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인 초기 소설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강자에의 지향과 그 좌절

3. 좌절된 지향의 귀결점으로서 형식

4. 변모의 의미

5. 결론

☞참 고 문 헌

**한글97

본문내용

은자여」 등은 각성이나 자각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소설의 결말 부분에 나타나는 '강한 자', '참삶' 등이 그것인데, 문제는 이들이 소설의 전개와는 유리된 작가의 작위적 목소리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는 일차적으로 작중 인물의 미숙한 형상에 근거하며, 궁극적으로는 작가의 지향과 현실간의 괴리에 의한 것이다. 이들 소설에서 나타나는 김동인의 지향과 현실과의 괴리는 결국 지향 혹은 인식틀의 무력함과 연결된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변모 이후 소설의 성격을 검토해 보았다. 김동인 소설이 보인 변모는 초기작에서 나타난 괴리를 해결하는 과정이다. 김동인 소설은 변모를 계기로 현실을 소거하고 자신의 지향을 전면화시킨다. 「배따라기」, 「감자」 등의 소설에서는 액자형식, 일관된 플롯 등 형식적 정제성이 눈에 띈다. 하지만 실제 소설에 천착할 때, 형식적 정제성은 현실에서 벗어남을 대가로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현실이 빠진 소설에서 작가의 지향이 투사될 수 있는 곳은 형식에 한정됐고, 이를 통해 김동인 소설은 예술지상주의로 귀착된다. 또 양식적인 면에서 단편으로 한정되는 것도 이와 관련된다.
그리고 4장에서는 김동인 소설이 보인 변모의 의미에 관해 살펴보았다. 이는 변모의 귀결로서 예술지상주의 혹은 유미주의의 의미를 검토하는 것과 동 궤에 놓이는 작업이었다. 서구에서 예술지상주의는 근대적 문학의 형성을 전제로 했으며, 이는 작금에 통용되는 문학 개념이 형성되는 도정이었다. 한편 예술지상주의는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계몽적 이상의 붕괴 및 현실의 부정성 심화를 기반으로 하여, 예술이나 미를 속악한 현실의 반대의 상으로 설정한 것이다. 김동인에게 있어 근대적 의미의 소설을 확립하는 일이 예술지상주의로 귀착되었다는 것은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의 과정이 착종되었음을 의미한다. 사회적 관심이 현실의 소거를 대가로 한 형식으로 수축되었다는 데서 이 역시 당대의 사상적 흐름에서 거리가 멀지 않다. 나아가 이러한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산물이 흔히 본연적 의미의 근대소설로 파악된다는 데서, 김동인 소설의 전개는 우리 근대소설 나아가 근대문학의 형성 과정과 맞물려 있다.
☞참 고 문 헌
(1)국내 논저
구인환, 『근대작가의 삶과 문학』, 서울대출판부, 1994.
구중서 외, 『한국근대문학연구』, 태학사, 1997.
김성기 편, 『모더니티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4.
김영민, 『한국문학비평논쟁사』, 한길사, 1992.
김윤식·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김재용·이상경 외, 『한국근대민족문학사』, 한길사, 1993.
김흥규, 『문학과 역사적 인간』, 창작과비평사, 1983.
나병철, 『소설의 이해』, 문예출판사, 1998.
민족문학사연구소 편, 『민족문학과 근대성』, 문학과지성사, 1995.
백철, 『신문학사조사』, 수선사, 1948.
역사문제연구소편, 『한국의 근대와 근대성 비판』, 역사비평사, 1996.
윤병로, 『한국근·현대문학사』, 명문당, 1991.
이선영, 『한국문학의 사회학』, 태학사, 1993.
정호웅 외, 『장편소설로 보는 새로운 민족문학사』, 열음사, 1993.
조건상, 『소설쓰기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1998.
조동일, 『한국문학통사』5, 1988.
철학과현실 연구회, 『근대성과 한국문화의 정체성』, 철학과현실사, 1998.
최원식, 『한국근대소설사론』, 창작과비평사, 1986.
현길언, 『소설쓰기의 이론과 실제』, 한길사, 1994.
(2)국외 논저
今村仁司, 이수정 역, 『근대성의 구조』, 민음사, 1999.
柄谷行人, 『ヒュ- モアとしての唯物論』, 講談社, 1999.
, 박유하 역,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민음사, 1997.
中村光夫, 『明治文學史』, 筑摩書房, 1963.
Adoro, T. W., 홍승용 역, 『미학이론』, 문학과지성사, 1984.
Bakhtin, M. M., 전승희역,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작과 비평사, 1988.
Berman, M., 윤호병·이만식 역, 『현대성의 경험』, 현대미학사, 1994.
Foucault, M., 김부용 역, 『광기의 역사』, 인간사랑, 1991.
Jaus, H. R., 김경식역, 『미적 현대와 그 이후』, 문학동네, 1999.
Lukacs, G., 반성완역, 『소설의 이론』, 심설당, 1985.
A Study on the Kim Dong-In's early novels
Park Hyun So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icate the modernity of the Kim Dong-In's early novels in our view. Kim Dong-In's novels pursue the perfection of the formality that is discovered in rahmennovelle, symmetric plot etc. But the perfection of the formality is completed pay for escaping the reality of life. The short mode is a logical conclusion that related to this point.
And next, the meaning of the interest that is appeared by the Kim Dong-In's novels is examined. At first the interest is distinguished from that of general modern based on Western. And it has a certain community that is seperated from the society or the reality of life. It is wave of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that is proposed by the name of modern. Finally the intent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is to colonize our country under the name of modern without resist.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11.09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11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