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스케이트의 역사
2. 쇼트 트랙
3. 롱 트랙
4. 규격
5. 취업, 진로 상담.
2. 쇼트 트랙
3. 롱 트랙
4. 규격
5. 취업, 진로 상담.
본문내용
계산하다. 세 가지 정식 타임 중에서 두 가지 이상이 합치하면 그 타임을 채용하고, 모두 다른 경우에는 중간타임 을 채용한다. 또, 무언가의 이유로 계시원 중 한사람이 계시에 실패한 경우에는, 보조 계시원의 타임으로 대치하여 앞에서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타임 을 채용한다. 두 사람이 계시에 실패한 경우에는, 보조 계시원과 평균타임 을 채용한다. 전기 시계를 사용한 경우에는 시계에 나타난 타임을 그대로 채용한다. 전기시계를 사용하는 때에는 반드시 예비로 수동시계를 병용한 다. 싱글트랙레이스의 경우, 복침 시계를 사용 할 때에는 2사람의 경기자에 대 하여 3명의 계시원을, 단침 시계를 사용할 때에는 1사람의 경기자에 대해 3 명의 계시원을 지명해야 한다. 타임의 결정방법은 더블트랙레이스의 경우 와 같다. 경기회에 사용되는 시계는 지름 50mm이상의 크기로 1/10초의 눈금이 있으며, 1시간에 1초 이상의 오차가 없는 것으로 한다.
판정
1. 라스트 라인의 심판은 선수 중에 어느 선수가 우승자이고 또 선수들이 똑같이 골인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심판장은 판정에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그러나, 만 일 전자시계가 백 분의 1초로 기록된 시간에 어느 스케이터가 우승자이고 또, 같은 시간인지의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2. 선수와 선수사이의 거리 차이는 5미터 미만일 경우 심판은 수동 시계원의 책임자에게 우승자가 라인을 통과하는 순간에는 같은 조의 두 선수 사이의 거리를 알려주어야 한다.
3. 두 선수가 같은 조에서 경기하여 같은 시간을 마크했을 때 심판이 한 선수를 우승자로 정했으면 이 선수는 해당 종목의 순위에 다른 선수보다 한 순위 앞을 차지한다. 또한 다른 선수들이 다른 조에서 경기했을 때 두 사람이 같은 시간을 마크했으면 우승자는 우승자끼리 2위는 2위끼리 순위가 결정된다.
-8-
4. 규격
링크
1)아웃도어 스케이트 링크 - 아웃트랙의 경계선은 스노우 라인으로 한다. 그것이 불가능할 경우, 커브의 시작과 끝의 15m에는 50cm 간격으로, 커브의 남은 부분에는 1m간격으로 스트레이트에서는 10m(100m 이하의 트랙에서는 4m) 간격으로 가동의 나무 조각 등을 놓아 표시할 수 있다.
2) 인 도어 스케이트 링크 - 인 도어 트랙의 경계선은 블록을 놓아 표시한다. 출발선, 결승선 등은 빙면에 판선을 착색하여 표시한다.
트랙
1) 더블트랙
2) 싱글트랙(한바퀴 125m 이상의 것)
3) 숏트랙(한바퀴 125m이하의 것)
5. 취업, 진로 상담
학교를 다니면서 전공을 무엇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했습니다. 한가지 또는 두 가지 전공을 가지고 사회에 나가서 무엇을 할 것인가 고민 해보았습니다. 전 대학원을 가고 싶습니다. 하지만 최소한 남을 가르칠 수 있는 전공 두 가지에서 세 가지 정도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대학원을 가기 위해서 무슨 공부를 해야하며 나중에 제가 군대 갔다와서 그 과목이 대학원 시험에 나오는지 몰라서 공부를 지금부터 준비해야 하는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그리고 대학원이 모두 같은 시험을 치는지 그것도 모르겠습니다. 어디를 목표로 잡아야 하고 그리고 왜 대학원을 목표로 잡고 있는지 조차도 모르겠습니다. 어쨌든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하는데 저는 무엇을 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지금 하고 있는 공부는 영어 공부가 전부입니다. 전공이나 교양 과목 외에 혼자서 제가 할 수 있는 공부는 영어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저는 당장에 어떤 공부들을 해야하는가, 그것이 저의 고민입니다.
참고 자료 : http://www.skateall.com/
http://www.skatekr.com/
http://www.skatingcoach.net/
-9-
판정
1. 라스트 라인의 심판은 선수 중에 어느 선수가 우승자이고 또 선수들이 똑같이 골인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심판장은 판정에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그러나, 만 일 전자시계가 백 분의 1초로 기록된 시간에 어느 스케이터가 우승자이고 또, 같은 시간인지의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2. 선수와 선수사이의 거리 차이는 5미터 미만일 경우 심판은 수동 시계원의 책임자에게 우승자가 라인을 통과하는 순간에는 같은 조의 두 선수 사이의 거리를 알려주어야 한다.
3. 두 선수가 같은 조에서 경기하여 같은 시간을 마크했을 때 심판이 한 선수를 우승자로 정했으면 이 선수는 해당 종목의 순위에 다른 선수보다 한 순위 앞을 차지한다. 또한 다른 선수들이 다른 조에서 경기했을 때 두 사람이 같은 시간을 마크했으면 우승자는 우승자끼리 2위는 2위끼리 순위가 결정된다.
-8-
4. 규격
링크
1)아웃도어 스케이트 링크 - 아웃트랙의 경계선은 스노우 라인으로 한다. 그것이 불가능할 경우, 커브의 시작과 끝의 15m에는 50cm 간격으로, 커브의 남은 부분에는 1m간격으로 스트레이트에서는 10m(100m 이하의 트랙에서는 4m) 간격으로 가동의 나무 조각 등을 놓아 표시할 수 있다.
2) 인 도어 스케이트 링크 - 인 도어 트랙의 경계선은 블록을 놓아 표시한다. 출발선, 결승선 등은 빙면에 판선을 착색하여 표시한다.
트랙
1) 더블트랙
2) 싱글트랙(한바퀴 125m 이상의 것)
3) 숏트랙(한바퀴 125m이하의 것)
5. 취업, 진로 상담
학교를 다니면서 전공을 무엇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했습니다. 한가지 또는 두 가지 전공을 가지고 사회에 나가서 무엇을 할 것인가 고민 해보았습니다. 전 대학원을 가고 싶습니다. 하지만 최소한 남을 가르칠 수 있는 전공 두 가지에서 세 가지 정도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대학원을 가기 위해서 무슨 공부를 해야하며 나중에 제가 군대 갔다와서 그 과목이 대학원 시험에 나오는지 몰라서 공부를 지금부터 준비해야 하는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그리고 대학원이 모두 같은 시험을 치는지 그것도 모르겠습니다. 어디를 목표로 잡아야 하고 그리고 왜 대학원을 목표로 잡고 있는지 조차도 모르겠습니다. 어쨌든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하는데 저는 무엇을 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지금 하고 있는 공부는 영어 공부가 전부입니다. 전공이나 교양 과목 외에 혼자서 제가 할 수 있는 공부는 영어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저는 당장에 어떤 공부들을 해야하는가, 그것이 저의 고민입니다.
참고 자료 : http://www.skateall.com/
http://www.skatekr.com/
http://www.skatingcoach.net/
-9-
추천자료
한국인으로서 가장 자랑스러웠던 점
[마케팅전략] 게토레이 마케팅 사례 분석
롯데리아 광고분석
21경영학 새로쓰는 기업론 (사회책임경영)
우리 나라 청소년, 주부, 노인의 여가와 여가 공간과 시설, 각 시기에 제기 되는 문제와 대책.
스키의 기초 기술에 대하여
아동의 인지,정서, 도덕 발달 및 애착에 관한 연구
경주 황성동 생활체육공원 활성화 방안 PPT
교통 안전활동
스노우 보드 지도안
스노우보드의 정의와 기술 장비소개
아동을 위한 건강하고 안전한 환경 조성
[아동 발달] 아동기 운동발달 - 운동발달의 이해, 운동기능의 발달, 대근육 운동, 소근육 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