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Start와 Head Start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빈곤아동 지원의 필요성

Ⅱ. 본론
1. WE Start 의 정의
2. We Start 의 추진배경
3. We Start 프로그램 내용
① 교육 출발선 만들기 사업
② 건강 지킴이 사업
③ We Start 마을
④ 희망의 집 꾸미기
⑤ 후견인 맺어주기
⑥ 사랑의 책 나누기 운동
⑦ 빈곤아동 5만명 무료과외
⑧ 파란리본 달기
4. We Start 운동 조직과 운영개요
5. Head Start 의 정의
6. Head Start 의 추진배경
7. Head Start 의 목적과 목표
8. Head Start 의 실시요인
9. Head Start 의 구성요소
10. Head Start 의 주요대상
11. Head Start 평가 연구결과
12. Head Start의 결과
13. Head Start의 효과
14. Head Start 의 운영과 재정

Ⅲ.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램이나 그들 자녀가 받는 영향에 대해 찬성하고 있다.
13. Head Start의 결과
① 진학률 증가이다.
Barnett에 따르면 Head Start 프로그램을 받은 아동은 받지 않은 아동에 비해 IQ나 학업성적 면에서 높았으며 문제아를 위한 특수학급에 배치되는 비율이 낮았고(37% vs. 50%), 유급되는 비율이 낮았다(15% vs. 20%). 고등학교를 졸업하는 비율에 있어서도 Head Start 프로그램을 받는 아동은 67%인데 반해 받지 않는 아동은 49%였다.
② 범죄율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Yoshikawa에 따르면 범죄율에 있어서도 프로그램아동은 범죄를 저지르는 비율이 낮았고, 범죄를 저지르더라도 덜 심각한 범죄를 저지르고, 중 범죄자가 되는 비율이 낮았다. 프로그램 아동은 일생동안 평균 2.3회 검거되는데 반해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아동은 4.6회 검거된다. 5회 이상의 범죄를 저지른 중 범죄자의 비율도 프로그램 아동은 7%인데 반해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아동은 35%다.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을 하는데 드는 비용은 한 가족 당 1만2356 달러지만, 교도소건설, 재판비용 등과 같은 사법관련 비용, 범죄 피해비용 등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빈곤아동이 사회의 건전한 노동력으로 자라나서 내는 세금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 프로그램을 통해 얻는 이득은 10만8002 달러로 나타났다. 9배 이상의 효과를 거둔다는 이야기다.
14. Head Star의 효과
결국 헤드 스타트의 효과는 즉각적이고 단기적인 효과는 있으나, 아동의 지적정적 발달을 위한 지속적인 효과는 보이지 않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지글러(Zigler, 1973)는 헤드스타트 프로그램의 공헌을 높이 평가하고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밝히고 있다.
① 개입(intervention)의 노력은 부모 활동과 부모 교육을 통해 프로그램의 성공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1960년대 후반 동안 점점 더 명확하게 되었다.
② 헤드 스타트가 다양한 사회적 배경의 아동들을 위한 가장 적당한 학습자료를 고안하는 방법의 혁신에 박차를 가했다
③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문제가 있는 아동들, 무시되고 버림받는 아동들의 조기 진단을 가능케 했다는 것이다.
④ 전문적인 직원뿐 아니라, 부모와 같은 비전문인에게도 새로운 진로를 창출했다.
⑤ 저소득층과 소수 민족 중 9,000명 이상이 헤드 스타트의 결과로 대학 수준 정도의 훈련을 받았다.
⑥ 저소득층에 대한 지역사회 기관들의 인식들이 직접적으로 바뀌었다.
이상의 결과들이 암시하고 있는 것은 유아교육을 유아의 단기적으로 보는 것 보다 좀더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관점에서 유아교육이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5. Head Start의 운영과 재정
운영 - 대부분의 헤드 스타트 센터들은 경제기회법에 의해 만들어진 지방의 CAP에 의해 운영되었다. 재정적인 면을 보면 1970년의 경우 연방정부의 지원이 80%, 지방정부의 지원이 20%에 달했다. 후에는 아동발달사무소에서 제공되었다. 헤드스타트 프로그램이 처음에는 공립학교에서 만들어진 하기 프로그램으로 대부분 6주 내지 8주 동안 실시되었으나, 짧은 기간의 프로그램으로는 빈곤아동과 그 가족에게 기대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없다는 것이 판명되어 존슨 대통령은 1년 단위의 프로그램으로 실시할 것을 발표하였다 1979년 이후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1년 단위의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다.
재정 - 연방정부의 프로그램으로 운영에 필요한 모든 비용은 연방정부의 국고에서 지원되고 1980년대 이후 참여아동의 수가 증대되면서 이에 따른 예산이 증대 되고 있으며 지역별 및 가족 별로 종일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여 주정부에서 지원하고 있다. 정부지원은 93년 27억 달러였던 예산이 2003년 66억 달러로 증가한 셈이다.
Ⅲ. 결 론
이렇게 우리는 We Start와 Head Start의 배경과 목적, 프로그램, 결과 및 효과, 특징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처음 이 과제를 시작할 때는, 자주 접하지 못했던 We Start나 Head Start와 같은 용어들이 낯설게만 느껴졌는데 신문기사나 여러 가지 자료를 찾아보고, 공부함으로써 스타트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던 것 같다. 무엇보다 We Start 프로그램은 중앙일보에서 “가난에 갇힌 아이들 ”이라는 주제로 많이 연재 되어 왔고 PD수첩 같은 방송에서도 방영했었는데 특수교육을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아무런 자료도 접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것이 부끄럽게 느껴졌다. 또한 Head Start 프로그램은 저소득 가정의 유아를 위해 미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 무료 혹은 저렴한 교육비로 조기 유아교육을 제공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유아를 위한 제도적인 측면도 부족하고 무엇보다 이들을 위한 교육에 쏟는 관심이 적지 않나 생각되어 마음이 아팠다. 앞으로 선생님이 될 사람으로서 모든 아이들이 균등하게 교육을 받고 사회적의 부정적인 면을 먼저 보기보다는 순수한 그 모습 그대로 자랄 수 있도록 버팀목이 되어주는 것이 선생님이 해야 할 일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미래에 아이들을 가르칠 내가 먼저 바른 생각과 바른 마음으로 교육의 중심에 서야 할 것이며 빨리 저소득층의 아동들도 다른 아이들처럼 균등하게 교육받을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 참고문헌
We Start “가난 대물림을 끊어주자” - http://westart.joins.com/sub/sub_global_01.html
유아교육과정, 이기숙(1988),/ 학지사, 서울
유아교육과정 - 이기현 저/ 정민사 출판/ 2003
전쟁과 빈곤의 유산, 두 번째 저서 - page 137; Zigler, Edward & Valentine, Jeanette;1997
중앙일보 - http://www.joonganghi.com/
세계일보 - http://www.segye.com/
미국 교육 사상사 - Clarence J. ka rier 저/ 교학연구사 출판/ 1990
미국 교육 개혁 옳은 길로 가고 있나 - 마이클W.애플 저/ 서울 출판/ 2003
헤드 스타트(1998) 김미경 지음 교육아카데미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8.03.04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32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