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본문
1. 생애
2. 사상적 기조
3. 군주관
4. 권력관
5. 시무책에서 다루고 있는 문제
맺음말
본문
1. 생애
2. 사상적 기조
3. 군주관
4. 권력관
5. 시무책에서 다루고 있는 문제
맺음말
본문내용
있음을 지적하여 의창과 상평창을 만든다. 22조에서 노비문제와 관련해서 광종 때의 노비안검법의 반대로 노비환천법을 실시하였다. 이외에도 많은 사회적 개혁이 이루어졌다. 관제를 정비하여 3성 6부 9사 체제를 완성시켰으며 국자감을 설치하고 지방 12목에 이학박사 경학박사 한 명씩을 파견한다. 건원통보라는 최초의 화폐도 주조해내고 농업의 발전을 꾀한다.
이러한 일련의 시무책을 시점으로 하여 많은 개혁들은 고려 초기의 미완된 왕권의 안정화를 가져왔고 호족의 세력을 없애고 중앙 집중적인 귀족과 왕권이 어울려지는 지배구조를 만들었다. 이전의 정치의 중심이 지방을 중심으로 한 호족들 난립된 것을 정리하고 귀족정치로 변화가 이루어진 것이다. 시무책은 유교적인 이념을 정치에 도입하였고 고려말기에 일어나는 불교의 많은 폐단을 일찍이 개혁하고자 하였던 점에서 많은 의의가 있고 고려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남겨지지 않은 6조가 아쉽다. 하지만 남겨지지 않은 최승로의 시무28조 또한 고려에 많은 영향을 끼쳤을 테고 그의 이념과 사상을 대표해 주는 또 다른 하나 였을 것이다.
최승로의 정치시상은 한마디로 신라육두품계열의 개혁성과 보수성, 유교적인 중용적 입장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했듯이 필자는 고려초기의 정치적 변동을 최승로로 대표되는 유가적 입장의 귀족정치이데올로기와 쌍기로 대표되는 법가적입장의 중앙집권적 군주전제정치이데올로기의 충돌로 보고 있다.
아이러니컬한 점이지만 최승로는 그가 그렇게 비판을 가했던 광종의 과감한 개혁정치에 도움을 얻은 바가 크다. 개국초기에 신권이 왕권을 압도했던 생황에서 광종이 개국공신계열을 많이 숙정했기때문에 성종대이후 어느 정도 왕권이 자리를 잡아가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시대의 왕권과 고려의 왕권을 비교한다면 고려시대의 왕권이 상당히 미약함을 할 수 있다. 이 이유를 필자는 광종의 개혁이 불완전하게 끝났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성종 대에 광종의 개혁의지를 본받아 이를 꾸준히 추진했다면 고려는 훨씬 안정적인 발전을 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신권을 존중하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군주체제에 있어서 왕권의 확고함이 국가체체의 안정과 직결함은 주지하는 사실인 것이다.
최승로의 정치사상은 고려정치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그 영향은 결국 고려의 유약화를 초래하였다고 본다. 그러므로 최승로에 대한 평가는 다시금 평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일련의 시무책을 시점으로 하여 많은 개혁들은 고려 초기의 미완된 왕권의 안정화를 가져왔고 호족의 세력을 없애고 중앙 집중적인 귀족과 왕권이 어울려지는 지배구조를 만들었다. 이전의 정치의 중심이 지방을 중심으로 한 호족들 난립된 것을 정리하고 귀족정치로 변화가 이루어진 것이다. 시무책은 유교적인 이념을 정치에 도입하였고 고려말기에 일어나는 불교의 많은 폐단을 일찍이 개혁하고자 하였던 점에서 많은 의의가 있고 고려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남겨지지 않은 6조가 아쉽다. 하지만 남겨지지 않은 최승로의 시무28조 또한 고려에 많은 영향을 끼쳤을 테고 그의 이념과 사상을 대표해 주는 또 다른 하나 였을 것이다.
최승로의 정치시상은 한마디로 신라육두품계열의 개혁성과 보수성, 유교적인 중용적 입장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했듯이 필자는 고려초기의 정치적 변동을 최승로로 대표되는 유가적 입장의 귀족정치이데올로기와 쌍기로 대표되는 법가적입장의 중앙집권적 군주전제정치이데올로기의 충돌로 보고 있다.
아이러니컬한 점이지만 최승로는 그가 그렇게 비판을 가했던 광종의 과감한 개혁정치에 도움을 얻은 바가 크다. 개국초기에 신권이 왕권을 압도했던 생황에서 광종이 개국공신계열을 많이 숙정했기때문에 성종대이후 어느 정도 왕권이 자리를 잡아가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시대의 왕권과 고려의 왕권을 비교한다면 고려시대의 왕권이 상당히 미약함을 할 수 있다. 이 이유를 필자는 광종의 개혁이 불완전하게 끝났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성종 대에 광종의 개혁의지를 본받아 이를 꾸준히 추진했다면 고려는 훨씬 안정적인 발전을 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신권을 존중하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군주체제에 있어서 왕권의 확고함이 국가체체의 안정과 직결함은 주지하는 사실인 것이다.
최승로의 정치사상은 고려정치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그 영향은 결국 고려의 유약화를 초래하였다고 본다. 그러므로 최승로에 대한 평가는 다시금 평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