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모래 헤엄>, <뒤로 가기>, <향연>의 누보로망적 성격을 중심으로 ―
Ⅰ. 서론
Ⅱ. 인물의 의물화 현상
Ⅲ. 단절된 이야기와 심연으로 밀어넣기
Ⅳ. 결론
참고문헌
**한글97
Ⅰ. 서론
Ⅱ. 인물의 의물화 현상
Ⅲ. 단절된 이야기와 심연으로 밀어넣기
Ⅳ. 결론
참고문헌
**한글97
본문내용
n Peck, Routledge, Encyclopedia of Literature and Criticism, London, 1991. 649쪽.
이에 그의 소설은 이러한 '열린 작품'
) '열린 작품'이란 앞에서의 '즐김의 텍스트'와 같은 개념으로 독자의 해석적 협력의 필요성, 텍스트 밖의 요소의 도입에 대한 경계, 복수적 해석의 가능성의 유한성을 지니며, 이에 대응되는 '닫힌 작품'은 '다소간을 막론하고 한정된 실제적 독자의 마음에 한 가지의 정확한 반응을 일으키기를 끝끝내 겨냥하는' 작품이다. 그리고 글쓴이가 담아 넣은 일정한 기호 내용의 전체를 충실하게 따르고 그럼으로써 글쓴이가 빚어내려는 정확하고 단일적인 효과를 체험하는 이러한 실제적 독자를 에코(Eco)는 '닫힌 텍스트의 모범적 독자(model readers for closed texts)'라고 부른다. 정명환, 앞의 책, 332~3쪽.
으로서 그 테마적 열쇠(op rateurs th matique)로서의 해석적 그물은 얼마든지 複數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어찌하여도 결코 의미의 찌꺼기를 모두 건져 올릴 수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문제는 한 작품의 객관적 진실이나 전체적 진실을 아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작품에 관해서 사람마다 제시하는 비평적 담론의 유효성을 확보하는데 있게 될 것이다.
) 위의 책, 326쪽.
작가가 '죽은' 이상 무엇이 의미의 객관성과 단일성을 보장할 수 있겠는가. 따라서 진정한 독자는 텍스트에게나 작가에게 질문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전지한 神과 같은 작가에 의해 마련된 온실 속에서 독서를 한다는 것은 박물관에서 잘 정돈되어 진열된 유품 하나를 더 구경하는 것과 같다. 그러나 누보로망은 독자를 아무런 지평도 보이지 않는 거리로 내몰았다. 암호투성이인 이 세계, 그 '표면은 선명하고 매끈하며 손대지 않은 채로 있을 뿐, 의심스런 빛도 없고 투명하지도 않다. 우리의 문학 모두가 지금까지 그 사물들의 가장 사소한 구석에 상처를 내는데 이르지 못했고 그 조그마한 곡선도 누그러뜨리는데 이르지 못'
) Alain Robbe Grillet, 앞의 책, 26쪽.
한 것이다. 거대한 목소리는 공허하며, 그것은 이미 허구임이 증명되었다. 그리하여 이제 그러한 세계의 위용에 무색무취하고 조용한 '봄(보다)'이 흠집을 낸다. 그것이 진실에 이르는 것이며, 삶의 조건의 개선에 대한 가능성을 지닌 것이다. 바르트(Barthes)가 말했듯이 문학의 목적은 역설적이게도 독자의 기대를 훌쩍 뛰어 넘는 '읽을 수 없는 작품(illisible texts)'에 의해 가장 잘 성취되는 것
) Jonathan Culler, Roland Barthes, 이종인 옮김, 『바르트』, 시공사, 1999. 12~3쪽.
일지도 모른다.
최상규의 누보로망은 이제 하나의 실험이 아니다. 실험삼아 작가가 죽은 것이 아니라 작가의 죽음은 현실에 대한 인식과 반성에서 비롯된 하나의 처절한 자기 희생이다. 그는 그러한 값비싼 대가를 치르고 독자에게 '즐김(jouissance)'을 준다. 그것은 독자에게 낯익은 문화를 파괴하고 그 절대적인 새로움으로 말미암아 당황해 하며, 자신의 역사적, 문화적, 심리적 발판이 뒤흔들리는 경험을 하게 하며, 언어와의 관계에서 위기를 느끼게 하는 것이다. 인간이 호모 루덴스(Homo Ludens)이고 호모 화버(Homo Faber)인 이상 그것의 읽기와 조작은 마땅히 희열(jeuissance)이고, 또 그것은 예술작품에 대한 독자의 자기 소외를 제거해 주는, 다시 말하면 독자를 무한히 흔들리며 영원히 새로워지는 의미의 생산자가 되게 하는 것으로, 이는 독자의 자아 회복을 가져다 주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이 작가가 죽음으로써 가능해진 것이다.
☞ 참고문헌
김성곤, 『포스트모던 소설과 비평』, 열음사, 1993.
김치수, 『문학 사회학을 위하여』, 문학과 지성사, 1986.
정명환, 『문학을 찾아서』, 민음사, 1994.
조남현, 『한국 현대소설 유형론 연구』, 집문당, 1999.
Barthes, Roland 외, 김현 편역, 『현대비평의 혁명』, 홍성사, 1980.
Barthes, Roland, et Maurice Nadeau, Sur la Litt rature, 유기환 옮김, 『문학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도서출판 강, 1998.
Barthes, Roland, Roland Barthes par Roland Barthes, 이상빈 역, 『롤랑 바르트가 쓴 롤랑 바르트』, 도서출판 강, 1997.
Blanchot, Maurice, L'espace litt raire, 박혜영 역, 『문학의 공간』, 책세상, 1991
Culler, Jonathan, On Deconstruction ; Theory and Criticism after Structualism, 이만식 옮김, 『해체비평』, 현대미학사, 1998.
Culler, Jonathan, Roland Barthes, 이종인 옮김, 『바르트』, 시공사, 1999.
Hillebrand, Bruno, Theorie des Romans, 박병화, 원당희 옮김, 『소설의 이론』, 현대소설사, 1993.
Jouve, Vincent, La Litt rature selon Roland Barthes, 하태환 옮김, 『롤랑 바르트』, 민음사, 1998.
Kenan, Shlomith Rimmon, Narrative Fiction ; Contemporary Poetics, 최상규 역, 『소설의 시학』, 문학과 지성사, 1985.
Oullet, R al, 정소성 역, 『누보로망의 이론』, 정음사, 1976.
Prince, Gerald, Narratology, 최상규 역, 『서사학』, 문학과 지성사.
Robbe Grillet, Alain, Pour un nouveau roman, 김치수 역, 『누보로망을 위하여』, 문학과 지성사, 1987.
Sartre, Jean Paul, Qu'est-ce que la litt rature ?, 정명환 옮김, 『문학이란 무엇인가』, 1998.
Selden, Raman, 윤홍로 외 역, 『현대문학의 이론』, 도서출판 백의, 1995.
이에 그의 소설은 이러한 '열린 작품'
) '열린 작품'이란 앞에서의 '즐김의 텍스트'와 같은 개념으로 독자의 해석적 협력의 필요성, 텍스트 밖의 요소의 도입에 대한 경계, 복수적 해석의 가능성의 유한성을 지니며, 이에 대응되는 '닫힌 작품'은 '다소간을 막론하고 한정된 실제적 독자의 마음에 한 가지의 정확한 반응을 일으키기를 끝끝내 겨냥하는' 작품이다. 그리고 글쓴이가 담아 넣은 일정한 기호 내용의 전체를 충실하게 따르고 그럼으로써 글쓴이가 빚어내려는 정확하고 단일적인 효과를 체험하는 이러한 실제적 독자를 에코(Eco)는 '닫힌 텍스트의 모범적 독자(model readers for closed texts)'라고 부른다. 정명환, 앞의 책, 332~3쪽.
으로서 그 테마적 열쇠(op rateurs th matique)로서의 해석적 그물은 얼마든지 複數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어찌하여도 결코 의미의 찌꺼기를 모두 건져 올릴 수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문제는 한 작품의 객관적 진실이나 전체적 진실을 아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작품에 관해서 사람마다 제시하는 비평적 담론의 유효성을 확보하는데 있게 될 것이다.
) 위의 책, 326쪽.
작가가 '죽은' 이상 무엇이 의미의 객관성과 단일성을 보장할 수 있겠는가. 따라서 진정한 독자는 텍스트에게나 작가에게 질문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전지한 神과 같은 작가에 의해 마련된 온실 속에서 독서를 한다는 것은 박물관에서 잘 정돈되어 진열된 유품 하나를 더 구경하는 것과 같다. 그러나 누보로망은 독자를 아무런 지평도 보이지 않는 거리로 내몰았다. 암호투성이인 이 세계, 그 '표면은 선명하고 매끈하며 손대지 않은 채로 있을 뿐, 의심스런 빛도 없고 투명하지도 않다. 우리의 문학 모두가 지금까지 그 사물들의 가장 사소한 구석에 상처를 내는데 이르지 못했고 그 조그마한 곡선도 누그러뜨리는데 이르지 못'
) Alain Robbe Grillet, 앞의 책, 26쪽.
한 것이다. 거대한 목소리는 공허하며, 그것은 이미 허구임이 증명되었다. 그리하여 이제 그러한 세계의 위용에 무색무취하고 조용한 '봄(보다)'이 흠집을 낸다. 그것이 진실에 이르는 것이며, 삶의 조건의 개선에 대한 가능성을 지닌 것이다. 바르트(Barthes)가 말했듯이 문학의 목적은 역설적이게도 독자의 기대를 훌쩍 뛰어 넘는 '읽을 수 없는 작품(illisible texts)'에 의해 가장 잘 성취되는 것
) Jonathan Culler, Roland Barthes, 이종인 옮김, 『바르트』, 시공사, 1999. 12~3쪽.
일지도 모른다.
최상규의 누보로망은 이제 하나의 실험이 아니다. 실험삼아 작가가 죽은 것이 아니라 작가의 죽음은 현실에 대한 인식과 반성에서 비롯된 하나의 처절한 자기 희생이다. 그는 그러한 값비싼 대가를 치르고 독자에게 '즐김(jouissance)'을 준다. 그것은 독자에게 낯익은 문화를 파괴하고 그 절대적인 새로움으로 말미암아 당황해 하며, 자신의 역사적, 문화적, 심리적 발판이 뒤흔들리는 경험을 하게 하며, 언어와의 관계에서 위기를 느끼게 하는 것이다. 인간이 호모 루덴스(Homo Ludens)이고 호모 화버(Homo Faber)인 이상 그것의 읽기와 조작은 마땅히 희열(jeuissance)이고, 또 그것은 예술작품에 대한 독자의 자기 소외를 제거해 주는, 다시 말하면 독자를 무한히 흔들리며 영원히 새로워지는 의미의 생산자가 되게 하는 것으로, 이는 독자의 자아 회복을 가져다 주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이 작가가 죽음으로써 가능해진 것이다.
☞ 참고문헌
김성곤, 『포스트모던 소설과 비평』, 열음사, 1993.
김치수, 『문학 사회학을 위하여』, 문학과 지성사, 1986.
정명환, 『문학을 찾아서』, 민음사, 1994.
조남현, 『한국 현대소설 유형론 연구』, 집문당, 1999.
Barthes, Roland 외, 김현 편역, 『현대비평의 혁명』, 홍성사, 1980.
Barthes, Roland, et Maurice Nadeau, Sur la Litt rature, 유기환 옮김, 『문학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도서출판 강, 1998.
Barthes, Roland, Roland Barthes par Roland Barthes, 이상빈 역, 『롤랑 바르트가 쓴 롤랑 바르트』, 도서출판 강, 1997.
Blanchot, Maurice, L'espace litt raire, 박혜영 역, 『문학의 공간』, 책세상, 1991
Culler, Jonathan, On Deconstruction ; Theory and Criticism after Structualism, 이만식 옮김, 『해체비평』, 현대미학사, 1998.
Culler, Jonathan, Roland Barthes, 이종인 옮김, 『바르트』, 시공사, 1999.
Hillebrand, Bruno, Theorie des Romans, 박병화, 원당희 옮김, 『소설의 이론』, 현대소설사, 1993.
Jouve, Vincent, La Litt rature selon Roland Barthes, 하태환 옮김, 『롤랑 바르트』, 민음사, 1998.
Kenan, Shlomith Rimmon, Narrative Fiction ; Contemporary Poetics, 최상규 역, 『소설의 시학』, 문학과 지성사, 1985.
Oullet, R al, 정소성 역, 『누보로망의 이론』, 정음사, 1976.
Prince, Gerald, Narratology, 최상규 역, 『서사학』, 문학과 지성사.
Robbe Grillet, Alain, Pour un nouveau roman, 김치수 역, 『누보로망을 위하여』, 문학과 지성사, 1987.
Sartre, Jean Paul, Qu'est-ce que la litt rature ?, 정명환 옮김, 『문학이란 무엇인가』, 1998.
Selden, Raman, 윤홍로 외 역, 『현대문학의 이론』, 도서출판 백의,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