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건
2.곤
3.습감
4.이
5.진
6.간
7.손
8.태
2.곤
3.습감
4.이
5.진
6.간
7.손
8.태
본문내용
하지 않을 것인가? 그러므로 손은 조금 형통하고 92와 95가 강중하였으니 갈 발를 둠이 이로두며, 대인에게 순종함이 이로운 것이다. 대저 순종의 도는 도덕적인 절제력이고, 곤궁한 현실을 핑계삼아 은둔하는 원리이며, 권도權道로 자신을 보존하는 길이다.
兌
태(兌)는 형(亨)하니 이(利)정(貞)하니라
기쁨은 형통하니 바르게 지킴이 이로우니라.
태(兌)는 기쁨의 길이요, 열락悅樂의 도이다. 만물이 풍동風動하여 깊이 들어가면 반드시 기뻐한다. 그러므로 손掛의 다음에 놓인 것이요, 그 괘체는 손巽을 들려놓은 것이다. 사람이 학문에 조예가 깊어지면 기쁨이 생기고, 사람과 더불어 함께 마음이 통하면 더욱 큰 기쁨을 얻는 것이다. 그러므로 태괘의 구조가 태하태상兌下兌上으로 좌우상하가 모두 함께 기뻐하는 상이고, 그 성질이 내열외열內悅外悅하니 진심으로 즐거워하는 덕이다. 더욱이 1음이 2양의 위에 있어 그 상이 연못으로 만물을 윤택하게 하여 가쁨을 주는 뜻이 있다 태兌는 기쁨으로 감동하는 까닭에 형통하지만 바르게 법도를 지킴이 이로우니 만일 기쁨이 넘쳐 방탕하거나, 교묘하고 사악한 방법으로 즐거움을 찾으면 흉한 것이다.
참고문헌:새시대를 위한 주역(도서출판 글)
兌
태(兌)는 형(亨)하니 이(利)정(貞)하니라
기쁨은 형통하니 바르게 지킴이 이로우니라.
태(兌)는 기쁨의 길이요, 열락悅樂의 도이다. 만물이 풍동風動하여 깊이 들어가면 반드시 기뻐한다. 그러므로 손掛의 다음에 놓인 것이요, 그 괘체는 손巽을 들려놓은 것이다. 사람이 학문에 조예가 깊어지면 기쁨이 생기고, 사람과 더불어 함께 마음이 통하면 더욱 큰 기쁨을 얻는 것이다. 그러므로 태괘의 구조가 태하태상兌下兌上으로 좌우상하가 모두 함께 기뻐하는 상이고, 그 성질이 내열외열內悅外悅하니 진심으로 즐거워하는 덕이다. 더욱이 1음이 2양의 위에 있어 그 상이 연못으로 만물을 윤택하게 하여 가쁨을 주는 뜻이 있다 태兌는 기쁨으로 감동하는 까닭에 형통하지만 바르게 법도를 지킴이 이로우니 만일 기쁨이 넘쳐 방탕하거나, 교묘하고 사악한 방법으로 즐거움을 찾으면 흉한 것이다.
참고문헌:새시대를 위한 주역(도서출판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