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조사방법 및 자료처리
III. 연구결과
1. 성별에 따른 광고모델의 이미지에 대한 비교
2. 광고모델과 광고평가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3. 광고모델 이미지와 제품에 대한 신뢰간의 다중회귀분석
4. 광고가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5. 광고의 구성요소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인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조사방법 및 자료처리
III. 연구결과
1. 성별에 따른 광고모델의 이미지에 대한 비교
2. 광고모델과 광고평가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3. 광고모델 이미지와 제품에 대한 신뢰간의 다중회귀분석
4. 광고가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5. 광고의 구성요소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인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소비자들의 구매의사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기능 및 성능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델의 경우는 매우 작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본 연구에서 조사한 제품이 컴퓨터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시각에서는 전문성을 가진 광고모델이 광고를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광고구성요소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인으로는 영상처리 및 광고내용으로 나타났으며, 모델도 5가지 요인 중 3번째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 광고에서 모델의 선정이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에 대하여 살펴 본 바 스포츠맨들과 유명연예인들이 광고모델로 등장한 광고들에 대하여 광고모델의 이미지가 광고평가나 제품의 신뢰도에 모두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각의 광고모델들에 대한 결과에서 유명연예인이 스포츠맨 보다 약간 높게 나타난 것은 연륜에 따른 사회적인 경험이나 직위 등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스포츠맨 또한 유명연예인 못지 않게 광고효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스포츠맨들이 광고모델로서 선택되기 위해서는 대중에게 어필할 수 있는 인기유지와 깨끗한 사생활, 스포츠맨으로서 갖추어야할 도덕성, 자기종목에서의 절정의 기량유지 등을 위하여 보다 열심히 연습하고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기업의 입장에서도 광고모델을 선정할 때 소비자들에게 잘 전달될수 있는 내용과 메시지의 구성이 조화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것은 스포츠맨들만이 가질 수 있는 의지, 인내심, 투혼, 성취감 등의 장점을 잘 살려주어야 광고효과가 높게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강호성(1983). 광고탤런트 역할과 선정방법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신문방 송 대학원.
금지훈(1995). 광고모델 유형 및 메시지 제시방법에 따른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김재범(1988). 광고등장인물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국대 학교 경영대학원.
심상윤(1995). 광고모델 캐릭터와 광고효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 교 경영대학원.
오인숙(1997). 모델속성이 광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충북대학교 대 학원.
조선일보(1998). 10. 13.
한민희, 장대련(1994). 광고경영론. 서울 : 학현사.
Arker, David a. and John G. Myers(1987). Advertising Management, 3rd ed., Prentice-Hall.
Freiden(1984),"Advertising Spokesperson Effect: An Examination of Endorser type and Gender on Two Audienence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4, 42
Friendman, Hershey H. and Linda Friedman(1979). "Endorser effectiveness by product typ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1, Oct. . 632-642
Rubin, C Major(1984). "Advertising spokesman effect an examination of endorser type and gender on two audience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4, 63-69.
ABSTRACT
Comparison of sportsman and famous talent advertisment model
on the effect of an advertisement
Kim, Jung-Ha·Lee, Sang-Bong
This study intend to survey a sportsman and famous talent advertisement model on the effect of an advertisement. The object of the investigation was made up of a general public 376 peoples over sixteen years old through the simple random sampling.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practic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case of sportsman and a famous talent advertisement model by t-test. Executing a multiple regression is to survey the influence of the estimation of an advertisement and belief in products. So it come to a conclusion that the image of an advertisement model with regard tp the distinction of sex and the estimation of an advwrtisement and belief in commadity do not have a noteworthy difference between maleand female, and it is represented that the image of men, such as sportsman and a famouse talent as an advertisement model generally have a notable effect on the evaluation of an advertisement and beliefe in products. The function and capacity of product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on a purchasing decision of the content of an advertisement are the greatest elements.
이상의 결과에 대하여 살펴 본 바 스포츠맨들과 유명연예인들이 광고모델로 등장한 광고들에 대하여 광고모델의 이미지가 광고평가나 제품의 신뢰도에 모두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각의 광고모델들에 대한 결과에서 유명연예인이 스포츠맨 보다 약간 높게 나타난 것은 연륜에 따른 사회적인 경험이나 직위 등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스포츠맨 또한 유명연예인 못지 않게 광고효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스포츠맨들이 광고모델로서 선택되기 위해서는 대중에게 어필할 수 있는 인기유지와 깨끗한 사생활, 스포츠맨으로서 갖추어야할 도덕성, 자기종목에서의 절정의 기량유지 등을 위하여 보다 열심히 연습하고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기업의 입장에서도 광고모델을 선정할 때 소비자들에게 잘 전달될수 있는 내용과 메시지의 구성이 조화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것은 스포츠맨들만이 가질 수 있는 의지, 인내심, 투혼, 성취감 등의 장점을 잘 살려주어야 광고효과가 높게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강호성(1983). 광고탤런트 역할과 선정방법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신문방 송 대학원.
금지훈(1995). 광고모델 유형 및 메시지 제시방법에 따른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김재범(1988). 광고등장인물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국대 학교 경영대학원.
심상윤(1995). 광고모델 캐릭터와 광고효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 교 경영대학원.
오인숙(1997). 모델속성이 광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충북대학교 대 학원.
조선일보(1998). 10. 13.
한민희, 장대련(1994). 광고경영론. 서울 : 학현사.
Arker, David a. and John G. Myers(1987). Advertising Management, 3rd ed., Prentice-Hall.
Freiden(1984),"Advertising Spokesperson Effect: An Examination of Endorser type and Gender on Two Audienence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4, 42
Friendman, Hershey H. and Linda Friedman(1979). "Endorser effectiveness by product typ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1, Oct. . 632-642
Rubin, C Major(1984). "Advertising spokesman effect an examination of endorser type and gender on two audience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4, 63-69.
ABSTRACT
Comparison of sportsman and famous talent advertisment model
on the effect of an advertisement
Kim, Jung-Ha·Lee, Sang-Bong
This study intend to survey a sportsman and famous talent advertisement model on the effect of an advertisement. The object of the investigation was made up of a general public 376 peoples over sixteen years old through the simple random sampling.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practic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case of sportsman and a famous talent advertisement model by t-test. Executing a multiple regression is to survey the influence of the estimation of an advertisement and belief in products. So it come to a conclusion that the image of an advertisement model with regard tp the distinction of sex and the estimation of an advwrtisement and belief in commadity do not have a noteworthy difference between maleand female, and it is represented that the image of men, such as sportsman and a famouse talent as an advertisement model generally have a notable effect on the evaluation of an advertisement and beliefe in products. The function and capacity of product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on a purchasing decision of the content of an advertisement are the greatest el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