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파산의 표면적 원인
2 초점을 상실한 성장전략
3 월마트의 시장진입전략
4 핵심을 고수한 월마트
5 월마트의 성공 비결
2 초점을 상실한 성장전략
3 월마트의 시장진입전략
4 핵심을 고수한 월마트
5 월마트의 성공 비결
본문내용
회원제 창고형 할인유통업에 진출했었을 때는 이미 동업계 선두였던 프라이스 클럽(Price Club)보다 한참 뒤늦은 때였다. 그러나 샘스 클럽은 이 분야에 진출한지 4년 만에 프라이스 클럽을 물리치고 선두주자가 되었다. 월마트는 이러한 전략 하에 의약품 유통업, 유럽식 하이퍼 마켓, 대형 식품유통업 등과 같은 전문유통분야에 진출, 성공적인 사업다각화를 추진하였다.
이렇듯 월마트의 모든 전략적 의사결정의 목적은 명확했다. “정확하고 신속한 재고관리를 통해, 보다 양질의 제품을, 보다 저렴한 가격에, 고객이 원하는 시점에, 언제나 공급한다”라는 월마트의 변치않는 기업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다.
무엇이 성공과 실패를 갈랐나
2000년대 들어서면서 K마트와 월마트의 격차는 더 이상 되돌릴 수 없을 만큼 벌어졌다. 양사의 2000년도 경영성과를 보면 이러한 차이를 극명하게 알 수 있다. 월마트는 K마트의 1.5배 정도의 점포수를 가지고 약 5배에 달하는 매출을 올렸다. 영업이익의 차이는 더욱 벌어져 월마트가 약 5.2%의 영업이익율을 기록하고 있는 반해, K마트는 적자를 기록했다. 두 회사의 부채비율이 그다지 차이가 없는 것을 감안하면 결국 K마트의 파산은 사업전략의 실패에서 기인했다고 볼 수 있다.
한 때 업계 1,2위를 다투며 경쟁하던 두 회사의 명암을 가른 주요원인은 무엇인가? K마트의 사례는 흔히 성공을 거둔 기업이 간과하기 쉬운 오류를 잘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기업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첫째, 핵심역량의 확보 없이는 성공은 불가능하다. K마트와 월마트의 대결은 결국 핵심역량에서 판가름났다. 두 회사 모두 초기의 성공을 거두었을 때는 다른 경쟁자가 갖지 못했던 차별화된 핵심역량을 보유하고 있었다. K마트는 고품질의 브랜드 상품공급을 통해 고객의 신뢰를 확보했고 월마트는 상시저가판매를 통해 고객만족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월마트가 효율적인 물류시스템의 구축이라는 자신의 핵심역량 강화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을 때 K마트는 과거의 성공에 도취해 고품질의 브랜드 상품 공급이라는 기존의 핵심역량을 유지하는데도 실패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경쟁우위를 창출하는데도 실패했다.
둘째, 핵심역량이 전제되지 않은 성장전략은 실패를 재촉한다. 이는 과거 한 두 차례 성공을 거둔 기업에게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전형적인 오류이다. K마트의 무분별한 점포증설이나 비관련 사업다각화가 대표적인 예이다. 반면 월마트는 회원제 창고형 할인유통업과 같은 기존의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한 관련 사업다각화를 추진함으로써 성장과 수익성 확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다 잡을 수 있었다.
셋째, 확실한 기업목표 설정과 일관성 있는 실천만이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 월마트가 모든 전략을 저비용 구조 강화라는 목표에 맞춰 일관되고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때 K마트는 눈앞의 문제에 급급해 일관성 없는 전략을 수립, 추진함으로써 문제 해결은 고사하고 더욱 더 경쟁력을 상실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예를 들어 월마트는 통신위성에 수십억달러를 투자하면서도 광고비는 극도로 억제하는 등 강력한 원가절감정책을 추진함으로써 수익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반면 K마트는 월마트와의 경쟁에 급급한 나머지 디즈니, 마사 스튜어트 등 자사만이 공급할 수 있는 브랜드 강점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쟁력이 뒷받침되지 않는 할인광고에 대규모 자금을 쏟아 부었다. 결국 매출액은 증가하지 않고 오히려 적자폭만 커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K마트와 월마트의 사례는 수익성과 성장의 동시달성이 양립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내실있는 성장을 추구하려는 우리 기업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다.
이렇듯 월마트의 모든 전략적 의사결정의 목적은 명확했다. “정확하고 신속한 재고관리를 통해, 보다 양질의 제품을, 보다 저렴한 가격에, 고객이 원하는 시점에, 언제나 공급한다”라는 월마트의 변치않는 기업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다.
무엇이 성공과 실패를 갈랐나
2000년대 들어서면서 K마트와 월마트의 격차는 더 이상 되돌릴 수 없을 만큼 벌어졌다. 양사의 2000년도 경영성과를 보면 이러한 차이를 극명하게 알 수 있다. 월마트는 K마트의 1.5배 정도의 점포수를 가지고 약 5배에 달하는 매출을 올렸다. 영업이익의 차이는 더욱 벌어져 월마트가 약 5.2%의 영업이익율을 기록하고 있는 반해, K마트는 적자를 기록했다. 두 회사의 부채비율이 그다지 차이가 없는 것을 감안하면 결국 K마트의 파산은 사업전략의 실패에서 기인했다고 볼 수 있다.
한 때 업계 1,2위를 다투며 경쟁하던 두 회사의 명암을 가른 주요원인은 무엇인가? K마트의 사례는 흔히 성공을 거둔 기업이 간과하기 쉬운 오류를 잘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기업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첫째, 핵심역량의 확보 없이는 성공은 불가능하다. K마트와 월마트의 대결은 결국 핵심역량에서 판가름났다. 두 회사 모두 초기의 성공을 거두었을 때는 다른 경쟁자가 갖지 못했던 차별화된 핵심역량을 보유하고 있었다. K마트는 고품질의 브랜드 상품공급을 통해 고객의 신뢰를 확보했고 월마트는 상시저가판매를 통해 고객만족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월마트가 효율적인 물류시스템의 구축이라는 자신의 핵심역량 강화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을 때 K마트는 과거의 성공에 도취해 고품질의 브랜드 상품 공급이라는 기존의 핵심역량을 유지하는데도 실패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경쟁우위를 창출하는데도 실패했다.
둘째, 핵심역량이 전제되지 않은 성장전략은 실패를 재촉한다. 이는 과거 한 두 차례 성공을 거둔 기업에게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전형적인 오류이다. K마트의 무분별한 점포증설이나 비관련 사업다각화가 대표적인 예이다. 반면 월마트는 회원제 창고형 할인유통업과 같은 기존의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한 관련 사업다각화를 추진함으로써 성장과 수익성 확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다 잡을 수 있었다.
셋째, 확실한 기업목표 설정과 일관성 있는 실천만이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 월마트가 모든 전략을 저비용 구조 강화라는 목표에 맞춰 일관되고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때 K마트는 눈앞의 문제에 급급해 일관성 없는 전략을 수립, 추진함으로써 문제 해결은 고사하고 더욱 더 경쟁력을 상실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예를 들어 월마트는 통신위성에 수십억달러를 투자하면서도 광고비는 극도로 억제하는 등 강력한 원가절감정책을 추진함으로써 수익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반면 K마트는 월마트와의 경쟁에 급급한 나머지 디즈니, 마사 스튜어트 등 자사만이 공급할 수 있는 브랜드 강점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쟁력이 뒷받침되지 않는 할인광고에 대규모 자금을 쏟아 부었다. 결국 매출액은 증가하지 않고 오히려 적자폭만 커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K마트와 월마트의 사례는 수익성과 성장의 동시달성이 양립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내실있는 성장을 추구하려는 우리 기업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다.
추천자료
할인점(E-마트)
월마트의 경영전략 분석
[이마트][E-Mart][마트][유통업]이마트(E-Mart) 성공 사례 분석(이마트(E-Mart)의 경영관련 ...
[마케팅]월 마트 (Wal-Mart)
[08년1월]월마트 할인점의 경영전략 사례분석
국내 대형 할인점의 유통 구조 분석( 이마트와 롯데마트를 사례로 )
월마트의 글로벌 경영전략
[국제경영전략론]월마트 경영전략
[국제경영전략론]월마트 경영전략분석
이마트,대형마트마케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
리테일마케팅 PB 상품 (Private Brand)의 현주소, 대형할인마트 PB상품 강점 및 문제점
[PB 브랜드 상품 현황] 선진국, 의류패션,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GS수퍼마켓 사례
(영어,영문) Global Management of Wal-Mart(월마트의 글로벌 경영) (월마트 분석, SWOT 분석...
국내대표 기업형대형마트 이마트 신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