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무형자산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절 유형자산

2절 감가상각

본문내용

0,000, 변경된 내용년수 : 3년
4) 변경후연감가상각비 = (250,000-10,000) 1/3 = ₩80,000
6. (주)한국도시가스는 2000년 1월 1일 도시가스 배관설비 ₩3,000,000을 취득하였다. 대금 중 ₩2,000,000은 공사부담금으로 실수요자로부터 보조받은 것이다. 이 회사는 위 배관설비의 잔존가치를 ₩200,000으로 예상하였으며 8년간 정액법에 의하여 상각한다. 2000년도 감가상각비로 계상해야 할 금액은 얼마인가?
① ₩100,000 ② ₩125,000
③ ₩225,000 ④ ₩350,000
⑤ ₩400,000
【해설】 (취득가액-공사부담금-잔존가치) 1/8 = 감가상각비
(3,000,000-2,000,000-200,000) 1/8 = 100,000
7. Y사는 1994. 1. 1에 다음과 같은 2동의 건물을 취득하였다.
건 물
취득원가
추정잔존가치
추정내용년수
A
₩110,000
₩10,000
5 년
B
₩550,000
₩50,000
10 년
정액법에 따라 종합상각을 하고자 할 때 건물의 평균내용년수를 계산하면 얼마인가?
① 7.5년 ② 8.25년
③ 8.36년 ④ 8.57년
【해설】 종합상각법
건물
취득원가
추정잔존가치
추정내용년수
감가상각비
A
₩110,000
₩10,000
5
₩20,000
B
550,000
50,000
10
50,000
₩660,000
₩60,000
₩70,000
1) 평균(종합)내용년수 = 감가상각대상액 합계 / 감가상각비 의 합계 = (660,000-60,000) / 70,000 = 8.57년
2) 종합상각률 = 감가상각비의 합계 / 취득원가의 합계
= 70,000 / 660,000 = 10.6%
8. 1988년 7월 1일 기계를 ₩800,000에 매입하였다. 이 기계의 내용년수는 10년이고 잔존가치는 원가의 10%이다. 당사는 정액법에 의하여 감가상각을 행하고 있다. 1991년 12월 31일 이 기계를 ₩650,000에 매각하였을 경우 유형자산처분손익은 얼마인가?
① 유형자산처분손실 ₩150,000
② 유형자산처분이익 ₩150,000
③ 유형자산처분이익 ₩88,000
④ 유형자산처분이익 ₩52,000
⑤ 유형자산처분이익 ₩102,000
【해설】
1) 연감가상각비 = (800,000-80,000) 1/10 = ₩72,000
2) 처분시 감가상각누계액 = ₩72,000 3.5년 = ₩252,000
3) 처분시 장부가액 = ₩800,000-₩252,000 = ₩548,000
4) 처분손익 : ₩650,000-₩548,000 = ₩102,000 (유형자산처분이익)
<분개>
(차) 현 금 650,000 (대) 기 계 800,000
감가상각누계액 252,000 유형자산처분이익 102,000
9. K사는 1990년 1월 2일 기계를 ₩1,000,000에 매입하였는데 매입과 관련한 부대비용으로 ₩200,000이 투입되었다. 내용년수는 10년 잔존가치는 취득원가의 10%로 추정하였다. 1992년 1월 3일에 이 기계를 ₩800,000에 처분하였다. 정액법에 의하여 감가상각비를 계상한다면 유형자산처분손실은?
① ₩340,000 ② ₩230,000
③ ₩200,000 ④ ₩184,000
【해설】
처분손실 = 장부가액 - 처분가액
= (1,200,000-216,000)-800,000
= ₩184,000
10. 대주회사는 1996년 1월 1일에 기계를 매각하고 현금 ₩3,500,000을 받았다. 기계의 취득원가는 ₩10,000,000이었으며, 기계에 대한 감가상각누계액은 ₩7,000,000 이었다. 기계처분이익은 얼마인가?
① ₩6,500,000 ② ₩500,000
③ ₩3,500,000 ④ ₩1,350,000
【해설】
처분이익 = 처분가액 - 장부가액
= 3,500,000-(10,000,000-7,000,000)
= 500,000
11. 영업권의 평가방법이 아닌 것은?
① 연매법 ② 초과이익환원법
③ 복성가격법 ④ 연수합계법
⑤ 순이익환원법
【해설】
연수합계법은 감가상각방법 중의 하나이다.
12. 다음 중 무형자산만으로 이루어진 것은?
a. 영업권 b. 산업재산권 c. 사채발행비
d. 창업비 e. 해외사업환산차 f.개발비
g. 배당건설이자 h.어업권
가. b, d, e 나. a, b, g 다. b, c, d
라. a, b, c 마. a, d, f
【해설】
1) 사채발행비는 사채발행가액에서 차감되는 항목이다.
2) 해외사업환산차와 배당건설이자는 자본조정항목이다.
13. 甲회사에 대한 영업권 측정자료는 다음과 같다. 초과이익환원법에 의하 영업권 측정액은 얼마인가?
甲회사의 순자산 ₩900,000
평균순이익 ₩150,000
정상이익률 12%
할인율 20%
가. ₩350,000 나. ₩108,000 다. ₩210,000
라. ₩420,000 마. ₩150,000
【해설】
1) 초과이익 = 연평균순이익 - (순자산가치 정상이익율)
150,000 - (900,000 12%) = 42,000
2) 영업권 = 초과이익 / 할인율
42,000 / 20% = 210,000
14. (주) 통일의 영업권의 측정자료는 다음과 같다.
순자산액 900,000 초과이익할인율 12%
평균순이익 150,000 동종기업의 정상이익율 10%
초괴이익의 지속예상년수 5년
연매법에 의한 영업권평가액은?
① ₩300,000 ② ₩108,000
③ ₩310,000 ④ ₩420,000
⑤ ₩500,000
【해설】 1) 초과이익 = 평균순이익-정상이익(정상이익률 순자산)
= ₩150,000-(₩900,000 10%)
= ₩60,000
2) 영업권 = 초과이익 지속예상년수
= ₩60,000 5년 = ₩300,000
15. (주) 통일의 영업권을 초과이익환원법에 의한 평가액은?
① ₩300,000 ② ₩500,000
③ ₩ 310,000 ④ ₩ 420,000
⑤ ₩108,000
【해설】
초과이익 60,000
영업권 : -------------- = ----------- = 500,000
할인율 12%
정답
1. ④ 2. ② 3. ④ 4. ② 5. ② 6. ① 7. ④ 8. ⑤ 9. ④
10. ② 11. ④ 12. 마 13. 다 14. ① 15. ②
  • 가격3,3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02.12.19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8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