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서양음악의 조에 대한 미의식
Ⅲ. 한국전통음악의 조에 대한 미의식
Ⅳ. 맺음말
참고문헌
**한글97
Ⅱ. 서양음악의 조에 대한 미의식
Ⅲ. 한국전통음악의 조에 대한 미의식
Ⅳ. 맺음말
참고문헌
**한글97
본문내용
낌이 들고 경드름은 경쾌한 느낌과 경기 향토토리를 느끼고 설렁제는 씩씩하고 경쾌하며 호탕한 느낌이 들고 추천목은 청승맞은 느낌이 든다고 한다.
판소리는 극적 상황을 섬세한 음악적 감정으로 표현하는 음악형식이다. 백대웅 교수가 조의 의미와 다른 표현방법에 따라 '길'을 나누었으나 이보형씨는 상황의 구체적 표현으로 판소리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서 조와 관계되는 어휘로 설명하고 있다.
이상으로 한국전통음악에 관계된 조의 미의식을 살펴보았다. 궁중은 제례 연례 회례 등의 의식이 있었고 이 의식에 연주되는 음악이 있었다. 이 음악은 의식음악의 기능을 가졌으므로 음악은 철학적 의미와 질서로 의미를 부여하고 있으나 조 음계 선법에 대한 의미는 간과되고 있다.
신라 통일시대 이후 6세기 경 민간음악으로 사용된 삼현삼죽의 음악에 많은 악조(樂調)가 있었으나 악조의 이름뿐이므로 그 실체는 알 수 없다. 고려시대의 향악은 평조와 계면조를 사용한 듯 하고 15세기 조선시대의 음악에는 우조 평조 계면조와 몇 개의 조가 향악의 악조로 쓰였던 것 같다.
17세기 민간음악이 활발하여 지고 개인악보가 제작되는 등, 문화예술이 민간으로 확대 전개됨에 따라 감상음악이 발달한다. 시조 가곡 가사 민요 판소리 잡가 산조 등 민간음악 형식이 발생 발전함으로써 음악이 형이상학적 위치에서 인간의 실제적 위치로 바뀌고 감정 정서 기분이 여기에 개재한다. 민간음악형식 중에서 극음악인 판소리는 사설의 이면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악조 즉 '조' 또는 '길'을 감정표출의 음악적 동기로 활용한다.
Ⅳ. 맺음말
이 글은 한국전통음악의 조가 어떤 의미로 해석되며 그 미의식의 내용이 무엇인가를 파악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된 것이다. 조의 의미와 조에 대한 미의식이라는 명제는 두 개의 다른 각도로 제기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포괄적인 개념으로 설명되는 것이다. 한국전통음악의 조개념에서 조(Key)라는 것이 정확한 단일개념이 아니라 여러 뜻으로 표현되는 낱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가 가졌다고 인정하는 그 무엇은 사람이 조에 대하여 부여하는 미의식과 같은 뜻이다.
한국전통음악에서 사용하는 조의 미의식을 살펴보기에 앞서 서양음악에서 말하는 조의 미의식을 간단히 고찰하였다. 그 이유는, 한국전통음악을 말할 때 흔히 특수성만 부각시켜 그것이 한국전통음악의 우수성인양 과대포장하는 경우를 본다. 어느 민족의 음악이건 특수성과 보편성은 모두 함께 지닌다고 볼 때 한국전통음악의 조에 대한 감각이 결코 한국만의 특수한 것이 아니라는 것, 보편성이지만 구별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을 제시하려고 한 것이다.
고대 그리스의 선법은 각기 특정한 에토스를 가진 것으로 해석하였다. 선법의 에토스는 중세 가톨릭 음악 초기에도 유사한 의미로 이어졌으나 11세기에는 신비적 상징주의의 경향을 띄게 되었다.
16세기 르네상스가 감정을 대두시키고 17세기 정서설과 18·19세기 감정미학으로 전개된다. 19세기 형식미학과의 논쟁이 계속되었으나 음악과 조에 대한 감정의 미의식은 서양음악의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한국전통음악에서 말할 수 있는 조에 대한 의미는 궁중의 의식음악에서 보다 민간의 감상음악에서 찾을 수 있다. 서양에 있어서 음악이 가톨릭교회에서 인간사회로 방향을 바꾸었다면 한국의 음악은 특히 조선시대의 음악은, 궁중보다 민간음악이 다양한 전개양상을 보인다.
그러므로 전환작용에 기여한 종교개혁만큼이나 실학사상은 변동의 전기를 만들어 주었다고 생각된다. 실학이 진행되던 17세기부터 음악은 감정을 말하기 시작한다. 조선시대 음악의 주요한 조라고 말하는 우조 평조 계면조가 궁중에서는 아무런 의미가 주어지지 않았으나 민간에 전이됨으로부터 감정의 개입이 시작된다. 평조는 정대화평하고 우조는 청철장려하며 계면조는 오열처창하다는 감정과 관계된, 일종의 나타냄말과 같은 특성을 인식한다. 가곡에서 말하는 조의 미의식은 판소리로 확대되고 심화되어 조의 의미가 확대되고 이에 따라 섬세한 감정표현에까지 이르게 된다. 조에 대한 섬세하고도 구체적인 표현과 감정의 미의식은 서양음악의 미의식에 비해 훨씬 세분되었다고 판단된다. 근대음악에 한한 한 음악의 동과 서를 막론하고 감정 정서 기분 등과는 불가분의 관계가 아닌가 싶다.
참고문헌
권영철, 『병와 이형상연구』 서울, 한국연구소, 1978
박흥수, 『도량형과 국악논총』 서울, 박흥수선생화갑기념논문집간행회, 1980
백대웅, 『한국전통음악의 선율구조』 서울, 대광문화사, 1982
송방송, 『한국음악통사』 서울, 일조각, 1984
이혜구, 『한국음악연구』 서울, 국민음악연구회ㅡ 1957
정회갑교수 송수기념준비위원회, 『정회갑교수송수기념논문집』 서울, 1983
국립국악원, 『국악원논문집』 제9집, 서울, 국립국악원, 1997
대한민국예술원, 『제9회 아시아 예술심포지움 논문집』 서울, 대한민국예술원, 1980
중앙대학교, 『중앙음악』 제7집, 안성, 중앙대학교 음악대학 학생회, 1992
한국국악학회, 『한국음악연구』 제13·14집 합병호, 서울, 한국국악학회, 1984
國安洋 『音樂美學入門』 김승일 역, 서울, 삼호출판사, 1987
Hans Moser, 『음악미학』 김진균 역, 서울, 학문사, 1979
Platon, Republic, 박종현 역주, 『플라톤의 국가-政 』, 서광사, 1997
Platon, 『플라톤의 국가-政體』 서울, 서광사, 1997
野村良雄, 『音樂美學』 서울, 음악예술사, 1974
이혜구 역, 『국역 악학궤범』 I·II,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79
渡 護, 『音樂美の構造』 東京, 音樂之友社, 1969.
Donald J. Grout, 『A History of Western Music』 New York, W. W. Norton & Co. Inc., 1973
Hugo Leichtentritt, 『Music History and Idea』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66
朴孝寬·安玟英, 『歌曲源流』(영인본) 서울, 국립국악원, 1981
安 , 『琴合字譜』(영인본) 서울,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학연구회, 1974
梁德壽, 『洋琴新譜』(영인본) 서울, 통문관, 1959
판소리는 극적 상황을 섬세한 음악적 감정으로 표현하는 음악형식이다. 백대웅 교수가 조의 의미와 다른 표현방법에 따라 '길'을 나누었으나 이보형씨는 상황의 구체적 표현으로 판소리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서 조와 관계되는 어휘로 설명하고 있다.
이상으로 한국전통음악에 관계된 조의 미의식을 살펴보았다. 궁중은 제례 연례 회례 등의 의식이 있었고 이 의식에 연주되는 음악이 있었다. 이 음악은 의식음악의 기능을 가졌으므로 음악은 철학적 의미와 질서로 의미를 부여하고 있으나 조 음계 선법에 대한 의미는 간과되고 있다.
신라 통일시대 이후 6세기 경 민간음악으로 사용된 삼현삼죽의 음악에 많은 악조(樂調)가 있었으나 악조의 이름뿐이므로 그 실체는 알 수 없다. 고려시대의 향악은 평조와 계면조를 사용한 듯 하고 15세기 조선시대의 음악에는 우조 평조 계면조와 몇 개의 조가 향악의 악조로 쓰였던 것 같다.
17세기 민간음악이 활발하여 지고 개인악보가 제작되는 등, 문화예술이 민간으로 확대 전개됨에 따라 감상음악이 발달한다. 시조 가곡 가사 민요 판소리 잡가 산조 등 민간음악 형식이 발생 발전함으로써 음악이 형이상학적 위치에서 인간의 실제적 위치로 바뀌고 감정 정서 기분이 여기에 개재한다. 민간음악형식 중에서 극음악인 판소리는 사설의 이면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악조 즉 '조' 또는 '길'을 감정표출의 음악적 동기로 활용한다.
Ⅳ. 맺음말
이 글은 한국전통음악의 조가 어떤 의미로 해석되며 그 미의식의 내용이 무엇인가를 파악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된 것이다. 조의 의미와 조에 대한 미의식이라는 명제는 두 개의 다른 각도로 제기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포괄적인 개념으로 설명되는 것이다. 한국전통음악의 조개념에서 조(Key)라는 것이 정확한 단일개념이 아니라 여러 뜻으로 표현되는 낱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가 가졌다고 인정하는 그 무엇은 사람이 조에 대하여 부여하는 미의식과 같은 뜻이다.
한국전통음악에서 사용하는 조의 미의식을 살펴보기에 앞서 서양음악에서 말하는 조의 미의식을 간단히 고찰하였다. 그 이유는, 한국전통음악을 말할 때 흔히 특수성만 부각시켜 그것이 한국전통음악의 우수성인양 과대포장하는 경우를 본다. 어느 민족의 음악이건 특수성과 보편성은 모두 함께 지닌다고 볼 때 한국전통음악의 조에 대한 감각이 결코 한국만의 특수한 것이 아니라는 것, 보편성이지만 구별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을 제시하려고 한 것이다.
고대 그리스의 선법은 각기 특정한 에토스를 가진 것으로 해석하였다. 선법의 에토스는 중세 가톨릭 음악 초기에도 유사한 의미로 이어졌으나 11세기에는 신비적 상징주의의 경향을 띄게 되었다.
16세기 르네상스가 감정을 대두시키고 17세기 정서설과 18·19세기 감정미학으로 전개된다. 19세기 형식미학과의 논쟁이 계속되었으나 음악과 조에 대한 감정의 미의식은 서양음악의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한국전통음악에서 말할 수 있는 조에 대한 의미는 궁중의 의식음악에서 보다 민간의 감상음악에서 찾을 수 있다. 서양에 있어서 음악이 가톨릭교회에서 인간사회로 방향을 바꾸었다면 한국의 음악은 특히 조선시대의 음악은, 궁중보다 민간음악이 다양한 전개양상을 보인다.
그러므로 전환작용에 기여한 종교개혁만큼이나 실학사상은 변동의 전기를 만들어 주었다고 생각된다. 실학이 진행되던 17세기부터 음악은 감정을 말하기 시작한다. 조선시대 음악의 주요한 조라고 말하는 우조 평조 계면조가 궁중에서는 아무런 의미가 주어지지 않았으나 민간에 전이됨으로부터 감정의 개입이 시작된다. 평조는 정대화평하고 우조는 청철장려하며 계면조는 오열처창하다는 감정과 관계된, 일종의 나타냄말과 같은 특성을 인식한다. 가곡에서 말하는 조의 미의식은 판소리로 확대되고 심화되어 조의 의미가 확대되고 이에 따라 섬세한 감정표현에까지 이르게 된다. 조에 대한 섬세하고도 구체적인 표현과 감정의 미의식은 서양음악의 미의식에 비해 훨씬 세분되었다고 판단된다. 근대음악에 한한 한 음악의 동과 서를 막론하고 감정 정서 기분 등과는 불가분의 관계가 아닌가 싶다.
참고문헌
권영철, 『병와 이형상연구』 서울, 한국연구소, 1978
박흥수, 『도량형과 국악논총』 서울, 박흥수선생화갑기념논문집간행회, 1980
백대웅, 『한국전통음악의 선율구조』 서울, 대광문화사, 1982
송방송, 『한국음악통사』 서울, 일조각, 1984
이혜구, 『한국음악연구』 서울, 국민음악연구회ㅡ 1957
정회갑교수 송수기념준비위원회, 『정회갑교수송수기념논문집』 서울, 1983
국립국악원, 『국악원논문집』 제9집, 서울, 국립국악원, 1997
대한민국예술원, 『제9회 아시아 예술심포지움 논문집』 서울, 대한민국예술원, 1980
중앙대학교, 『중앙음악』 제7집, 안성, 중앙대학교 음악대학 학생회, 1992
한국국악학회, 『한국음악연구』 제13·14집 합병호, 서울, 한국국악학회, 1984
國安洋 『音樂美學入門』 김승일 역, 서울, 삼호출판사, 1987
Hans Moser, 『음악미학』 김진균 역, 서울, 학문사, 1979
Platon, Republic, 박종현 역주, 『플라톤의 국가-政 』, 서광사, 1997
Platon, 『플라톤의 국가-政體』 서울, 서광사, 1997
野村良雄, 『音樂美學』 서울, 음악예술사, 1974
이혜구 역, 『국역 악학궤범』 I·II,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79
渡 護, 『音樂美の構造』 東京, 音樂之友社, 1969.
Donald J. Grout, 『A History of Western Music』 New York, W. W. Norton & Co. Inc., 1973
Hugo Leichtentritt, 『Music History and Idea』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66
朴孝寬·安玟英, 『歌曲源流』(영인본) 서울, 국립국악원, 1981
安 , 『琴合字譜』(영인본) 서울,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학연구회, 1974
梁德壽, 『洋琴新譜』(영인본) 서울, 통문관, 1959
추천자료
대중음악과 언어 - 대중가요 가사의 문제점
교회음악이 신앙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음악치료
음악 불법다운로드의 문제점과 대책
음악프로그램에 나타난 문화강도 현상
[북한][북한 공업구조][북한 영화산업][북한 음악][북한 미인][북한 연예인][북한 휴가]북한...
우연성음악 수업지도안
[학습원리][교육원리][사회과][국어과][음악과][체육과]사회과교육 학습원리, 국어과교육 학...
한국음악사
[헤르만 헤세][헤르만 헤세 출생][헤르만 헤세 종교][내면세계][음악세계][대중문화]헤르만 ...
[1960년대][희곡][소설][순수문학][전통극][라디오단막극][대중음악]1960년대의 희곡, 1960년...
인도음악의 이해
음악적 영상으로 문학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