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민특위에 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해 놓지 않은 상태에 있었다. 따라서, 경찰 또는 여타 기구의 운영에 있어서 부일 협력자들의 경험을 손쉽게 이용하려는 정책을 폈다. 이에 대한 일반의 거센 반발에 대해서 미국은 부일 협력자들이 실무를 담당하고 명목상으로 미군이 고문을 취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미봉책에 불과했다. 미국으로서는 그 후로도 자신들의 그러한 기본 정책을 바꾸려는 의도가 없었다. 앞서 밝힌대로, 이미 제헌 정부가 들어서기 전인 과도정부 입법의원에서 반민처단법을 제정 공포하였으나, 그 당시 미국은 이에 대해 난색을 표명하고 조례인준을 거부한 바 있었다..
8.15 해방은 식민지 통치에서 벗어났다는 사실보다도 자주적인 독립국가를 건설하게 되었다는 데 더 큰 의의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해방을 맞이한 한국 민족의 가장 큰 과제는 하루 빨리 민주적인 통일정부를 수립하는 것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50여년이 지난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민족은 남과 북으로 갈라져 있다. 이에 대한 요인은 여러 가지로 지적될 수 있겠으나, 8.15 직후에 일제잔재세력을 제대로 씻어내지 못했다는 점을 빼놓을 수 없다. 그러한 관점에서 반민특위의 해산이 한국 현대사에서 가지는 비중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11.10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14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