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메니우스의 교육사적 의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생애 및 업적

2. 교육사상의 사상적 배경

3. 교육의 업적및 교육사적 의의

4, 세계도회

본문내용

발달해 간다.'는 것이다. 마찬가지 로 가르치는 것도 질서와 통일을 지켜 앞 것이 뒷 것의 기초가 되도록 해야 한다.
④ 자연은 쉬운 것에서부터 어려운 것으로 옮아간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교 수도 쉬운 것에서 어려운 것으로 나아가게 한다. 즉 처음에는 아동의 직관을 연습하고, 다음에는 기억을,마지막에는 판단력을 기르도록 한다.
⑤ 자연은 불용불요(不用不要)한 짓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교 수도 현재 생활과 미래 생활에 가치가 있는 것만을 골라야 한다.
⑥ 자연의 움직임은 일반적인 것에서 특수한 것으로 옮아간다'는 것이다.마찬 가지로 교수도 일반적인 기초를 주고,다음에 특수한 사항으로 옮아야 한다.
이상과 같이 코메니우스의 교수방법론은 경험주의에 입각한 심리학적인 원칙을 기본으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특히 코메니우스는 근세교육의 역사상,직고나주의 교육(直觀主義敎育)의 창시자로서 불후(不朽)의 존재이며,그의 이름은 상식적으로는 직관교수(直觀敎授)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직관주의 교육이란 교육의 실제에 있어서 실물에 의한, 그리고 직접적인 사물(事物)을 통한 교육을 말한다. 따라서 직관주의는 모든 경험적 지식을 중시하는 사상이다. 오늘날 코메니우스의 교육론을 사물교수론(事物敎授論)이라고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직관교수에 관한 주장과 설명은 그의 교육에 관한 문헌 가운데 자주 나타난다. 예컨대,코메니우스는 먼저 감각에 의존하지 않고 오성에 존재하는 것은 하나도 없다. 감각은 인식의 최초의 것이며,또한 가장 확실한 도구이다. 따라서 모든 사물을 가능한 한,감각에 의해서 파악해야 한다'라고 하여 교수법의 중핵으로써 감각적 직관을 강조했다. 그는 직관을 지식의 기초로 하고, 그것을 도덕의 근저(根底)로 삼았다. 말하자면 우리들의 눈·코·귀등의 감각기관을 통해서 얻어지는 지식이야말로 확실히·빨리·재미있게'(tuto,cito,jucunde)학습된다고 코메니우스는 주장하였던 것이다.
『세계도회』는 직관을 지식의 기초로 삼는,즉 그림이 그려진 감각적 직관교재이다. 코메니우스는 이 교과서를 이용하여 그림 또는 실물의 직관을 통하여 외계의 사물을 감지시키고 동시에 언어를 배우게 한 다음,점차로 표상(表象)·이해·의지등,고등한 정신작용을 계발시키려 하였다. 합자연(合自然)의 원리와 직관의 원리를 교수법 상의 원칙으로 도입한 코메니우스는 교육방법으로는 훈련의 원리를 또한 제창하였다. 그는 훈련없는 학교는 물없는 수차(水車)와도 같다'고 하는 보헤미아의 옛 속담을 인용함으로써 「훈련」을 교육상의 중요한 수단으로 보았다. 그리하여 훈련의 방법에 있어서도 객관적 자연주의의 정신에 입각하는 훈련주의를 취했다. 즉, 태양이 빛과 열을 언제나 지상에 보내고 있지만 때로는 풍우전뢰(風雨電雷)를 일으키는 것과 같이,교사도 사랑과 따뜻한 정으로 어린이를 대하고 때로는 충고와 질책(叱責)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코메니우스의 『세계도회』는 총 150장으로 구성되어, 각 장마다 라틴어와 그 번역을 병렬시키고,그 밑에 그림으로 도해(圖解)되어 있다. 『세계도회』는 유럽의 모든 나라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었으며 간행된 지 100년 후, 괴에테(J.W.Goethe)가 어렸을 때를 회상하는 가운데 코메니우스의 『세계도회』이외에는 어린이용의 책은 없었다'고 까지 말하고 있다.
한편,코메니우스가 구상했던 학교제도론은 학교체계의 이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탁견(卓見)이라 아니할 수 없다.『대교수학』은 제27장 이하 5개장에 걸쳐 논술한 그의 학교제도론은,학교교육의 시기를 만 24세까지로 하고 이를 6개년씩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그 제1기(0∼6세)를 어머니(母親)하교(Schola Materna),제2기(6세∼12세)를 국어학교(Schola Vernacula),제3기(12세∼18세)를 라틴어학교(Schola Latina),제4기(18세∼24세)를 대학(Academia)의 시기로 하고, 어머니학교는 가정에,국어학교는 각 동리에, 라틴어학교는 각 도시에, 대학은 각 왕국에 각각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학교제도의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제1기인 유아기(0∼6세)의 교육은 어머니학교 또는 유아학교(Schola Infantiae)인 바,가정에서 어머니로부터 교육받는 가정교육을 말한다. 유아교 육의 창시자라고 불리우는 19세기의 프뢰벨(F.W.August Frobel)의 유치원교 육도 코메니우스의 어머니학교에서 많은 암시를 받은 것으로 짐작된다.
② 제2기인 아동기(6세∼12세)는 국어학교인 바, 교과목으로는 읽기(讀)·쓰기 (書)·셈하기(算)등의 3R's는 물론,역사·지리·미술등을 가르친다.특히 이 시기의 학교는 무상인 동시에 의무적이며,또 외국어가 아닌 모국어로만 교수 되는 것이 특색이다.
③ 제3기인 소년기(12세∼18세)는 라틴어학교인 바,오늘의 중등 정도의 학교에 상당한다. 국어학교가 군(郡)정도의 고을에 각각 설립되는데 대해서 라틴어학 교는 시(市)정도의 도시에 세워져 국어·라틴어·희랍어·헤브라이어등의 어 학과 물리학·수학·지리·역사 그리고 7자유과(Seven Liberal Arts)등을 가 르친다.
④ 제4기인 청년기(18세∼24세)의 교육은 대학인 바, 오늘의 고등교육기관에 해 당된다. 여기서는 심오한 학술의 연마는 물론, 국가와 교회의 지도자를 양성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각 주 또는 각 나라에 설립된다.
이와같은 학교제도론에서 코메니우스는 첫째로 사람은 그 성숙기에 도달하기까 지의 전 시기를 교육에 충당할 것과,둘째로 사람의 성숙기를 25세까지로 보고 25세 이후는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그 성장이 대체로 정지한다는 생리적, 심 리적 고찰을 시도했다는 점, 그리고 세째로 성숙의 24년간을 그 발달상의 특징 으로 보아 4단계로 구분하여 그것을 대체로 6년간씩 4기로 나누고,이 심리적 단 계에 따라 학교도 4종류로 나누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같은 코메니우스의 견해는 근대적 학교제도인 제6·3·3·4의 기본모형이 되었으며 그같은 그의 선견지명(先見之明)이 높이 평가된다. 그는 이 4단계의 학교교육의 목적·내 용·방법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견해를 표명했음은 물론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2.12.04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42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