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21세기 선교와 한민족 교회의 역할
1. 하나님의 선교
2. 한민족 교회의 역할
3. 선교에 대한 도전들
2-구약에 나타난 선교신학의 기초
1. 선교의 목표
1) 창조신학
2) 족장신학
2. 선교자(사명자)
3. 대상(열방, 만백성)
4. 방법(형태, 정신)
5. 종말과 승리
3-신약에 나타난 선교신학의 기초
1. 예수 선교
1) 목표
2) 선교자(사명자)
3) 대상
4) 예수 선교의 방식(형식, 영성)
5) 예수님의 종말과 승리
2.바울의 선교에
1) 선교사 바울
2) 바울의 선교 내용
3) 바울 선교의 비결(성공요인)
1. 하나님의 선교
2. 한민족 교회의 역할
3. 선교에 대한 도전들
2-구약에 나타난 선교신학의 기초
1. 선교의 목표
1) 창조신학
2) 족장신학
2. 선교자(사명자)
3. 대상(열방, 만백성)
4. 방법(형태, 정신)
5. 종말과 승리
3-신약에 나타난 선교신학의 기초
1. 예수 선교
1) 목표
2) 선교자(사명자)
3) 대상
4) 예수 선교의 방식(형식, 영성)
5) 예수님의 종말과 승리
2.바울의 선교에
1) 선교사 바울
2) 바울의 선교 내용
3) 바울 선교의 비결(성공요인)
본문내용
들어온 것이다.
⑤ 10년마다 모일 것을 결의하였다.
2. 1928년 예루살렘 대회
1) 배경 : 예수님의 제사장직이 강조된 대회였다.
① 에딘버러 대회와는 달리 불안하고 비관적 분위기였다.
② 경건주의적 신학의 영향이 매우 약화되었다.
③ 기구적 교회의 영향이 매우 증대되었다.
④ 선교적 열의가 현저히 감퇴되었다.
⑤ 신학적 혼란이 야기 되었다. : 근분주의 논쟁과 사회복음 운동의 대두.
2) 특징
① 신 복음주의자들의 대두 : 구복음주의자(영혼구원+임박한 재림사상)/ 신복음주의자(인간구원+사회적 개념)
② 타종교에 대한 태도가 상당히 완화된 분위기였다.
③ 선교의 개념은 살아계신 구주 그리스도와 신앙적인 교제를 통한 그리스도와 같은 성품을 만드는 것이다.
④ 기독교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3) 영향
① 타종교와 복음과의 관계를 에딘버러 대회 때보다 더 관대하게 보게했다.
② 신학적인 논쟁 때문에 선교의 열의가 냉각되었다.(신, 구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③ 신학적인 분열 때문에 선교운동의 분열이 뒤따랐다.
④ 선교의 개념에 사회적 개념이 중요하게 포함되었다.
3. 1938년 마드라스대회(탐바람대회)
1) 배경
① 예수님의 예언자직이 강조되었다. '증거', '증인'을 강조했다.
② 보수, 진보와의 신학적 갈등이 첨예하게 대립되었다.
2) 논의된 주요 항목
① 피선교지 교회가 바르고 건실하게 세워져야 한다고 주장함. 그 지역의 복음화는 지역교회가 담당해야 하다면서, 지역교회의 중요성을 강조함.
② 확대된 선교개념의 발전 : 복음으로 개인과 사회가 동시에 변화해야 한다고 주장함.
③ 타종교에 대한 논쟁 : 호킹(복음만이 절대적 구원의 진리라고 볼 수 없다고 주장), 이에 대해 크레머(기독교와 다른 종교는 연속성이 없다.라고 주장함), 애체로 크레머의 입장을 따랐다. 이는 칼 바르트신학의 영향이다.
④ 에큐메니칼의 문제 교회연합의 문제, 세계교회의 협력기구의 결성문제가 대두되었다.
4. 1947년 휫트비 대회
1) 배경(침통한 가운데 진행됨)
① 전쟁을 겪은 후에 적대국가들까지 모였던 대회였기에
② 서구의 제국주의와 반 서구적 분위기에서 선교가 진행될 수 있겠는가 하는 분위기 때문에
③ 동서냉전이 시작된 시기였다.
④ 서방 기독교국가의 지도력과 도덕적 신뢰성이 감퇴되었다.
2) 중요한 선교적, 신학적 항목
- 이러한 격렬한 시대에 우리가 다시한번 어떻게 선교를 할 것인가?를 논의했다. 이에 필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
① 교회갱신과 부흥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② 선교의 동역관계를 강조했다. : 선교에 있어서영적 동등성을 가지고 초국가적 협의를 이루어야 한다. 온정주의를 극복해야한다.
③ 토탈 복음화가 필요하다.
5. 1952년 빌링건 대회
1) 배경 (선교에 대한 근본적인(코페르니쿠스적) 변화를 시도했다.)
① 전통적인 서구 식민지의 붕괴 : 많은 국가들이 독립투쟁을 하던 시기였다.
② 동서냉전의 격화 : 많은 국가가 공산화 되고, 한국이 전쟁 中
③ 1948년에 WCC가 창설되고 WCC인사들이 많이 참석했다.
2) 대회의 선교관(신학)
호켄다이크의 영향
- 이 대회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인물은 호켄다이크이다. 그는 [전도의 요청], [흩어지는 교회]라는 두 개의 논문을 발표했다.
① [전도의 요청]에서
선교란, 유대인들이 메시야에 대해서 기대했던 것, 즉 메시야 자신이 이 땅에서 하려고 했던 것을 하는 것이 선교이다. 그것은 '샬롬'이다. 케리그마, 코이노니아, 디아코니아이다. 샬롬이라는 케리그마를 가졌다는 것은 코이노니아로 나타나고, 우리가 그것을 세상에 나타내는 것이 디아코니아라고 한다.
즉 선교는 샬롬이며, 이것은 케리그마, 코이노니아, 디아코니아의 3차원으로 이해된다.
② [흩어지는 교회]에서
우리의 선교개념이 교회 중심적으로 되었기에 잘못되었다. 선교의 올바른 중심은 세계이다. 교회는 선교적이 되어야 진정한 교회가 된다. 교회 중심적인 선교관은 잘못되었다. 교회는 자기중심적으로 되면 안되고, 세계 중심적으로 되어야 한다. 그래서 교회는 자가가 있는 곳으로부터 있어야 될 곳으로 나가야 한다. '세상속으로', '가서' 세상일과관계하고 그들과 함께 전진하라. 이런 의미에서 교회는 존재한다기 보다는 발생한다고 말할 수 있다. 선교는 교회의 벽을 넘어서야 한다.
빌링건 대회의 선교관
① 과거에는 교회 중심적인 선교였으나, 세계 중심적인 선교가 되어야 한다.
② 기독론 중심에서 삼위일체 중심적인 선교관
③ 인간중심의 선교에서 하나님 중심의 '하나님의 선교'로 전환
④ 복수가 아닌 하나의 선교를 이야기함.
6. 1968년 웁살라대회
① 새로운 인간성 회복이 선교의 목표이다.
② 사회정의에 대한 강력한 주장이 대두됨 선교개념이 가장 좌경화됨
③ 그래서 교회는 타자를 위한 교회가 되어야 한다.
④ 평가 : 복음을 세속화 시켰다. 예수님의눈물이 없었다. 20억 불신자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7. 1975년 나이로비대회
① 웁살라에서 편중된 선교의 개념의 균형을 잡았다. 그래서 이 대회의 선교관을 '통전적 선교관'이라고 부른다.
② 교회는 하나님의 선교에서 하나의 부분적인 역할을 한다. 교회는 하나님의선교에서 기본적 기구이다.
③ 온전한 교회가 혹은 전 교회가 온전한 복음을 전 세계에 모든 사람들에게 전하는 것이다. 온전한 교회란 교회의 모든 자원을 의미한다.
온전한 복음, 온전한 인간, 온전한 세계, 온전한 교회를 이야기 했다.
B. 복음주의 선교사상
1. 복음주의 기구인 IFMA와 EFMA
- 1966년의 휘튼 모(전도를 통한 교회의 개척이 가장 중요한 사역)임과 베를린 대회956년전 에디버러대회의 세계복음화를 위한 역동적 힘을 회복하는 것)
2. 1974년 로잔대회
선교를 전도와 사회적 책임의 수행이라 정의하였다.(존 스토트) M=E+S.R
선교와 사회적 책임과의 관계
① 상황과 은사가 결정한다.
② 상호동반자적 관계에 있다.
③ 교회사역 활동은 전도의 교량 역할을 한다.
④ 예수님의 사역에서도 케리그마와 도그마가 동시에 존재한다.
⑤ 로쟌대회에서는 전도가 논리적 우선권이 있다고 함 왜냐면 전도가 인간의 영원한 문제와 관계가 있기에(맥가브란)
⑤ 10년마다 모일 것을 결의하였다.
2. 1928년 예루살렘 대회
1) 배경 : 예수님의 제사장직이 강조된 대회였다.
① 에딘버러 대회와는 달리 불안하고 비관적 분위기였다.
② 경건주의적 신학의 영향이 매우 약화되었다.
③ 기구적 교회의 영향이 매우 증대되었다.
④ 선교적 열의가 현저히 감퇴되었다.
⑤ 신학적 혼란이 야기 되었다. : 근분주의 논쟁과 사회복음 운동의 대두.
2) 특징
① 신 복음주의자들의 대두 : 구복음주의자(영혼구원+임박한 재림사상)/ 신복음주의자(인간구원+사회적 개념)
② 타종교에 대한 태도가 상당히 완화된 분위기였다.
③ 선교의 개념은 살아계신 구주 그리스도와 신앙적인 교제를 통한 그리스도와 같은 성품을 만드는 것이다.
④ 기독교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3) 영향
① 타종교와 복음과의 관계를 에딘버러 대회 때보다 더 관대하게 보게했다.
② 신학적인 논쟁 때문에 선교의 열의가 냉각되었다.(신, 구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③ 신학적인 분열 때문에 선교운동의 분열이 뒤따랐다.
④ 선교의 개념에 사회적 개념이 중요하게 포함되었다.
3. 1938년 마드라스대회(탐바람대회)
1) 배경
① 예수님의 예언자직이 강조되었다. '증거', '증인'을 강조했다.
② 보수, 진보와의 신학적 갈등이 첨예하게 대립되었다.
2) 논의된 주요 항목
① 피선교지 교회가 바르고 건실하게 세워져야 한다고 주장함. 그 지역의 복음화는 지역교회가 담당해야 하다면서, 지역교회의 중요성을 강조함.
② 확대된 선교개념의 발전 : 복음으로 개인과 사회가 동시에 변화해야 한다고 주장함.
③ 타종교에 대한 논쟁 : 호킹(복음만이 절대적 구원의 진리라고 볼 수 없다고 주장), 이에 대해 크레머(기독교와 다른 종교는 연속성이 없다.라고 주장함), 애체로 크레머의 입장을 따랐다. 이는 칼 바르트신학의 영향이다.
④ 에큐메니칼의 문제 교회연합의 문제, 세계교회의 협력기구의 결성문제가 대두되었다.
4. 1947년 휫트비 대회
1) 배경(침통한 가운데 진행됨)
① 전쟁을 겪은 후에 적대국가들까지 모였던 대회였기에
② 서구의 제국주의와 반 서구적 분위기에서 선교가 진행될 수 있겠는가 하는 분위기 때문에
③ 동서냉전이 시작된 시기였다.
④ 서방 기독교국가의 지도력과 도덕적 신뢰성이 감퇴되었다.
2) 중요한 선교적, 신학적 항목
- 이러한 격렬한 시대에 우리가 다시한번 어떻게 선교를 할 것인가?를 논의했다. 이에 필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
① 교회갱신과 부흥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② 선교의 동역관계를 강조했다. : 선교에 있어서영적 동등성을 가지고 초국가적 협의를 이루어야 한다. 온정주의를 극복해야한다.
③ 토탈 복음화가 필요하다.
5. 1952년 빌링건 대회
1) 배경 (선교에 대한 근본적인(코페르니쿠스적) 변화를 시도했다.)
① 전통적인 서구 식민지의 붕괴 : 많은 국가들이 독립투쟁을 하던 시기였다.
② 동서냉전의 격화 : 많은 국가가 공산화 되고, 한국이 전쟁 中
③ 1948년에 WCC가 창설되고 WCC인사들이 많이 참석했다.
2) 대회의 선교관(신학)
호켄다이크의 영향
- 이 대회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인물은 호켄다이크이다. 그는 [전도의 요청], [흩어지는 교회]라는 두 개의 논문을 발표했다.
① [전도의 요청]에서
선교란, 유대인들이 메시야에 대해서 기대했던 것, 즉 메시야 자신이 이 땅에서 하려고 했던 것을 하는 것이 선교이다. 그것은 '샬롬'이다. 케리그마, 코이노니아, 디아코니아이다. 샬롬이라는 케리그마를 가졌다는 것은 코이노니아로 나타나고, 우리가 그것을 세상에 나타내는 것이 디아코니아라고 한다.
즉 선교는 샬롬이며, 이것은 케리그마, 코이노니아, 디아코니아의 3차원으로 이해된다.
② [흩어지는 교회]에서
우리의 선교개념이 교회 중심적으로 되었기에 잘못되었다. 선교의 올바른 중심은 세계이다. 교회는 선교적이 되어야 진정한 교회가 된다. 교회 중심적인 선교관은 잘못되었다. 교회는 자기중심적으로 되면 안되고, 세계 중심적으로 되어야 한다. 그래서 교회는 자가가 있는 곳으로부터 있어야 될 곳으로 나가야 한다. '세상속으로', '가서' 세상일과관계하고 그들과 함께 전진하라. 이런 의미에서 교회는 존재한다기 보다는 발생한다고 말할 수 있다. 선교는 교회의 벽을 넘어서야 한다.
빌링건 대회의 선교관
① 과거에는 교회 중심적인 선교였으나, 세계 중심적인 선교가 되어야 한다.
② 기독론 중심에서 삼위일체 중심적인 선교관
③ 인간중심의 선교에서 하나님 중심의 '하나님의 선교'로 전환
④ 복수가 아닌 하나의 선교를 이야기함.
6. 1968년 웁살라대회
① 새로운 인간성 회복이 선교의 목표이다.
② 사회정의에 대한 강력한 주장이 대두됨 선교개념이 가장 좌경화됨
③ 그래서 교회는 타자를 위한 교회가 되어야 한다.
④ 평가 : 복음을 세속화 시켰다. 예수님의눈물이 없었다. 20억 불신자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7. 1975년 나이로비대회
① 웁살라에서 편중된 선교의 개념의 균형을 잡았다. 그래서 이 대회의 선교관을 '통전적 선교관'이라고 부른다.
② 교회는 하나님의 선교에서 하나의 부분적인 역할을 한다. 교회는 하나님의선교에서 기본적 기구이다.
③ 온전한 교회가 혹은 전 교회가 온전한 복음을 전 세계에 모든 사람들에게 전하는 것이다. 온전한 교회란 교회의 모든 자원을 의미한다.
온전한 복음, 온전한 인간, 온전한 세계, 온전한 교회를 이야기 했다.
B. 복음주의 선교사상
1. 복음주의 기구인 IFMA와 EFMA
- 1966년의 휘튼 모(전도를 통한 교회의 개척이 가장 중요한 사역)임과 베를린 대회956년전 에디버러대회의 세계복음화를 위한 역동적 힘을 회복하는 것)
2. 1974년 로잔대회
선교를 전도와 사회적 책임의 수행이라 정의하였다.(존 스토트) M=E+S.R
선교와 사회적 책임과의 관계
① 상황과 은사가 결정한다.
② 상호동반자적 관계에 있다.
③ 교회사역 활동은 전도의 교량 역할을 한다.
④ 예수님의 사역에서도 케리그마와 도그마가 동시에 존재한다.
⑤ 로쟌대회에서는 전도가 논리적 우선권이 있다고 함 왜냐면 전도가 인간의 영원한 문제와 관계가 있기에(맥가브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