 어프로치 위에서 오래 서 있지 않는다.
9.볼을 던진 후 너무 오래 어프로치에 서 있지 않는다.
10.로프트 볼을 던지지 않는다.
11.투구하려는 사람의 주의를 흐트러뜨리지 않게 한다.
12.어프로치 밖에서 볼을 휘두르지 않는다.
13.스코어가 나쁜 것을 레인 상태 탓으로 돌리지 않는다.
14.다른 사람의 단점을 비판하지 않는다.
15.어프로치에 물을 흘리지 않는다.
참고 및 인용처 :
그 기원과 발달 1992년 미야타 테츠로 저서. <일부 발췌>
http://www.bowling.or.kr
http://www.krl.co.kr
http://jbc.cschool.net
추천자료
문화 이론으로 보는 취화선
중국문학
사림과 훈구의 역사적 인식
1950년대의 경제상황과 특징, 원조경제의 도입과 남한에 미친 영향에 관한 조사
[종교의이해A+] 이슬람교의 문화적 배경 및 성립 및 발전사례 분석
[기업공개] 기업공개와 상장의 개념과 코스닥 시장의 발전과정과 현황 분석
[벤처기업의 국제화] 기업국제화의 개념과 현황분석 및 국내기업 해외진출전략
[벤처기업의 성공전략] 벤처창업(사업)의 실패요인, ERIS모델로 본 스타벅스, 안철수연구소 ...
벤처캐피탈과 엔젤투자의 개념과 역할 및 현황분석
[경동나비엔 보일러][경동나비엔][보일러][경동나비엔 보일러 특징][기업]경동나비엔 보일러...
춘천홍천지구 전투
산업체 실무 강좌 레포트,내가 토목인 으로써 해야 할 일
세상읽기와 논술 E형 우리나라 재벌에 대한 이해와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