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의 자료 및 특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표기법상의 특징

2. 형태적 특징

3. 통사적 특징

본문내용

통사적 합성어이다. 어간이 서로 합성하여 합성동사가 된 것이다.
(8)가. 바링, 하, 까
나.마초, 모도, 까초
(8)은 용언의 어간 또는 어근 그대로 부사가 된 예이다. 가는 형용사가, 나는 동사가 각각 부사가 된 것이다.
3. 중세 국어의 통사적 특징
중세 국어의 문장 구조도 현대국어와 크게 다른 점을 발견하기가 어렵다. 우선 타동사문을 대상으로 할 때 '주어+목적어+동사'의 구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관형어는 항상 체언 앞에 놓이고 부사어는 원칙적으로 서술어 앞에 자리잡는다. 그러나 문장구성에서부터 문법요소에 이르기까지 자세히 살펴보면 형태 구조 이상으로 다른 점이 발견된다.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협주문에서 주어로 쓰인 명사가 뒤에 다시 반복되어 나타난다. 다음으로 관형절과 명사절의 주어가 관형격 조사 '잎/의'를 취한다. 또 자동사구문임에도 불구하고 동사의 활용형에 타동사 표지'어'가 나타나있고 주어 명사가 높임의 대상이 아닌데도 선어말어미가 사용되는 한편 객체 높임 선어말어미 '-싶-'(짜)이 동사의 활용형에 나타나고 활용형에 선어말어미 '-오-'가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관형사형 '-ㄴ, -ㄹ'가 명사적으로 쓰인다.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11.20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25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