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강한 타구를 날리기 위해서는 낮은 자세에서 높은 타점의 볼을 어깨를 이용하여 임팩트 해야 한다. 낮은 자세를 취하게 되면 떠오르는 볼을 잡기 쉽고 보다 민첩하게
7
움직이기 용이하다. 무릎을 적당하게 구부리고 네트의 흰 띠 위로 상대의 상체가 보일 정도로 낮은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스윙은 손목이나 팔꿈치뿐만 아니라 양 어깨를 사용하도록 한다. 자세가 낮으면 높은 타점에서 보다 힘이 들어가기 때문에 아래에서 위로 예리하게 스윙할 수 있다.
③ 테이크 백
왼손 주도형은 테이크 백을 할 때 상체를 크게 돌리지 않아도 상관없다. 어깨선이 네트와 수직이 되면 충분하다. 그러나 테이크 백을 간결하게 하는 대신에 크게 스윙해야 한다.
한편 오른손 주도형은 허리를 완전히 돌려 상대에게 등이 보일 정도로 상체를 회전 시켜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타점을 향하여 라켓이 자연스럽게 나오지 않는다.
④ 타점
타점의 위치도 왼손 주도형과 오른손 주도형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타점은 가능한 한 앞에서 잡는다. 왼손 주도형은 오른쪽 어깨선에서 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오른손 주도형은 만드시 오른쪽 어깨 보다도 약 20cm~30cm 앞에서 임팩트해야 한다.
⑤ 필로스로우
왼손 주도형이나 오른손 주도형 모두 볼을 보내고자 하는 방향으로 휘두르는 것이 기본이다. 특히 왼손 주도형은 볼을 밀어낸다는 느낌으로 크게 스윙한다. 한편 오른손 주도형은 임팩트 후에 왼쪽 어깨를 앞으로 내밀어야 한다. 라켓 헤드를 타고 방향으로 보낸 후 왼쪽 어깨를 앞으로 내어 오른쪽 어깨 위로 가지고 가도록 한다. 완벽한 스윙을 할 수 없을 경우 임팩트 후에 왼손을 떼고 스윙해도 무방하다.
⑥ 피니쉬
위력있는 볼을 치기 위해서는 볼을 상대 코트 깊숙이 보낸다는 느낌으로 스윙한다. 상대 코트의 베이스라인 가까이 떨어지는 샷을 치면 다음 샷을 공격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볼을 깊게 치기 위애서는 팔로우스루를 가능한 한 크게 해야 한다. 라켓을 어깨 위까지 올리면 된다. 라켓 헤드가 아니라 양 손이 어깨 위에 오도록 스윙한다는 표현이 맞을지도 모른다.
3. 발리
1) 그립
발리 그립은 개인에 따라 다른지만 컨티넨탈로 쥐는 것이 편하다. 컨티네탈 그립은 그립
을 고쳐 지지 않고 백이나 포 모두 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볼 스피드에 밀리지 않고 안정되게 라켓면을 만들 수 있다.
2) 준비자세
몸을 가볍게 앞으로 구부리고 팔꿈치를 몸보다 앞에 위치 시켜야 한다. 라켓은 세워서 가슴 앞에 대고 발뒤꿈치를 들고 상대 볼을 예측하면서 준비자세를 취하여야 한다.
3) 테이크 백
발리에서 저지르는 대부분의 실수는 라켓을 너무 많이 뒤로 당기기 때문에 발생한다. 발리에서는 볼을 몸의 앞쪽에서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테이크 백에서 가장 중요한 동작은 어
깨회전 동작과 오른쪽 팔꿈치를 앞에 둔 상태로 손목을 약간 뒤로 젖히는 것이다.
8
4) 라켓 워크
발리를 할 때에는 손목을 많이 쓰지 않고 팔 전체를 사용하여야 한다. 주의점은 손목을 고정시키고 팔 전체로 라켓을 이동시켜야 한다.
5) 풋워크
발리는 네트에 가까운 곳에서 행하는 동작이기 때문에 코스를 겨냥하여 정확하게 볼을 보낸다면 쉽게 득점할 수 있다. 따라서 라켓을 크게 휘두르지 않고 몸의 이동만으로 행하면 충분하다.
6) 타점의 위치
발리에서 타점의 위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과거에는 옆에서 서서 발리하는 것이 정석이였지만 지금은 몸 앞에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왜냐하면 스트레이트로 깊고 강한 볼을 칠 수 있기 때문이다. 라켓면이 몸 앞에 있으면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조작이 가능해져서 콘트롤이 좋아진다.
7) 로우 발리
낮게 네트를 넘어오는 볼을 발리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허리를 낮추고 상체가 앞으로 숙여지지 않게 해야한다. 로우 발리는 네트보다 낮은 위치에서 볼을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라켓면을 정확하게 만들고, 발밑으로 오는 로우발리를 길게 보내기 위해서는 가급적 상체를 지면에 수직이 되도록 세우고 스윙해야 한다.
8) 타이트 발리
상대방이 몸 쪽으로 공격해 온 볼을 발리로 처리하는 것을 타이트 발리라고 한다. 정면으로 날아 오는 볼은 백으로 처리하는 것이 원칙이다.
1) 준비자세
스매시는 발리와 달리 자신의 머리 위 넘어가는 경구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서둘러 뒤로 물러나 스매시를 하여야 한다.
스타트를 빠르게 할 수 있는 기술적 방법은 왼발을 먼저 앞으로 반보 내딛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니발을 이용하여 지면을 차며 뒤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4. 스매시
2) 테이크 백
테이크 백을 할 때 팔꿈치를 가능한 높게 두어야 한다. 팔꿈치의 위치가 낮으면 스윙이 늦게 되고 타점도 낮아지며 라켓면이 위를 향하게 되어 아웃되는 경우가 있고 또 너무 일찍 들게 되면 어깨에 힘이 들어가기 때문에 미리 드는 것이 좋다.
5. 서브
1) 기본자세
준비동작에서 양팔을 약간 위로 들어 올려 준비하면 다음 동작으로 자연스럽게 이어갈 수 있다. 준비자세에서 처음에 체중은 앞발레 실려 있어야 하며 라켓과 볼을 쥐고 있는 왼손을
9
2) 볼 잡는 법
서브를 넣기 위하여 토스를 할 때 볼을 잡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손바닥을 사용하지 않고 네 손가락을 자연스럽게 오므리고 그 위에 볼을 올려놓고 엄지 손가락으로 받치는 것이다. 약간 들어올린 자세를 취한다. 이 자세에서 왼손과 라켓을 다시 약간 내림가 동시에 체중을 뒷발로 이동한 다음 볼을 공중으로 토스업하고 다시 체중을 앞발로 이동시키며 뛰어올라 타구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서브를 할 수 있다.
3) 토스업
토스는 안정되고 정확하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독립된 동작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왼팔만으로 토스업을 해야 하며 신체의 다른 부위에 의존하지 않고 다른 부위에 영향을 주어서도 안된다. 우선 토스업은 팔이나 손목은 사용하지 않고 어깨의 동작만으로 하는 것이 기본이다.
[참 고 문 헌]
*천길영(2001), "(실전) 테니스 테크닉",대경북스
*한광걸(2004), "(Good shot)테니스", 영남대학교출판부
*한기훈(2004), "테니스", 무지개사
10
7
움직이기 용이하다. 무릎을 적당하게 구부리고 네트의 흰 띠 위로 상대의 상체가 보일 정도로 낮은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스윙은 손목이나 팔꿈치뿐만 아니라 양 어깨를 사용하도록 한다. 자세가 낮으면 높은 타점에서 보다 힘이 들어가기 때문에 아래에서 위로 예리하게 스윙할 수 있다.
③ 테이크 백
왼손 주도형은 테이크 백을 할 때 상체를 크게 돌리지 않아도 상관없다. 어깨선이 네트와 수직이 되면 충분하다. 그러나 테이크 백을 간결하게 하는 대신에 크게 스윙해야 한다.
한편 오른손 주도형은 허리를 완전히 돌려 상대에게 등이 보일 정도로 상체를 회전 시켜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타점을 향하여 라켓이 자연스럽게 나오지 않는다.
④ 타점
타점의 위치도 왼손 주도형과 오른손 주도형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타점은 가능한 한 앞에서 잡는다. 왼손 주도형은 오른쪽 어깨선에서 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오른손 주도형은 만드시 오른쪽 어깨 보다도 약 20cm~30cm 앞에서 임팩트해야 한다.
⑤ 필로스로우
왼손 주도형이나 오른손 주도형 모두 볼을 보내고자 하는 방향으로 휘두르는 것이 기본이다. 특히 왼손 주도형은 볼을 밀어낸다는 느낌으로 크게 스윙한다. 한편 오른손 주도형은 임팩트 후에 왼쪽 어깨를 앞으로 내밀어야 한다. 라켓 헤드를 타고 방향으로 보낸 후 왼쪽 어깨를 앞으로 내어 오른쪽 어깨 위로 가지고 가도록 한다. 완벽한 스윙을 할 수 없을 경우 임팩트 후에 왼손을 떼고 스윙해도 무방하다.
⑥ 피니쉬
위력있는 볼을 치기 위해서는 볼을 상대 코트 깊숙이 보낸다는 느낌으로 스윙한다. 상대 코트의 베이스라인 가까이 떨어지는 샷을 치면 다음 샷을 공격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볼을 깊게 치기 위애서는 팔로우스루를 가능한 한 크게 해야 한다. 라켓을 어깨 위까지 올리면 된다. 라켓 헤드가 아니라 양 손이 어깨 위에 오도록 스윙한다는 표현이 맞을지도 모른다.
3. 발리
1) 그립
발리 그립은 개인에 따라 다른지만 컨티넨탈로 쥐는 것이 편하다. 컨티네탈 그립은 그립
을 고쳐 지지 않고 백이나 포 모두 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볼 스피드에 밀리지 않고 안정되게 라켓면을 만들 수 있다.
2) 준비자세
몸을 가볍게 앞으로 구부리고 팔꿈치를 몸보다 앞에 위치 시켜야 한다. 라켓은 세워서 가슴 앞에 대고 발뒤꿈치를 들고 상대 볼을 예측하면서 준비자세를 취하여야 한다.
3) 테이크 백
발리에서 저지르는 대부분의 실수는 라켓을 너무 많이 뒤로 당기기 때문에 발생한다. 발리에서는 볼을 몸의 앞쪽에서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테이크 백에서 가장 중요한 동작은 어
깨회전 동작과 오른쪽 팔꿈치를 앞에 둔 상태로 손목을 약간 뒤로 젖히는 것이다.
8
4) 라켓 워크
발리를 할 때에는 손목을 많이 쓰지 않고 팔 전체를 사용하여야 한다. 주의점은 손목을 고정시키고 팔 전체로 라켓을 이동시켜야 한다.
5) 풋워크
발리는 네트에 가까운 곳에서 행하는 동작이기 때문에 코스를 겨냥하여 정확하게 볼을 보낸다면 쉽게 득점할 수 있다. 따라서 라켓을 크게 휘두르지 않고 몸의 이동만으로 행하면 충분하다.
6) 타점의 위치
발리에서 타점의 위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과거에는 옆에서 서서 발리하는 것이 정석이였지만 지금은 몸 앞에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왜냐하면 스트레이트로 깊고 강한 볼을 칠 수 있기 때문이다. 라켓면이 몸 앞에 있으면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조작이 가능해져서 콘트롤이 좋아진다.
7) 로우 발리
낮게 네트를 넘어오는 볼을 발리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허리를 낮추고 상체가 앞으로 숙여지지 않게 해야한다. 로우 발리는 네트보다 낮은 위치에서 볼을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라켓면을 정확하게 만들고, 발밑으로 오는 로우발리를 길게 보내기 위해서는 가급적 상체를 지면에 수직이 되도록 세우고 스윙해야 한다.
8) 타이트 발리
상대방이 몸 쪽으로 공격해 온 볼을 발리로 처리하는 것을 타이트 발리라고 한다. 정면으로 날아 오는 볼은 백으로 처리하는 것이 원칙이다.
1) 준비자세
스매시는 발리와 달리 자신의 머리 위 넘어가는 경구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서둘러 뒤로 물러나 스매시를 하여야 한다.
스타트를 빠르게 할 수 있는 기술적 방법은 왼발을 먼저 앞으로 반보 내딛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니발을 이용하여 지면을 차며 뒤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4. 스매시
2) 테이크 백
테이크 백을 할 때 팔꿈치를 가능한 높게 두어야 한다. 팔꿈치의 위치가 낮으면 스윙이 늦게 되고 타점도 낮아지며 라켓면이 위를 향하게 되어 아웃되는 경우가 있고 또 너무 일찍 들게 되면 어깨에 힘이 들어가기 때문에 미리 드는 것이 좋다.
5. 서브
1) 기본자세
준비동작에서 양팔을 약간 위로 들어 올려 준비하면 다음 동작으로 자연스럽게 이어갈 수 있다. 준비자세에서 처음에 체중은 앞발레 실려 있어야 하며 라켓과 볼을 쥐고 있는 왼손을
9
2) 볼 잡는 법
서브를 넣기 위하여 토스를 할 때 볼을 잡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손바닥을 사용하지 않고 네 손가락을 자연스럽게 오므리고 그 위에 볼을 올려놓고 엄지 손가락으로 받치는 것이다. 약간 들어올린 자세를 취한다. 이 자세에서 왼손과 라켓을 다시 약간 내림가 동시에 체중을 뒷발로 이동한 다음 볼을 공중으로 토스업하고 다시 체중을 앞발로 이동시키며 뛰어올라 타구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서브를 할 수 있다.
3) 토스업
토스는 안정되고 정확하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독립된 동작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왼팔만으로 토스업을 해야 하며 신체의 다른 부위에 의존하지 않고 다른 부위에 영향을 주어서도 안된다. 우선 토스업은 팔이나 손목은 사용하지 않고 어깨의 동작만으로 하는 것이 기본이다.
[참 고 문 헌]
*천길영(2001), "(실전) 테니스 테크닉",대경북스
*한광걸(2004), "(Good shot)테니스", 영남대학교출판부
*한기훈(2004), "테니스", 무지개사
10
키워드
추천자료
[인터넷][온라인][웹][가상공간][인터넷활용][사이버]인터넷의 개념, 인터넷의 역사, 인터넷...
지역사회복지 구조 기능의 특성과 문제점
생물학적 측면과 심리사회적인 측면에서 인간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고 이러한 인간의 이해를 ...
생활체육의 개념과 의의, 특성, 기능과 역할, 필요성
한국시민사회 의미,특성, 한국시민사회 형성, 한국시민사회와 시민운동, 한국시민사회와 비영...
생물학적 측면에과 심리사회학적인 측면에서 인간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고 정신간호사의 역할...
[영아기발달] 영아기 운동발달 - 영아기 이행운동, 협응기능, 생리적 기능(생리기능)
[보육학개론] 영아기의 발달 특성인 신체 및 운동 발달, 인지발달, 언어발달, 정서발달, 사회...
[신생아발달] 신생아의 신체적 특징, 생리적 기능, 신생아기 반사운동 및 감각기능
물의 기능, 물의 대사와 섭취, 물과 건강, 물과 운동, 물의 소요량과 음료수의 조건
[소장 및 대장의 구조와 기능] 소장과 대장의 구조, 소장-대장의 운동과 소화작용
유아기 놀이발달(유아의 놀이 특성과 유형, 놀이의 기능, 유아의 놀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
장애의 유형 및 특성(외부신체기능장애, 내부기관장애, 정신지체, 정신장애, 발달장애-자폐증)
[산업복지론] 산업복지의 개념과 특성 및 출현배경(등장배경) 산업복지의 기능 우리나라(한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