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오인에서 생겨나는 환상, 집착, 사로잡힘, 포획
2. 게슈탈트(Gestalt), 파편화된 신체(fragmented body)
3. 자아의 소외
4. 자아와 주체
5. 동일시(identification), 나르시시즘
결론
본론
1. 오인에서 생겨나는 환상, 집착, 사로잡힘, 포획
2. 게슈탈트(Gestalt), 파편화된 신체(fragmented body)
3. 자아의 소외
4. 자아와 주체
5. 동일시(identification), 나르시시즘
결론
본문내용
인간의 평생에 무의식적으로 작용하는가 하는 점일 것이다.
이처럼 프로이트와 라깡의 연구가 제기한 대로 '오인'으로부터 출발한 환상이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나르시시즘을 형성하고 있고 그 나르시시즘이 유아기 때부터 인간내부에 깊이 뿌리하고 있기 때문에, 충분히 자명한 의식이라는 것은 (이런 모든 정신분석적 경험에 의해) 전복될 수밖에 없다. 이미 프로이트와 라깡의 세계관에서는 Cogito란 부정되고 만다. 그 완벽하리라 믿어지던 이성은 이미 그 뒤에 놓여진, 게다가 유아기 시절부터 이미 뿌리내려 버린 무의식의 계속되는 교란(?)으로 인해 결코 완벽할 수 없는 인식을 하게 되는 것이다.
거울 단계는 비활동성 혹은 고착이라는 특성을 갖는다. 신경증환자는 모두 이 단계에 머물러 자아와 상황을 구별하지 못하고 소외된다. 그는 대상과 자신을 일치시키고 타자의 욕망과 자신의 욕망을 구별하지 못하는 오인 혹은 환상의 단계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기에 타자의식이 전혀 없다. 여기에 광기가 존재한다. 그 광기는 수용소의 경험으로 남아 있는 광기 뿐 아니라 세상을 귀먹게 하는 광기까지도 포함한다. 오인의 구조를 실재계의 한 부분으로 편입시킴으로써 라깡은 의식이 지닌 환상을 강조하기에 히틀러와 그 외 자기 의견만이 절대적인 진실이라고 착각하는 독선적인 정치가 혹은 사람들을 환자의 범주에 넣는다. 이런 의미에서 정신분석학은 허구적 이미지에 사로잡힌 주체를 인정함으로써 고착에서 빠져 나오게 하고 존재의 본질을 읽을 수 있는 열쇠를 제공한다. 물론 분석가 자신도 신경증의 원인을 진리로서 규명해내지는 못한다. 다만 거울단계에서 빠져 나오게, 고착으로부터 해방되게 만들 수 있을 뿐이다.
* 참고 서적
자끄 라깡, 권택영 엮음, <자크 라캉의 욕망이론>, 문예출판사, 1999
딜런 에반스, 김종주 외 역, <라깡 정신분석 사전>, 인간사람, 1998
맬컴 보위, 이종인 역, <라캉>, 시공사, 1999
나지오, 임진수 역, <자크 라캉의 이론에 대한 다섯 편의 강의>, 교문사, 1999
김종주, <라깡 정신분석과 문학평론>, 하나의학사, 1996
수잔 헤이워드, 이영기 역, <영화 사전>, 한나래, 1999
* 약어 설명
<라깡 사전> : <라깡 정신분석 사전>
<라캉> : <라캉>
<권택영> : <자크 라캉의 욕망이론> 중의 권택영의 해설부분
<거울 단계> : 위 책의 글 중
"정신분석 경험에서 드러난 주체기능 형성모형으로서의 거울단계"
이처럼 프로이트와 라깡의 연구가 제기한 대로 '오인'으로부터 출발한 환상이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나르시시즘을 형성하고 있고 그 나르시시즘이 유아기 때부터 인간내부에 깊이 뿌리하고 있기 때문에, 충분히 자명한 의식이라는 것은 (이런 모든 정신분석적 경험에 의해) 전복될 수밖에 없다. 이미 프로이트와 라깡의 세계관에서는 Cogito란 부정되고 만다. 그 완벽하리라 믿어지던 이성은 이미 그 뒤에 놓여진, 게다가 유아기 시절부터 이미 뿌리내려 버린 무의식의 계속되는 교란(?)으로 인해 결코 완벽할 수 없는 인식을 하게 되는 것이다.
거울 단계는 비활동성 혹은 고착이라는 특성을 갖는다. 신경증환자는 모두 이 단계에 머물러 자아와 상황을 구별하지 못하고 소외된다. 그는 대상과 자신을 일치시키고 타자의 욕망과 자신의 욕망을 구별하지 못하는 오인 혹은 환상의 단계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기에 타자의식이 전혀 없다. 여기에 광기가 존재한다. 그 광기는 수용소의 경험으로 남아 있는 광기 뿐 아니라 세상을 귀먹게 하는 광기까지도 포함한다. 오인의 구조를 실재계의 한 부분으로 편입시킴으로써 라깡은 의식이 지닌 환상을 강조하기에 히틀러와 그 외 자기 의견만이 절대적인 진실이라고 착각하는 독선적인 정치가 혹은 사람들을 환자의 범주에 넣는다. 이런 의미에서 정신분석학은 허구적 이미지에 사로잡힌 주체를 인정함으로써 고착에서 빠져 나오게 하고 존재의 본질을 읽을 수 있는 열쇠를 제공한다. 물론 분석가 자신도 신경증의 원인을 진리로서 규명해내지는 못한다. 다만 거울단계에서 빠져 나오게, 고착으로부터 해방되게 만들 수 있을 뿐이다.
* 참고 서적
자끄 라깡, 권택영 엮음, <자크 라캉의 욕망이론>, 문예출판사, 1999
딜런 에반스, 김종주 외 역, <라깡 정신분석 사전>, 인간사람, 1998
맬컴 보위, 이종인 역, <라캉>, 시공사, 1999
나지오, 임진수 역, <자크 라캉의 이론에 대한 다섯 편의 강의>, 교문사, 1999
김종주, <라깡 정신분석과 문학평론>, 하나의학사, 1996
수잔 헤이워드, 이영기 역, <영화 사전>, 한나래, 1999
* 약어 설명
<라깡 사전> : <라깡 정신분석 사전>
<라캉> : <라캉>
<권택영> : <자크 라캉의 욕망이론> 중의 권택영의 해설부분
<거울 단계> : 위 책의 글 중
"정신분석 경험에서 드러난 주체기능 형성모형으로서의 거울단계"
추천자료
빈곤으로 인한 아동문제
청소년기의 친구관계 지도
싸이월드 분석(A+레포트)
솔벨로우의 허조그에 대하여 (작가 및 작품분석)
프로이드,에릭슨의 이론
이상 생애와 경향, 작품분석
신체 변형 장애 (성형중독)
사회교육(성인학습, 성인교육)의 의미, 사회교육(성인학습, 성인교육)의 분류, 사회교육(성인...
[성인학습 및 상담론 공통] 에릭슨(Erikson), 레빈슨(Levinson), 로에빙거(Loevinger)의 발달...
[성인학습 및 상담론 공통] 에릭슨(Erikson), 레빈슨(Levinson), 로에빙거(Loevinger)의 발달...
자원봉사론]각자 자신이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자원봉사의 주체를 선정하여 그들에게 왜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