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문학의 관점에서 [희망]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쾌락적 기능
오락성
카타르시스의 작용

2.인간을 위한 문학
교훈적 기능
인간지표에의 영향
강자가 아닌 약자의 입장에서의 문학

결론

에이뿔 받은 레포트 중의 레포트~~! ^^

본문내용

다.
ⅲ. 강자가 아닌 약자의 입장에서 세계, 현실, 미래의 문제에 대한 진단, 해결, 투쟁하려는 측면이 강해야 한다.
이는 대중을 지배이데올로기에 순응시키고 대중의 비판적 능력을 상실하게 하는 것이 아닌 저항, 대변하는 것이 좋은 문학이라는 주장과 상통하는데 『희망』은 이점에서 80년대를 걸어온 인물들의 투쟁, 해결하려는 노력이 강한 작품이다.
10호실 노인을 통해서는 당분간 숙제로 남게 될 통일문제를, 강용우를 통해서는 힘없지만 성실하게 사는 노동자들의 생존문제를, 우연·보라 등을 통해서는 각종 개혁정책에도 불구하고 악순환이 되풀이되는 교육문제를, 수련을 통해서는 배금주의의 만연으로 날로 황폐해져 가는 인간성 상실문제를 짚어보되 그것들이 희망이라는 공통적 지향점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전 제시와 함께 사회환기라는 메시지를 주고 있다.
이상으로 전체적 틀을 갖추어 좋은 문학이란 시각에서 희망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몇 가지 작품에 대한 지적을 통해 글을 마치고자 한다.
『희망』역시 90년대 베스트 셀러와 마찬가지로 과거 지향적 작품이다. 이 작품이 90년에 발표된 것에 비해 작품의 배경은 80년대 우리 삶을 형상화하고 있다. 물론 10년 앞이 무슨 과거냐 하겠지만 굳이 이렇게라도 맞추어 작품을 해설하고자함이다. 희망은 전체적 배경 자체가 과거 80년대 전환기를 그리고 있다. 물론 이러한 과거지향이 독자들에게 잘 알려진, 낯익은 점을 이용해 상품화하기 위한 과거지향만은 아님을 지적하고 싶다. 현재를 탐구하고 미래에 대한 비전 제시의 측면에서 『희망』은 그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면은 이 글의 전체를 통해 서술해 놓은 터 여기서는『희망』의 과거지향이 가지는 긍정적 측면을 더욱 부각시키는 의미에서 되새겨 보았다.
『희망』을 좋은 문학으로써 선정하게된 것은 이 작품이 더욱 많은 사람들에게도 읽혀졌으면 하는 나의 바람 때문이었을 것이다. 양귀자의 여타 역작들은 밀리언셀러를 기록하는 등 그녀의 사회적 시선을 독자와 공유했지만 이 작품은 그렇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한 그렇기에 더욱 애착이 간다. 많은 사람들이 아직 보지 못한 아름다움을 나만이 몰래 훔쳐보고 있다는 느낌이라고나 할까. 뭐 이러한 나의 생각이 이 작품을 추천하는 면과 모순되는 무언가라도, 이 작품이 좋은 문학이라는 것은 변치 않는 것 같다. 한 권의 좋은 소설을 읽고 난 후의 느낌을 더 많은 사람들과 같이 공유했으면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2.20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62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