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말과 종교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Das Jenseits im Glauben der Volker, Leipzig 1929.
Hans Wismann
종교현상학에서 다루어지는 종말(론)의 범주와 항목
1. 종말론적 표현의 동기(출발점)
1) 종교현상학은 죽음의 경험에서부터 종말론을 이끌어 온다(종말개념에서 죽음은 상수이다).
--> 모든 종교현상에는 종말개념이 내포되어있다.
2) 그러나 종말론은 제 종교현상에서 조금씩 다르게 나타난다
--> 그렇다면 각각의 상이한 종말론적 표현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2. 종말(사건)에 대한 종교현상학적 개념
1) 심판(행위)이다.
2) 자연법칙이다.
3) 사건 혹은 사건에 대한 진술이다.
4) 현상 내지는 표상이다.
3. 종말(론)의 구분
1) 개인적 종말(Individualeschatologie): 사후 인격의 존재 유무가 논의됨.
- 인격은 불멸되는가? --> 종말론적 윤리가 파생됨
- 인격이 소멸되는가? --> 불교의 환생설(그러나 환생한 존재는 영혼이나, 인격적 실재는 아님)
2) 세계(우주)적 종말(Universaleschatologie): 종말시점과 표상범위가 논의됨
- 세계(우주)파국이후 다른 세계는 없다.
- 세계(우주)파국이후 다른 세계가 존재한다.
--> 그러므로 종말은 다른 세계, 곧 피안으로 들어가는 문이다
--> 우주의 영원한 순환사상(세계파국과 세계복구)
4. 종말론과 조직신학적 항목과의 연관관계
1) 종말론과 기독론
- 조로아스터교(짜라투스트라)나 힌두교(비쉬누)에도 구원을 가져오는 자(메시아) 사상이 종 말론적 진술과 결합되어 있다.
2) 종말론과 윤리
3) 종말론과 창조론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11.13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18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