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우리언어생활의 문제점
2. 국어순화의 대상과 방향
3. 국어 순화의 방법
결론
1. 우리언어생활의 문제점
2. 국어순화의 대상과 방향
3. 국어 순화의 방법
결론
본문내용
념이나 사물이 생겼을 때에는 뜻과 소리를 온통 새로운 낱말을 지어야 하는데, 마음만 먹으면 이런 경우는 이미 있는 소리를 빼고 새 소리를 집어넣는 것보다는 훨씬 쉬운 일이다. 가까운 예를 든다면, 새로 태어난 아이의 이름을 짓는다거나 새로운 상호를 짓는 것은 모두 이러한 경우에 든다. 다음에 그러한 보기를 들어 본다.
(1)섞어찌게, 모듬회, 모듬전, 뜯어국, 맛살, 섞어반죽, 얼큰국수, 따로국밥, 먹거리, 마음먹이, 예쁜아씨뽑기, 말씀잔치, 새잡이, 소꿉방, 손끝치레, 노래비, 몽당털이, 꿈나무, 쉼터, 갈아타느곳, 못골 큰잔치, 상치다, 험궂다, 어두부레하다, 하야스름하다, 사랑겹다, 초랗다, 참스럽다, 으뜸상-버금상-딸림상, 아람단-누리단-한별단-보람단
위는 최근에 와서 꽤 널리 쓰이기 시작하거나 곧 널리 쓰임직한 말들이다. 사람살이에는 새로운 사물이나 개념이 끊임없이 생겨나는데, 이 새로운 뜻을 담을 새 소리는 되도록 우리 말을 살려 쓰도록 힘써야 하겠다.
(2)탐스핀(화장품), 비치예라(화장품), 벗들일랑(술집), 아름나라(옷가게), 새로나(백화점), 잠잠(세탁기), 샛별(국민학교), 한얼(중학교), 짤순이(빨래기구)
위는 지금 실제 쓰이고 있는 상호나 학교 이름 가운데서 우리말의 소리와 뜻을 잘 살려 지은 이름들을 몇 개 뽑아 본 것이다. 이 밖에도 근래에 와서는 사람 이름 중에도 토박이말 이름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 이런 사실들을 통하여 우리는 우리말의 앞날이 어둡지만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Ⅲ. 결언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국어를 순화하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가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외국의 영어 순화 운동과 같이 우리도 국가적으로 국어 순화 운동을 해야 할 것이다.그러면 앞으로 우리 국어 순화 운동을 어떻게 전개해 나가야 할 것인지 알아 보자.
먼저 국어 순화는 언어 정책으로서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국어의 통일을 꾀하고 이를 교육에서 적극 보급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국어 사용에 대한 의식을 개혁하도록 해야 한다. 넷째, 신문 방송 등 대중 매체가 국어 순화에 앞장서고 솔선수범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어 연구소로 하여금 국어 순화의 적극적인 사업을 하도록 하여 국어 순화를 좀 더 확실하고 체계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박갑수, <우리말 사랑 이야기>, 한샘 출판사, 1994, 209쪽
우리 나라의 언어 문제는 지금 심각한 상황에 까지 이르렀다. 오늘날 남북 통일의 문제가 논의되고 있는 지금 언어 문제는 어느 것보다 기본적이고 절실한 문제인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국어 순화의 현실을 점검해 보고 거기에 필요한 이론도 반듯하게 세워 나가야 한다. 국어에 대한 범민족적 차원에서의 의식 개혁이 필요하며, 겨레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가져야 할 때가 바로 지금인다.
<참고 문헌>
1. KBS아나운서실 한국어 연구회 편, <바른 말 고운말>, 대교출판, 1998.
2. 박갑수, <우리말 사랑 이야기>, 한샘 출판사, 1994.
3. <우리 말글의 현실과 이상>, 어문각, 1999
(1)섞어찌게, 모듬회, 모듬전, 뜯어국, 맛살, 섞어반죽, 얼큰국수, 따로국밥, 먹거리, 마음먹이, 예쁜아씨뽑기, 말씀잔치, 새잡이, 소꿉방, 손끝치레, 노래비, 몽당털이, 꿈나무, 쉼터, 갈아타느곳, 못골 큰잔치, 상치다, 험궂다, 어두부레하다, 하야스름하다, 사랑겹다, 초랗다, 참스럽다, 으뜸상-버금상-딸림상, 아람단-누리단-한별단-보람단
위는 최근에 와서 꽤 널리 쓰이기 시작하거나 곧 널리 쓰임직한 말들이다. 사람살이에는 새로운 사물이나 개념이 끊임없이 생겨나는데, 이 새로운 뜻을 담을 새 소리는 되도록 우리 말을 살려 쓰도록 힘써야 하겠다.
(2)탐스핀(화장품), 비치예라(화장품), 벗들일랑(술집), 아름나라(옷가게), 새로나(백화점), 잠잠(세탁기), 샛별(국민학교), 한얼(중학교), 짤순이(빨래기구)
위는 지금 실제 쓰이고 있는 상호나 학교 이름 가운데서 우리말의 소리와 뜻을 잘 살려 지은 이름들을 몇 개 뽑아 본 것이다. 이 밖에도 근래에 와서는 사람 이름 중에도 토박이말 이름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 이런 사실들을 통하여 우리는 우리말의 앞날이 어둡지만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Ⅲ. 결언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국어를 순화하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가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외국의 영어 순화 운동과 같이 우리도 국가적으로 국어 순화 운동을 해야 할 것이다.그러면 앞으로 우리 국어 순화 운동을 어떻게 전개해 나가야 할 것인지 알아 보자.
먼저 국어 순화는 언어 정책으로서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국어의 통일을 꾀하고 이를 교육에서 적극 보급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국어 사용에 대한 의식을 개혁하도록 해야 한다. 넷째, 신문 방송 등 대중 매체가 국어 순화에 앞장서고 솔선수범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어 연구소로 하여금 국어 순화의 적극적인 사업을 하도록 하여 국어 순화를 좀 더 확실하고 체계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박갑수, <우리말 사랑 이야기>, 한샘 출판사, 1994, 209쪽
우리 나라의 언어 문제는 지금 심각한 상황에 까지 이르렀다. 오늘날 남북 통일의 문제가 논의되고 있는 지금 언어 문제는 어느 것보다 기본적이고 절실한 문제인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국어 순화의 현실을 점검해 보고 거기에 필요한 이론도 반듯하게 세워 나가야 한다. 국어에 대한 범민족적 차원에서의 의식 개혁이 필요하며, 겨레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가져야 할 때가 바로 지금인다.
<참고 문헌>
1. KBS아나운서실 한국어 연구회 편, <바른 말 고운말>, 대교출판, 1998.
2. 박갑수, <우리말 사랑 이야기>, 한샘 출판사, 1994.
3. <우리 말글의 현실과 이상>, 어문각, 1999
추천자료
[생활 속의 언어, A+ 레포트] 한ㆍ미 FTA 반대하는 해괴한 논리들
통신 언어가 생활에 미치는 영향(인터넷 언어)
조선 사람들의 생로병사를 통해 드러난 국어 생활 문화 탐구
생활 언어 속의 잘못된 문법 찾기
국어과(교육) 학습동기유발자료, 영어과(교육) 학습동기유발자료, 수학과(교육) 학습동기유발...
학교생활지도의 의의와 비행이론, 학교생활지도의 기본방향과 영역별 내용, 학교생활지도의 ...
일상생활 속 언어를 중심으로 외래어 사용의 실태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성과 언어,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문화와 예...
한국의 생활문화와 언어문화
일상생활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언어사용의 예와 그에 따른 영향에 대해 토론해 보시오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지도안] 1-2-넷째 마당. 바르게 전해요(521) (흉내내는 말을 활용한 창...
(A+ 레포트,시험대비) [유아교육개론] 유치원 교육과정의 영역- 표현, 언어, 탐구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