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1) 역사가와 사실
(2) 사회와 개인
(3) 역사와 과학과 도덕
(4) 역사에서의 인과관계
(5) 진보로서의 역사
(6) 역사란 무엇인가 ?
3. 결 론
2. 본 론
(1) 역사가와 사실
(2) 사회와 개인
(3) 역사와 과학과 도덕
(4) 역사에서의 인과관계
(5) 진보로서의 역사
(6) 역사란 무엇인가 ?
3. 결 론
본문내용
이 생긴다.
역사상의 위인들이 수행했던 역할은 그들을 추종한 대중의 힘에 의거한 것으로서 하나의 사회현상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이지 그렇지 않다면 전혀 중요하지 않다고 하는 카의 견해는 이해가 가지만 이것만으로 그들의 행위가 갖는 의미가 완전하게 설명될 수 있을까? 똑같은 상황과 환경에 처해 있으면서도 왜 특정 개인 또는 개인들만이 카가 말하는 '세계의 양상과 인간의 사상을 변화시키는 사회적 힘의 창조자'가 될 수 있는 이처럼 뛰어난 개인의 행위가 과연 그의 개인적인 또는 개성적인 사상이나 동기와는 전연 관련 없는 것일까?
역사에서의 개인 개인의 힘으로서 또 하나의 사회현상으로서 좀더 연구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
역사는 사회와 떨어질 수 없고 그래서 생명력이 있는 것이다.또 역사는 부정할 수 없는 과학이며 역사에서 우연은 없다.끈끈한 인과관계로 역사는 존재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사회가 진보하였듯 역사또한 진보하였고 이 땅이 넓어진 만큼 역사는 자꾸 변하고 발전한다.
역사란 과거와 미래와의 대화이며, 미래를 위해 과거와 현재의 인과관계를 찾는 과학이며,사회가 발전하는 만큼 역사 또한 발전한다.
카의 역사는 진보하는 과학이다.
즉 역사를 진보의 과정, 끊임없이 변화하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흐름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는 역사의 의미를 역사 밖에서 찾는 신비주의나 아예 그것을 부인하는 냉소주의를 모두 배격한다.
이쯤에서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명제에 대해 최종적으로 결론을 내려야 할 것 같다.
지금까지 역사와 역사가, 역사가와 사실 ,역사에 있어서의 사회와 개인 ,역사와 과학과 도덕,인과관계 등 여러가지를 생각해 보았다.
역사에 대해 E.H 카 뿐만 아니라 여러사람이 정의를 내렸다.
역사란 어떠한 사건을 사실 그대로 역사가의 관점을 통해 서술한 것이다.
중요한 역사로 추가 기록된 것이다.
"지난날의 인간사회에서 일어난 수많은 사실들 중에서 누군가에 의해 기록해 둘 만한 중요한 일이라고 인정되어 기록된 것이 역사다"라고 생각해보면, 여기에 몇 가지 되씹어봐야 할 문제가 있다. 첫째는 기록해둘 만한 중요한 사실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하는 문제이고, 둘째는 과거에 일어난 일들 중에서 기록해둘 만한 중요한 사실을 가려내는 사람의 생각과 처지의 문제이다.
먼저, 무엇이 기록해둘 만한 중요한 문제인가, 기록해둘 만하다는 기준이 무엇인가 하고 생각해보면, 아주 쉽게 말해서 후세 사람들에게 어떤 참고가 될 만한 일이라고 일단 말할 수 있겠다. 다시 말하면 오늘날의 역사책에 남아 있는 사실들은 모두 우리가 살아나가는 데 참고가 될 만한 일들이라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참고가 될 만한 일과 될 만하지 않은 일을 가려내는 일은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또 시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고려시대나 조선시대 사람들에게는 일식과 월식이 정치를 잘못한 왕이나 관리들에 대한 하늘의 노여움의 표시라 생각되었기 때문에 역사에 기록되었지만, 오늘날에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에 역사에는 기록되지 않는다.
역사상의 위인들이 수행했던 역할은 그들을 추종한 대중의 힘에 의거한 것으로서 하나의 사회현상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이지 그렇지 않다면 전혀 중요하지 않다고 하는 카의 견해는 이해가 가지만 이것만으로 그들의 행위가 갖는 의미가 완전하게 설명될 수 있을까? 똑같은 상황과 환경에 처해 있으면서도 왜 특정 개인 또는 개인들만이 카가 말하는 '세계의 양상과 인간의 사상을 변화시키는 사회적 힘의 창조자'가 될 수 있는 이처럼 뛰어난 개인의 행위가 과연 그의 개인적인 또는 개성적인 사상이나 동기와는 전연 관련 없는 것일까?
역사에서의 개인 개인의 힘으로서 또 하나의 사회현상으로서 좀더 연구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
역사는 사회와 떨어질 수 없고 그래서 생명력이 있는 것이다.또 역사는 부정할 수 없는 과학이며 역사에서 우연은 없다.끈끈한 인과관계로 역사는 존재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사회가 진보하였듯 역사또한 진보하였고 이 땅이 넓어진 만큼 역사는 자꾸 변하고 발전한다.
역사란 과거와 미래와의 대화이며, 미래를 위해 과거와 현재의 인과관계를 찾는 과학이며,사회가 발전하는 만큼 역사 또한 발전한다.
카의 역사는 진보하는 과학이다.
즉 역사를 진보의 과정, 끊임없이 변화하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흐름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는 역사의 의미를 역사 밖에서 찾는 신비주의나 아예 그것을 부인하는 냉소주의를 모두 배격한다.
이쯤에서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명제에 대해 최종적으로 결론을 내려야 할 것 같다.
지금까지 역사와 역사가, 역사가와 사실 ,역사에 있어서의 사회와 개인 ,역사와 과학과 도덕,인과관계 등 여러가지를 생각해 보았다.
역사에 대해 E.H 카 뿐만 아니라 여러사람이 정의를 내렸다.
역사란 어떠한 사건을 사실 그대로 역사가의 관점을 통해 서술한 것이다.
중요한 역사로 추가 기록된 것이다.
"지난날의 인간사회에서 일어난 수많은 사실들 중에서 누군가에 의해 기록해 둘 만한 중요한 일이라고 인정되어 기록된 것이 역사다"라고 생각해보면, 여기에 몇 가지 되씹어봐야 할 문제가 있다. 첫째는 기록해둘 만한 중요한 사실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하는 문제이고, 둘째는 과거에 일어난 일들 중에서 기록해둘 만한 중요한 사실을 가려내는 사람의 생각과 처지의 문제이다.
먼저, 무엇이 기록해둘 만한 중요한 문제인가, 기록해둘 만하다는 기준이 무엇인가 하고 생각해보면, 아주 쉽게 말해서 후세 사람들에게 어떤 참고가 될 만한 일이라고 일단 말할 수 있겠다. 다시 말하면 오늘날의 역사책에 남아 있는 사실들은 모두 우리가 살아나가는 데 참고가 될 만한 일들이라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참고가 될 만한 일과 될 만하지 않은 일을 가려내는 일은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또 시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고려시대나 조선시대 사람들에게는 일식과 월식이 정치를 잘못한 왕이나 관리들에 대한 하늘의 노여움의 표시라 생각되었기 때문에 역사에 기록되었지만, 오늘날에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에 역사에는 기록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