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논리경험주의 과학철학
Ⅲ. 후기경험주의 과학철학의 갈래들
Ⅳ. 논리경험주의와 구성주의의 비교
Ⅴ. 반실증주의
Ⅵ. 다원주의의 수용
Ⅱ. 논리경험주의 과학철학
Ⅲ. 후기경험주의 과학철학의 갈래들
Ⅳ. 논리경험주의와 구성주의의 비교
Ⅴ. 반실증주의
Ⅵ. 다원주의의 수용
본문내용
사에서 내부사와 외부사, 즉, 현상에 대한 합리적 사고의 흐름과 사회적, 문화적 현상을 고려한 사고의 흐름을 함께 고려할 수 있게 한다. 우리는 문제 해결적이고 인식에 관한 철학적 구조를 강조해야할 뿐만 아니라, 이들은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진공 속에서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사회적, 정치적, 제도적 구조를 함께 연결 지어 통합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우리가 직면한 역사적, 사회적 구성은 소비자행동 이론의 맥을 주도하는 미국의 역사적, 사회적 구성과 다르다. 한국의 토양 위에 사과가 떨어지는 법칙은 미국의 토양 위에 떨어지는 법칙과 근본적으로 같은 만유인력의 법칙의 지배를 받을 것이나, 4000여 년 동안 이어져 온 역사적 구성을 지니고 있는 우리 나라는 미국과 많은 점에서 다르다. 북아메리카 중심의 지역주의를 벗어나서 세계 지향적 시각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비교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논리경험주의에서 후기경험주의로 넘어오면서 과학의 합리성은 정교한 논리 규칙을 따르기 때문에 합리적이라기보다는 개인과 사회의 복지를 개선시키는 정도에 따라 합리적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방법론적인 관심이 윤리적인 관심으로 연결된다. 보다 거시 사회적인 맥락에서 소비자행동 이론개발을 볼 때, 핵물리학자가 핵에너지의 생산적 사용에 종사하느냐 혹은 파괴적 사용에 몰입하느냐 하는 윤리적인 문제의 제기는 이론의 생산과 이용이라는 맥에서 중요하게 대두된다.
인간 행동 연구에서 방법론에 대한 관심은 인간관에 대한 관심으로까지 확장될 수 있으며, 인간관과 인간존재에 대한 관심은 과학, 철학, 종교의 영역에 대한 관심과 연결시킬 수 있다. 학문 사이의 상당한 유기적인 연결을 가지면서 연구할 필요가 있게 한다.
동양의 과학관은 정적이 아니라 동적인 과정이며 기계적이 아니라 유기체로서 해석되고 있다. 우리는 고독한 순간들로 이루어진 시간 속에서 이성과 풍부한 상상력을 가지고 싸우는 과정에서 낡은 이론을 부정하고 새로운 이론을 창출하는 활동적이며 창조적인 과학관을 소비자행동이라는 그릇 속에 담아가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분명 서양의 합리주의적, 객관주의적 전통과 동양의 직관주의적, 주관주의적 전통이 만나는 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만나는 자리에서 새로운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21세기에 들어와서 소비자행동연구에서 중요한 현상은 글로벌화와 사이버공간에서의 현상들이다. 이러한 글로벌화는 다원주의적인 시각의 중요성을 보다 부각시킨다고 볼 수 있으나 사이버공간에서의 인간행동의 현상은 오프라인에서 전개되어온 현상과 다른 흐름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보다 잘 연구할 수 있는 방법론적인 토론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Bagozzi, R.P(1984), "A Prospectus of Theory Construction in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Winter), 11-29.
Bagozzi, R.P., and Kyu-Hyun Lee(1999), "Consumer Resistance to, and Acceptance of, Innovation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Bagozzi, R.P., and Kyu-Hyun Lee(2002), "Multiple Routes for Social Influence: The Role of Compliance, Internalization, and Social Identity, Forthcom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Barnes, Barry(1982), T.S. Kuhn and Social Science, Columbia University Press.
Blackwell, Roger D., Paul W. Miniard, and James F. Engel (2001), Consumer Behavior, 9th ed. Harcourt College Publishers.
Bloor, David(1976), Knowledge and Social Imagery, London: RKP.
Calder, Bobby J., Alice M. Tybout(1987), "What Consumer Research I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June), 136-140.
Feyerabend, P. (1975), Against Method: Outline of an Anarchistic Theory of Knowledge, London: NIB.
Hunt, Shelby D. (1991), Modern Marketing Theory : Critical Issues in the Philosophy of Marketing Science, Cincinnati, OH, South-Western Publishing Co.
Kuhn, Thomas S.(1962, 1970),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Lakatos, Imre and Alan Musgrave, eds.(1970), Criticism and the Growth of Knowledge, Cambridge ,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65.
Popper, Karl, R(1963), Conjectures and Refutation: The Growth of Scientific Knowledge: RKP.
Rogers, E.M(1995), Diffusion of Innovations, 4th ed., The Free Press.
Suppe, Frederick(1977), The Structure of Scientific Theorie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617-730.
Zaltman, G., Karen Lemasters, and Michael Heffring(1982), Theory Construction in Marketing: Some Thoughts on Thinking, NY: Wiley.
우리가 직면한 역사적, 사회적 구성은 소비자행동 이론의 맥을 주도하는 미국의 역사적, 사회적 구성과 다르다. 한국의 토양 위에 사과가 떨어지는 법칙은 미국의 토양 위에 떨어지는 법칙과 근본적으로 같은 만유인력의 법칙의 지배를 받을 것이나, 4000여 년 동안 이어져 온 역사적 구성을 지니고 있는 우리 나라는 미국과 많은 점에서 다르다. 북아메리카 중심의 지역주의를 벗어나서 세계 지향적 시각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비교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논리경험주의에서 후기경험주의로 넘어오면서 과학의 합리성은 정교한 논리 규칙을 따르기 때문에 합리적이라기보다는 개인과 사회의 복지를 개선시키는 정도에 따라 합리적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방법론적인 관심이 윤리적인 관심으로 연결된다. 보다 거시 사회적인 맥락에서 소비자행동 이론개발을 볼 때, 핵물리학자가 핵에너지의 생산적 사용에 종사하느냐 혹은 파괴적 사용에 몰입하느냐 하는 윤리적인 문제의 제기는 이론의 생산과 이용이라는 맥에서 중요하게 대두된다.
인간 행동 연구에서 방법론에 대한 관심은 인간관에 대한 관심으로까지 확장될 수 있으며, 인간관과 인간존재에 대한 관심은 과학, 철학, 종교의 영역에 대한 관심과 연결시킬 수 있다. 학문 사이의 상당한 유기적인 연결을 가지면서 연구할 필요가 있게 한다.
동양의 과학관은 정적이 아니라 동적인 과정이며 기계적이 아니라 유기체로서 해석되고 있다. 우리는 고독한 순간들로 이루어진 시간 속에서 이성과 풍부한 상상력을 가지고 싸우는 과정에서 낡은 이론을 부정하고 새로운 이론을 창출하는 활동적이며 창조적인 과학관을 소비자행동이라는 그릇 속에 담아가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분명 서양의 합리주의적, 객관주의적 전통과 동양의 직관주의적, 주관주의적 전통이 만나는 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만나는 자리에서 새로운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21세기에 들어와서 소비자행동연구에서 중요한 현상은 글로벌화와 사이버공간에서의 현상들이다. 이러한 글로벌화는 다원주의적인 시각의 중요성을 보다 부각시킨다고 볼 수 있으나 사이버공간에서의 인간행동의 현상은 오프라인에서 전개되어온 현상과 다른 흐름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보다 잘 연구할 수 있는 방법론적인 토론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Bagozzi, R.P(1984), "A Prospectus of Theory Construction in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Winter), 11-29.
Bagozzi, R.P., and Kyu-Hyun Lee(1999), "Consumer Resistance to, and Acceptance of, Innovation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Bagozzi, R.P., and Kyu-Hyun Lee(2002), "Multiple Routes for Social Influence: The Role of Compliance, Internalization, and Social Identity, Forthcom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Barnes, Barry(1982), T.S. Kuhn and Social Science, Columbia University Press.
Blackwell, Roger D., Paul W. Miniard, and James F. Engel (2001), Consumer Behavior, 9th ed. Harcourt College Publishers.
Bloor, David(1976), Knowledge and Social Imagery, London: RKP.
Calder, Bobby J., Alice M. Tybout(1987), "What Consumer Research I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June), 136-140.
Feyerabend, P. (1975), Against Method: Outline of an Anarchistic Theory of Knowledge, London: NIB.
Hunt, Shelby D. (1991), Modern Marketing Theory : Critical Issues in the Philosophy of Marketing Science, Cincinnati, OH, South-Western Publishing Co.
Kuhn, Thomas S.(1962, 1970),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Lakatos, Imre and Alan Musgrave, eds.(1970), Criticism and the Growth of Knowledge, Cambridge ,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65.
Popper, Karl, R(1963), Conjectures and Refutation: The Growth of Scientific Knowledge: RKP.
Rogers, E.M(1995), Diffusion of Innovations, 4th ed., The Free Press.
Suppe, Frederick(1977), The Structure of Scientific Theorie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617-730.
Zaltman, G., Karen Lemasters, and Michael Heffring(1982), Theory Construction in Marketing: Some Thoughts on Thinking, NY: Wiley.
추천자료
소비자 행동이론에 대해(고객만족도)
제품개발과 소비자 테스트
제품개발과 소비자 테스트
소비자 이론(선택)PPT
싼타페 (시장성과, 소비자의 욕구 파악, STP전략, 신제품 및 디자인 개발, 프로모션 전략, 성...
[기혼여성][기혼][여성][자기개발][노동]기혼여성의 사회적 요인, 기혼여성의 역할, 기혼여성...
개인과 개인정보, 개인주의, 개인과 개인중심방법, 개인과 개인화서비스, 개인무의식, 개인과...
[소비자행동론 3공통] 소비자는 시장에서 영향력 행사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론적 근거를 ...
<소비자 태도 및 구매 분석> 고객의 구매 전(다속성 태도모델, HEIDER 균형이론 이론, Katz의...
[소비자심리학] 1. 소비자의 만족/불만족 과정 두 가지 대표적 모형인 기대불일치 모형과 공...
[소비자행동론] 부산관광, App 개발, SNS - 갈매기야! 날 준비됐나?!.pptx
[소비자행동론] 소비자행동 이론을 통한 CGV의 마케팅 분석
2018년 1학기 소비자행동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소비자 역할이론의 관점, 윤리론의 관점)
대중문화의 정의대중문화 관련 이론대중문화의 소비자외국의 대중문화대중문화의 영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