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2 장 발달심리의 기초
2.1. Freud의 정신분석 이론
2.1.1.성격 의 위상
2.1.2. 성격의 구조
2.1.3. 성격발달단계
2.2. Erikson의 심리 사회적 이론
2.2.1. 심리 사회적 발달단계
2.2.2. Erikson이론의 시사점
2.3.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2.3.1. 적응(adaptation)
2.3.2. 발달단계
2.3.3. Piaget이론의 문제점
2.4. Kohlberg의 도덕발달이론
2.1. Freud의 정신분석 이론
2.1.1.성격 의 위상
2.1.2. 성격의 구조
2.1.3. 성격발달단계
2.2. Erikson의 심리 사회적 이론
2.2.1. 심리 사회적 발달단계
2.2.2. Erikson이론의 시사점
2.3.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2.3.1. 적응(adaptation)
2.3.2. 발달단계
2.3.3. Piaget이론의 문제점
2.4. Kohlberg의 도덕발달이론
본문내용
옳고 그른 것으로 생각하느냐 하는 도덕성의 이해
에 관심이 있었다. Kohlberg는 도덕발달이 계단과 같은 발달과정이라는 연구결과를 얻었는데 여
기서 Kohlberg가 제시한 갈등사항을 보고 그 연구결과를 살펴보기로 하자.
"Heinz라는 사람은 병들어 죽어가는 자기 아내를 살리기 위해 약을 사러 갔다. 그 약의 원가는
200달러 정도인데, 2,000달러를 요구했다. 도저히 약값을 마련할 수 없는 Heinz는 아내가 다 죽게
되었으니, 약값을 좀 싸게 해 주든지 아니면 외상으로 팔 것을 애원하였다. 그러나 거절당했다.
그래서 Heinz는 그 약을 훔쳐내었다."
이런 이야기를 아이들에게 들려 준 다음에 아이들에게 Heinz의 행위가 정당화될 수 있는 것인지
를 물어서 그 반응을 분석한 결과, 연령에 따라 상이한 도덕기준에 따라서 판단함을 알아냈으며,
크게는 수준, 즉 전인습적 도덕기(preconventional morality), 인습적 도덕기(cinventional
morality), 후인습적 도덕기(postcinventional morality)으로 구별하고, 각 수준을 각각 두 개의
하위 단계로 나누어 도합 6단계로 구분하였다. 1,2단계가 속하는 제1수준은 진정한 의미의 도덕성
이 없다는 것과 단지 처벌과 복종에 의해 결정되며, 그 후 쾌락에 의해 결정된다. 3,4단계가 속하
제2수준은 전통적인 법과 질서에 동조하는 도덕성이 발달하며, 6,6단계가 속하는
제3수준은 스스로 마음 속에서 승인하는 도덕규율이 생겨 이에 따라 판단하고
행동하는 데, 약정된 의무와 공인된 법칙에 따르다가 개인의 양심을 쫓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1 단계
벌을 피하기 위해 권위와 규율에 복종하는 단계로 국민학교 저학년 이하의 어린이들이 주로 이
단계에 속한다. 이 때는 인생의 가치를 물질적 가치와 혼동한다. 위의 예에서 약을 만드는 값이
별로 비싸지 않기 때문에 훔친 행위를 정당화할 수도 있고, 또는 잡히면 벌을 받을 것이기 때문
에 나쁜 행위로 평가할 수도 있다.
(2) 제 2 단계
상과 칭찬을 받기 위해 동조하는 것으로서 인생의 가치를 자신이나 타인의 욕구충족에 두고 있
다. 예를 들면 어차피 죽을 환자가 고통을 피하기 위해 죽여달라고 할 때, 의사는 안락사를 시키
는 것이 환자의 고통을 덜어 주기 위해 좋다고 판단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래서 순진한 도구
적 쾌락주의단계라고도 한다.
(3) 제 3 단계
타인으로부터의 비난을 피하기 위하여 행동하며, 인생의 가치를 가족과 타인에 대한 애정과 연민
에 둔다. 위의 안락사의 예에 대한 반응은 남편이 환자(부인)를 무척 사랑하고 보고 싶어하며, 빨
리 죽기를 원치 않기 때문에 안락사시킬 수 없다는 식의 반응이다.
(4) 제 4 단계
권위자의 규칙에 따르며 행동결과로 생기는 죄를 피하기 위해 행동한다. 인생을 신성한 것으로
느끼며, 사회적 문화적인 법과 질서를 강조하며 의사는 환자를 안락사시킬 권리가 없으며, 어느
누구도 생명을 빼앗을 수 없다는 반응을 나타낸다.
(5) 제 5 단계
사회복지적인 면에서 공명정대한 제3자의 입장을 취하며, 인생을 사회복지와 보편적인 인간의 권
리와의 관계에서 평가한다. 예를 들어, "중대장은 부대를 구하기 위해 어떤 병사에게 사지로 가도
록 명령해야 하는가?"와 같은 물음에 대해 많은 생명을 구하기 위해서는 보낼 수 밖에 없다는 식
의 반응을 보인다. 즉 이 단계는 계약과 인권, 민주적 법칙의 도덕성을 가지고 사회복지에 동조하
는 단계이다.
(6) 제 6 단계
인생을 보편적인 인간의 가치를 갖는 신성한 것으로 믿으며, 자책감을 피하려는 개인적인 양심의
원리에 입각한 도덕성을 가진다. 위의 약을 훔친 예에서 사회적인 법으로 보면, 그가 나쁘지만 자
연이나 신의 법으로 보면 약을 주지 않은 사람이 나쁘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의 생명은 경제적인
것으로 말할 수 없는 것이며, 누가 죽든간에 사람이라면 그를 구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식의 반
응단계이다.
Kohlberg는 위와 같은 6단계를 설정했다가, 근래에 와서 제 7 단계를 추가하였
는데, 7단계는 우주적이고 영생적인 것을 지향하는 단계로서 도덕적인 문제는
도덕이나 삶 자체가 아니라 우주적 질서와의 통합이라고 보는 단계이다.
이상 Kohlberg의 이론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또 앞에서 언급하다시피 Kohlberg는 도덕발달단계가
Piaget의 인지발달단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그 예로 형식적 조작 사고를 할 수 있어
야만 제3수준의 도덕성 발달에 필요한 추상적 사고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각 발달단계이론을 연령별로 비교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참고문헌>
서봉연,발달심리학(1983),발달심리학,중앙적성출판부.
한국인간발달학회(1995),유아의 심리,중앙적성출판부.
Flavell,J.H.(1963), The develpmental psychology of Jean Piaget, Princeton, New
Jersey:D.Van Nostrand Company, Inc.
Furth,Hans.G.(1970), Piaget for teachers,Englewood Cliffs New
Fersey;PrenticeHall, Inc.
Kamii,C.K.,& Devries,R.(,1978.),Physical Knowledge in preschool
education:Implications Piaget's theory, New Jersey:Prentice-Hall
Inc.
Karz,L.G(Ed.)(1977.),Current top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ew
Jersey:Ablex Co.,
Kohlberg,L.,& Mayer,R.(1972),Develpment as the aim of education,Harvard
Educational Review,.
Lavatelli, C.S.(1980),Piaget's theory Applied to 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Boston:American Science and Engineering Inc.
에 관심이 있었다. Kohlberg는 도덕발달이 계단과 같은 발달과정이라는 연구결과를 얻었는데 여
기서 Kohlberg가 제시한 갈등사항을 보고 그 연구결과를 살펴보기로 하자.
"Heinz라는 사람은 병들어 죽어가는 자기 아내를 살리기 위해 약을 사러 갔다. 그 약의 원가는
200달러 정도인데, 2,000달러를 요구했다. 도저히 약값을 마련할 수 없는 Heinz는 아내가 다 죽게
되었으니, 약값을 좀 싸게 해 주든지 아니면 외상으로 팔 것을 애원하였다. 그러나 거절당했다.
그래서 Heinz는 그 약을 훔쳐내었다."
이런 이야기를 아이들에게 들려 준 다음에 아이들에게 Heinz의 행위가 정당화될 수 있는 것인지
를 물어서 그 반응을 분석한 결과, 연령에 따라 상이한 도덕기준에 따라서 판단함을 알아냈으며,
크게는 수준, 즉 전인습적 도덕기(preconventional morality), 인습적 도덕기(cinventional
morality), 후인습적 도덕기(postcinventional morality)으로 구별하고, 각 수준을 각각 두 개의
하위 단계로 나누어 도합 6단계로 구분하였다. 1,2단계가 속하는 제1수준은 진정한 의미의 도덕성
이 없다는 것과 단지 처벌과 복종에 의해 결정되며, 그 후 쾌락에 의해 결정된다. 3,4단계가 속하
제2수준은 전통적인 법과 질서에 동조하는 도덕성이 발달하며, 6,6단계가 속하는
제3수준은 스스로 마음 속에서 승인하는 도덕규율이 생겨 이에 따라 판단하고
행동하는 데, 약정된 의무와 공인된 법칙에 따르다가 개인의 양심을 쫓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1 단계
벌을 피하기 위해 권위와 규율에 복종하는 단계로 국민학교 저학년 이하의 어린이들이 주로 이
단계에 속한다. 이 때는 인생의 가치를 물질적 가치와 혼동한다. 위의 예에서 약을 만드는 값이
별로 비싸지 않기 때문에 훔친 행위를 정당화할 수도 있고, 또는 잡히면 벌을 받을 것이기 때문
에 나쁜 행위로 평가할 수도 있다.
(2) 제 2 단계
상과 칭찬을 받기 위해 동조하는 것으로서 인생의 가치를 자신이나 타인의 욕구충족에 두고 있
다. 예를 들면 어차피 죽을 환자가 고통을 피하기 위해 죽여달라고 할 때, 의사는 안락사를 시키
는 것이 환자의 고통을 덜어 주기 위해 좋다고 판단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래서 순진한 도구
적 쾌락주의단계라고도 한다.
(3) 제 3 단계
타인으로부터의 비난을 피하기 위하여 행동하며, 인생의 가치를 가족과 타인에 대한 애정과 연민
에 둔다. 위의 안락사의 예에 대한 반응은 남편이 환자(부인)를 무척 사랑하고 보고 싶어하며, 빨
리 죽기를 원치 않기 때문에 안락사시킬 수 없다는 식의 반응이다.
(4) 제 4 단계
권위자의 규칙에 따르며 행동결과로 생기는 죄를 피하기 위해 행동한다. 인생을 신성한 것으로
느끼며, 사회적 문화적인 법과 질서를 강조하며 의사는 환자를 안락사시킬 권리가 없으며, 어느
누구도 생명을 빼앗을 수 없다는 반응을 나타낸다.
(5) 제 5 단계
사회복지적인 면에서 공명정대한 제3자의 입장을 취하며, 인생을 사회복지와 보편적인 인간의 권
리와의 관계에서 평가한다. 예를 들어, "중대장은 부대를 구하기 위해 어떤 병사에게 사지로 가도
록 명령해야 하는가?"와 같은 물음에 대해 많은 생명을 구하기 위해서는 보낼 수 밖에 없다는 식
의 반응을 보인다. 즉 이 단계는 계약과 인권, 민주적 법칙의 도덕성을 가지고 사회복지에 동조하
는 단계이다.
(6) 제 6 단계
인생을 보편적인 인간의 가치를 갖는 신성한 것으로 믿으며, 자책감을 피하려는 개인적인 양심의
원리에 입각한 도덕성을 가진다. 위의 약을 훔친 예에서 사회적인 법으로 보면, 그가 나쁘지만 자
연이나 신의 법으로 보면 약을 주지 않은 사람이 나쁘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의 생명은 경제적인
것으로 말할 수 없는 것이며, 누가 죽든간에 사람이라면 그를 구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식의 반
응단계이다.
Kohlberg는 위와 같은 6단계를 설정했다가, 근래에 와서 제 7 단계를 추가하였
는데, 7단계는 우주적이고 영생적인 것을 지향하는 단계로서 도덕적인 문제는
도덕이나 삶 자체가 아니라 우주적 질서와의 통합이라고 보는 단계이다.
이상 Kohlberg의 이론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또 앞에서 언급하다시피 Kohlberg는 도덕발달단계가
Piaget의 인지발달단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그 예로 형식적 조작 사고를 할 수 있어
야만 제3수준의 도덕성 발달에 필요한 추상적 사고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각 발달단계이론을 연령별로 비교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참고문헌>
서봉연,발달심리학(1983),발달심리학,중앙적성출판부.
한국인간발달학회(1995),유아의 심리,중앙적성출판부.
Flavell,J.H.(1963), The develpmental psychology of Jean Piaget, Princeton, New
Jersey:D.Van Nostrand Company, Inc.
Furth,Hans.G.(1970), Piaget for teachers,Englewood Cliffs New
Fersey;PrenticeHall, Inc.
Kamii,C.K.,& Devries,R.(,1978.),Physical Knowledge in preschool
education:Implications Piaget's theory, New Jersey:Prentice-Hall
Inc.
Karz,L.G(Ed.)(1977.),Current top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ew
Jersey:Ablex Co.,
Kohlberg,L.,& Mayer,R.(1972),Develpment as the aim of education,Harvard
Educational Review,.
Lavatelli, C.S.(1980),Piaget's theory Applied to 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Boston:American Science and Engineering Inc.
추천자료
정신분석 이론 (Psychoanalytic theory)
아동기 정신건강에 관한 정리
[유아 놀이지도][유아 미술교육][유아 사회성발달][유아교육]유아 놀이지도와, 유아 미술교육...
발달이론
학습자의 발달
(놀이지도A형)놀이의 정신분석이론과 인지이론을 비교
프로이드 정리
교육심리(교육심리학)의 개념과 성격 및 발달이론, 교육심리(교육심리학)의 성격과 적용기제...
아동간호학-조별과제(수정)
빈곤아동의 개념, 특성, 문제점, 개선방안
기술가정과의 성격, 기술가정과의 대상, 기술가정과의 목표, 기술가정과의 이러닝, 기술가정...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성장과발달이론 PPT, 파워포인트자료
현대놀이이론 {정신분석학 : 놀이를 위한 정서적 동기, 인지 발달 이론, 각성 조절 이론,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