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사회의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독립은 부차적인 목적으로 보았다. 그리고 브르부아적 민족해방을 인정하지 않고, 노동자 중심의 사회주의 혁명을 바로 실행하자는 입장에 있었다.
이러한 두파의 차이는 훗날 자유시에서 두파간의 군사적충돌로 이어져 이르쿠츠크파가 승리함으로써 한국의 공산주의가 볼셰비키화 되게 된다.
그러나 이런한 해외에서의 한국공산주의는 소련의 레닌정부가 해외 공산주의 조직을 인정하지 않는 1국 1당 주의를 주장함으로써 더 이상 존재할 수 가 없었다. 이것은 이전에는 전쟁 때문에 극동지방까지 신경을 쓸 수가 없었기에 공산주의 동맹파들이 필요했으나 전쟁에서의 승리로 전시베리아를 장악함으로써 동맹파가 필요없어졌기 때문이다. 또한 시베리아에 공산당이 있으면 서방연합군에 침략의 구실을 주게 되므로 동맹자관계에서 인적자원을 활용하는 차원으로 한국 해외공산주의파들의 위상이 바뀌게 된다. 이러한 인적자원관리를 위하여 코민테론의 극동비서국내에 코르부루라는 비서국이 설치하여 비서국내의 김재용이 국내에 파견됨으로써 신사상연구회 조직창설과 해외군소 공산당들을 통합해체 하는 과정에서 한국공산당의 한반도 진입의 원인이 된다.
국내공산주의 운동
국내공산주의 운동은 1차에서 4차까지 공산당의 해체와 수립을 반복하였다.
1차 조선공산당(1925년)은 이르쿠츠크파 계열의 화요회가 중심을 이루어 그 책임비서에 박헌영이 선임되었다. 2차(1926)에서도 화요회의 주도로 조선공산당이 결성되었으나 실패하였다. 이때 처음으로 공산당만주총회에서 김일성이 참가를 시작하였다. 제 3차와 4차는 화요회의 세력약화로 서울파와 상해파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성공하지못한다.
이처럼 한반도내에서 공산주의가 뿌리를 내릴수 없었던 이유는 극우인 일제의 탄압도 있었으나. 당시 우리나라의 주거의 군집성과 사회적으로 공산주의의 주도세력인 노동자계층이 양적질절으로 빈약하였으며, 조선 공산당 내부의 종파주의 때문에 즉 서로간의 이해관계로 통합적인 당을 이룰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북한인민정권 수립
김일성이 중심이 된 빨치산파는 국내공산주의파중에도 소수파였으나 이전 김일성의 만주일대에서의 항일투쟁활동 때문에 소련의 신임을 얻음으로써 빨치산파가 해방당시 군세력을 장악함으로써 주도적 세력이 되게 된다. 그리고 소련에서는 당시 김일성외에는 국내공산세력에 대해 아는 바가 없었고, 훗날 국내에서의 영양력 확보를 위하여 김일성을 최일선에 내세우게 된다.
북쪽의 정권을 장악한 김일성은 평양에 당중앙회설립을 추진하였으나 조선공산당이 서울에 있었으므로 1국1당체제의 이유로 반대되어 독립해 북조선 공산당을 수립하게 된다. 이것은 서울의 공산세력의 약화와 국내공산주의의 중심과 위상이 박헌영에서 김일성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된다. 김일성은 반제국반봉건 개혁을 실시하여 토지개혁, 남녀평등, 노동법, 산업의 국유화를 통하여 북한내 주민들의 신임을 얻고 일제잔재청산에도 성공하게 된다. 그러는 와중에 남한은 신탁통치를 반대하고 북한의 찬성하는 남북간의 차이와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로 남한이 먼저 정부를 수립하게 되자 북한도 보름후에 단독 정부를 수립하게 된다.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1.14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18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