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분 전해질 평형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수분 전해질 평형 자룝니다

-몸의 총 수분량과 체내분포

-성인에 비해 소아, 특히 신생아 및 영아에서 수분대사

-소아의 1일 수분, Na, K 유지량

-체내의 산-염기 완충계를 열거

-영아의 전해질의 성분구조 등등

본문내용

독):예, 짧은 시간내에 다량의 수분 섭취
증상: 세포부종
(2) 용량 불균형(Volume Imbalance):
의미:수분이동에서 용매인 물과 용질인 나트륨이 동등한 비율로 움직이면서
등장액 불균형을 만듦(삼투성 불균형은 용질과 용매가 불균형하게 이동.
세포내액의 수분함량은 변하지 않고 수분부족은 세포외 구간에 제한된다,
수분은 세포외 구간에서 체외로 이동하면서 혈관과 간질강내의 용량을 변화시킴.
(가) 세포외액 용량감소/저혈량
다량의 출혈, 발한, 설사, 구토, 회장루, 결장루, 장관루 배액시 수분과 전해질의 손실
증상: 저혈압, 뇨량 감소, 등
(나) 세포외액 용량과다/고혈량
생리적 식염수의 과다주입 등으로 세포외액 구간에 과다혈량과 부종
(부종은 간질강내에 수분이 축적된 것임).
6) 전해질 불균형의 증상(교과서 참고
(1) 저 나트륨증(hyponatremia) : 혼미, 오심, 구토, 복부경련, 항진된 장음.
강한 빈맥, 이완기압의 감소,체위성 저혈압, 기칠은 폐음, 두통 불안.
(2) 고나트륨혈증(Hypernatremia): 식욕부진, 오심 구토,갈증,혼돈, 과반사 반응.
불규칙한 맥박, 저혈압.혹은 고혈압,, 농축된 핍뇨
(3) 저칼륨혈증(hypokalemia): 혈청내 칼륨치가 3mEq/l보다 낮음
**칼륨: 생존에 절대 필요, 체내에 저장될 수 없음, 매일 섭취 필요
세포내에 98% 존재하며 2%는 근육신경계의 기능을 도움.
기능: 세포내 삼투질 농도의 조절, 세포성장을 촉진, 심근기능을 촉진,
산-염기 균형을 도움. 신경근육의 기능을 도움.
배설: 원위세뇨관을 통하여 소변(80%)으로, 장관 한선을 통해 20% 배설됨.
**나트륨-칼륨 펌프: 세포내의 칼륨은 보전하면서 나트륨을 능동적으로 (ATP사용) 세포외로 배출시키는 기전이다.
원인- 칼륨섭취 부족: 영양불량, 알콜 중독)
칼륨의 과다이용: 화상, 인슈린 과다증, 당뇨성 산증의 회복기
칼륨 손실 : 구토, 설사, 회장루, 대장루, 인슈린과 포도당의 비경구적 주입,
이뇨제, 스테로이드 사용시, 당뇨병, 간경화, 울혈성 심부전증,
알도스테론 과잉증, 신질환, 산증. 등
증상; 신경근육계 - 전신 허약감, 심부건 반사 감소,/소실, 하지근육의 허약, 근긴장저하(atony).
심맥관계 - 약한 맥박, 저혈압, 약한 심음, 심전도상에서 ST 분절의 하강, 방실전도 장애, T파가 거꾸로 나타남.
위장관계 - 구토, 장운동 감소, 장근육 마비(ileus)
호흡기 변화- 호흡이 짧고 약함.
치료 : 즉시 칼륨이 투여되지 않으면 사망할 수 있다!!
구강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나, 정맥투입시에는 심장모니터를
연결하여 심장상태의 변화를 세밀히 관찰하여야 함.
(이유: 고칼륨혈증과 심정지를 예방하기 위함).
칼륨은 혈관을 자극하므로 보통 1000씨씨의 용액에 20-40mEq로 희석하여 주입해야 함. 이뇨제에 의한 칼륨부족시에는 칼륨보충제나 칼륨보유 이뇨제를 사용.
(4) 고칼륨혈증(hyperkalemia): 혈청내 칼륨치가 5.5mEq/l보다 높음.
원인 : 칼륨축적- 부신피질 장애. 신부전.
세포내에서 칼륨 분리- 화상, 심한 손상
칼륨 과다 투여- 칼륨이 포함된 용액의 과다 주입
증상: 근골격계- 허약함, 지각 이상, 경련, 동통
위장관 - 오심, 간헐적인 위장관 산통(colic), 설사
심장계- 심전도상 T파 상승, P파가 작아지거나 보이지 않고, QRS파가 넓어짐.
치료; 구강으로 금식(NPO)하며,
Regular insulin과 함께 10% 포도당을 주입함-왜냐하면,
칼륨을 혈청에서 세포내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환자가 산독증일 때 산독증을 교정하면 칼륨이 세포내로 이동됨.
Kayexalate를 투입하여 칼륨을 대변으로 배출시킴.
침상안정 - 발륨수치가 정상이 될 때 까지,
식이- 고칼륨식이 제한, 염분대용식품에 칼륨사용이 흔하므로 주의.
(5) 저칼슘혈증 (hypoclacemia)
원인: 부적절한 섭취, 과다 칼슘 소실, 비타민 D 결핍, 급성 설사, 급성 췌장염,
부갑상선 기능 저하, 신질환, 임신, 수유, 칼시토닌 과다분비 등.
증상: 칼슘치가 감소되면 나트륨의 세포막 투과가 용이하여 ->쉽게 탈분극됨 ->
신경계의 흥분성 증가 -> 근경련, 얼얼한 느낌(tingling sensatiion), 심하면,
경련(muscle spasm)과 테타니(tetany)가 나타남.
주의* 정맥주입시 조직으로 새어나오면 그 조직은 궤사 가능.
칼슘결핍증을 파악할 수 있는 검사: Trousseau's sign, Chvosteck's sign
* Trousseau's sign - 팔의 상부에 혈압기를 감거나 손목을 꽉 잡고 수분간 혈액 순환을 억제시키면 손바닥이 굴곡됨(palmar flexion)
* Chvostek's sign - 관자놀이 밑 안면신경 부위를 가볍게 쳤을 때 안면근육경련
치료: 칼슘 투여, 비타민 D, 운동, 부신피질 홀몬, 에스트로젠, progesteron
(6) 고칼슘혈증(hypercalcemia)
원인 : 칼슘 과다 섭취, 칼슘흡수의 증가, 칼슘배설 장애, 칼시토닌의 생성 저하,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부갑상선 종양 등
증상 : 신경근육계 : 근 긴장도 감소, 신경근육의 흡분도 감소, 느린 반사반응, , 전신근육의 허약, 피로감, 뼈의 통증, 골절
위장계 : 변비, 식욕부진, 오심, 구토
신경계 : 기역력 감소., 주의집중 감소, 정신증(psychosis)
심장계 : 심전도상 ST분절과 QT 분절이 짧아지고, 파장이 넓고 둥근모양이다.
중재 :
생리 식염수 정맥주입과 이뇨제 사용: 칼슘배설이 나트륨배출에 의해 증진됨.
인(phosphate)투여 : 구강 혹은 정맥선으로,
신장에서 칼슘신석의 생성을 예방하기 위하여 산성과일쥬스(acid-ash fruit juice),
자두(쥬스), 비타민 C 제공.
* Paget's 병: 뼈의 파괴가 뼈 생성보다 빨라서 혈청내 칼슘치가 매우 상승됨.
(8) 저마그네슘(hypomagnesium)- 저칼슘시 저마그네슘 됨. 증상 유사
(9) 고마그네슘(hypermagnesemia) : 고 칼슘 증상과 유사
  • 가격3,3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2.11.21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27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