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1. 2000년과 한국만화
Ⅱ. 2000년 한국만화의 음영(陰影)
1. 순정만화의 부상 - 비천무(飛天舞)와 리니지(Lineage)
2. 대형서점의 만화코너 신설, 부활
3. 일본만화의 국내시장석권과 만화잡지의 몰락
4. 2000년의 주목할 만한 작품
5. 심각하게 불거진 만화 표현의 자유
Ⅲ. 대안(代案)으로 제시된 인터넷만화
Ⅳ. 맺음말
1. 2000년과 한국만화
Ⅱ. 2000년 한국만화의 음영(陰影)
1. 순정만화의 부상 - 비천무(飛天舞)와 리니지(Lineage)
2. 대형서점의 만화코너 신설, 부활
3. 일본만화의 국내시장석권과 만화잡지의 몰락
4. 2000년의 주목할 만한 작품
5. 심각하게 불거진 만화 표현의 자유
Ⅲ. 대안(代案)으로 제시된 인터넷만화
Ⅳ. 맺음말
본문내용
일부 인프라는 한국이 일본을 앞지르는 등 인터넷선진국의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인터넷만화방은 일본에서도 아직 유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우리는 이 분야에서만큼은 적어도 일본을 앞서가고 있다. 값비싼 수입펄프를 원료로 하는 종이책도 아니며, 인쇄과정 등을 거치지 않는 청정산업(淸淨産業, green factory)이라는 것도 한국적 기업환경에서는 '유망업종'으로 꼽히는 이유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투자되고 있는 비용에 비해 '확실한 수익구조' 실현이 또렷하게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시장의 한계성을 지적하는 전문가도 적지 않다.
Ⅳ. 맺음말
2000년의 한국만화는 '도마 위에 올려진' 생선 격이었다.
드센 기세로 국내시장을 잠식하며 오프라인(출판만화)시장을 황폐화시켰던 일본만화의 수입열풍, 그 틈에 끼어 자신의 공간확보를 하느라 만신창이가 된 만화가들. 그들은 극심한 체감불황에 허덕였다. 이와 함께 "한국만화의 고사(枯死)조짐이 보인다"는 만화계 내부의 볼멘소리도 함께 터져나왔다.
출판업계에서는 "경쟁력 있는 한국만화를 발굴하는데 힘들이는 것보다 잘 팔리는 일본만화 몇 작품 더 계약하는 게 훨씬 낫다"는 상혼(商魂)이 넘실거렸다. 출판만화는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가운데 정작 만화문화생산의 주체인 한국만화의 창작집단 및 일부 관련부문은 '풍요 속의 처절한 빈곤'을 맛보았던 셈이다.
만화소비자의 입장에서 보자면, 2000년 한국 만화문화는 여느 해보다 풍성한 볼거리를 향유했던 한 해였다. 갖가지 소재의 일본만화가 온갖 현란한 제목을 달고 "날 좀 보소"를 외쳤고, 인터넷만 켜면 언제나 무료로 구독할 수 있는 만화사이트가 지천으로 널려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화는 문화상품의 하나로, 비록 대중문화라는 굴레는 덧씌워져 있으나 창작단위의 최소한 문화예술적 정체성(正體性, identity)만은 요구되는 형편이다. 더군다나 미래의 세계통상교역상품 가운데 가장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리라 여겨지는 분야가 바로 '대중문화상품'이다. 우리의 고유한 상품성, 그것은 곧 세계의 그 누구도 흉내내지 못하는 '우리만의 고유브랜드만화'를 계발(啓發)하려는 노력이 어야 생명력을 담보받는다. 그러한 노력은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사법부가 대중문화의 표현수위를 놓고 창작집단을 윽박지르고 대책없는 문호개방으로 마켓세어의 80%를 일본에 내주었던 한국만화 2000년, 우리 만화가 앞으로 나아가야 갈 길을 제시해 준 반면교사(反面敎師)였다.
그러나, 투자되고 있는 비용에 비해 '확실한 수익구조' 실현이 또렷하게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시장의 한계성을 지적하는 전문가도 적지 않다.
Ⅳ. 맺음말
2000년의 한국만화는 '도마 위에 올려진' 생선 격이었다.
드센 기세로 국내시장을 잠식하며 오프라인(출판만화)시장을 황폐화시켰던 일본만화의 수입열풍, 그 틈에 끼어 자신의 공간확보를 하느라 만신창이가 된 만화가들. 그들은 극심한 체감불황에 허덕였다. 이와 함께 "한국만화의 고사(枯死)조짐이 보인다"는 만화계 내부의 볼멘소리도 함께 터져나왔다.
출판업계에서는 "경쟁력 있는 한국만화를 발굴하는데 힘들이는 것보다 잘 팔리는 일본만화 몇 작품 더 계약하는 게 훨씬 낫다"는 상혼(商魂)이 넘실거렸다. 출판만화는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가운데 정작 만화문화생산의 주체인 한국만화의 창작집단 및 일부 관련부문은 '풍요 속의 처절한 빈곤'을 맛보았던 셈이다.
만화소비자의 입장에서 보자면, 2000년 한국 만화문화는 여느 해보다 풍성한 볼거리를 향유했던 한 해였다. 갖가지 소재의 일본만화가 온갖 현란한 제목을 달고 "날 좀 보소"를 외쳤고, 인터넷만 켜면 언제나 무료로 구독할 수 있는 만화사이트가 지천으로 널려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화는 문화상품의 하나로, 비록 대중문화라는 굴레는 덧씌워져 있으나 창작단위의 최소한 문화예술적 정체성(正體性, identity)만은 요구되는 형편이다. 더군다나 미래의 세계통상교역상품 가운데 가장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리라 여겨지는 분야가 바로 '대중문화상품'이다. 우리의 고유한 상품성, 그것은 곧 세계의 그 누구도 흉내내지 못하는 '우리만의 고유브랜드만화'를 계발(啓發)하려는 노력이 어야 생명력을 담보받는다. 그러한 노력은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사법부가 대중문화의 표현수위를 놓고 창작집단을 윽박지르고 대책없는 문호개방으로 마켓세어의 80%를 일본에 내주었던 한국만화 2000년, 우리 만화가 앞으로 나아가야 갈 길을 제시해 준 반면교사(反面敎師)였다.
추천자료
지체부자유아의 심리
신자유주의의 경제체제와 교육관
자유로부터의 도피를 읽고
자유와 평등에 대한 재인식과 발전방향
자유 발도르프학교의 감성 교육 감상문
신자유주의와 세계화
자유구상
[종교][종교 기원][종교 기능][종교 세속화][종교 제도화][종교 성향][종교와 신종교][종교와...
자유와 평등의 원리를 설명하고 이들이 양립할 수 있는 조건에 대하여 논의하시오
[사생활비밀, 사생활비밀과 자유, 사생활비밀과 공익, 주거영역, 프라이버시권, 알권리]사생...
영유아를 위한 교수 방법에서 자유선택활동영역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다음의 ...
(인권법 C형) 양심의 자유에 대해 논하시오 - 양심의 자유
역량(Capability)이란,역량의 개념,실질적 자유,센의 실질적 자유,역량이론 비교,센의 발전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