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리 교단만해도 62개국 428명이나 된다. 그러나 이런 숫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부정적인 측면도 있다. 그것은 ①선교정책의 부재 ②선교사의 의식문제 ③선교지역에서의 교파간 또는 선교사간의 경쟁과 대립 ④파송교회의 선교적 결과에 대한 가시적 요구 ⑤교포를 상대로한 선교활동 ⑥문화적 불적응과 언어소통의 문제
(6) 앞으로의 선교과제
① 토착민 선교에 직접 투입할 수 있는 선교사 양성제도 확립
② 원주민에 의한 원주민의 교회성장을 위한 선교전략(교파주의나 교파이식 에서의 탈피)
③ 선교지역의 다변화
④ 전문인 선교사(단기선교사 포함)의 확대
⑤ 자원선교사 제도확대
* 우리교단 파송 선교사
·라틴아메리카 95명
·아시아 170명
·유럽 65명
·구소련 34명
·북미 105명
·아프리카 33명
·오세아니아 4명
(6) 앞으로의 선교과제
① 토착민 선교에 직접 투입할 수 있는 선교사 양성제도 확립
② 원주민에 의한 원주민의 교회성장을 위한 선교전략(교파주의나 교파이식 에서의 탈피)
③ 선교지역의 다변화
④ 전문인 선교사(단기선교사 포함)의 확대
⑤ 자원선교사 제도확대
* 우리교단 파송 선교사
·라틴아메리카 95명
·아시아 170명
·유럽 65명
·구소련 34명
·북미 105명
·아프리카 33명
·오세아니아 4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