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축구팬들의 실험정신 붉은악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Ⅰ. 서론

1.문제제기--------------------------3
어느 일요일에...
붉은악마에 대해...
2. 팬덤에 대한 새로운 시각 ----------------4
3. 연구방법 및 연구과정 ------------------5

Ⅱ. 본론

1. 미디어에 비친 붉은악마--------------------7
: 붉은악마의 뉴스가치 -From Media-
재미있는 이름
신선한 눈요기
‘붉은악마’로 대변되는 한국의 월드컵 열풍
응원이라도...

2. 축구팬 붉은악마, 그들의 목소리
-From Inside-
2-1. 우리는 축구문화의 변화를 꿈꾼다!-----------14
(1) 유럽축구 수용과 한국축구의 문제점 알아가기
(2) 축구팬의 성숙과정
관심영역 확대하기
조직적인 축구팬되기
거시적으로 축구경기 보기
적극적인 축구팬되기
개방적인 축구팬되기
(3) 우리는 열두번째 선수: 붉은악마가 꿈꾸는 축구문화
소결론
2-2. 우리는 사회의 변화를 꿈꾼다!-------------25
(1) 우리는 축구환경의 개선을 요구한다.
(2) 우리는 현실정치와 자본으로부터의 자유를 원한다.
소결론

Ⅲ. 결론
한국 축구팬들의 실험정신 ‘붉은악마’ -----------32

Ⅳ. 참고문헌--------------------33

본문내용

을 거부하며, 현재의 실력에서 16강진출을 외치는 것도 무리라고 판단한다. 축구경기가 축구의 의미를 넘어서 정치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거부한다.
붉은악마들은 부단한 노력으로 우리사회 주목받는 집단이 되었다. 붉은악마는 기업의 광고출연 제의를 받으며, 미디어에 의해 끝없이 추적 당하고, 건국 50주년 행사에 참여 요청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붉은악마는 이 모든 제안을 거부한다. 그들은 축구 외의 다른 이유로 호출되는 것을 거부한다. 붉은악마는 새로운 축구문화를 제대로 정착시키기 위해 순수한 동아리로 남고자 노력한다.
Ⅲ. 결론
한국 축구팬들의 실험정신 '붉은악마'
이 연구는 축구팬 붉은악마가 보여준 팬덤 현상들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한 시도였다. '붉은악마'는 한국 축구팬들의 실험정신이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들의 실험은 크게 '축구문화의 변화'와 '(축구가 존재하는) 사회의 변화' 두 가지였다. 우리 사회를 상대로 시도한 축구팬들의 실험은 어느 정도 성공했다.
붉은악마 내에는 두 부류의 사람들이 있었다. 한쪽은 축구를 좋아하고 고민한지 오래된 사람들로 그들은 의식적으로 축구 환경과 관전 문화의 변화를 원하고 조직적으로 행동한다. 또 다른 한쪽은 신출내기 축구팬으로 단지 축구를 좋아할 뿐 아직 자신의 의견이 뚜렷하지는 않다. 두 집단은 결국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동질화된다. 첫 번째 집단이 자생적이었다면 두 번째 집단은 통신이라는 매개를 통해 빠른 속도로 변화한다. 축구 팬 붉은악마는 단순히 축구가 좋다는 기호에서 출발해 축구에 대한 정보를 모으는 과정에서 한국 축구의 현실을 보는 안목을 배워가고 대안들을 고민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팬들은 붉은악마라는 팬집단을 만들고 팬의 목소리를 내고 행동으로 그들이 원하는 축구문화를 만들어 간다. 붉은악마가 보여주는 변화를 요구하고 실천하는 자생적이고 자발적인 힘은 그들이 축구를 사랑하는 팬이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또, 그들의 출발점은 축구라는 팬덤 대상이었지만 그들은 축구환경과 축구문화로 관심이 확대되면서 사회 속의 축구를 알게 되고 그들의 관심은 사회로 확대된다.
우리는 팬들의 문화를 그들만의 문화로 생각하고 지극히 개인적인 취향의 문제로 치부한다. 그러나 팬덤현상은 우리의 일상에 보편적인 문화이고 팬들은 팬덤 대상을 통해 자신을 사회 속에서 위치 짓는 기회를 갖는 사회현상이다. 팬들이 보여주는 팬덤 대상에 대한 애정은 그 대상에게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팬덤 대상이 존재하는 사회로까지 확대된다. 더 이상 팬덤은 소외된 자들의 자기만족이거나 사회병리현상으로 다루어 질 수 없다. 팬들은 자신들의 문화를 스스로 만들어 가는 생산성을, 팬덤 대상과 그 환경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능동성을 가지고 있다. 또, 그들이 팬으로서 힘을 모으고 자신들의 실험정신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은 팬 집단이 있기 때문인데, 이런 팬집단은 우리 사회의 대안적 공동체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가능성을, 다양한 분야에서 시민운동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실례이다.
연구를 시작할 때 팬에 대한 교과서적인 정의를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면 '종속적인 집단에서 나타나고, 반복적으로 수용하고, 능동적으로 해석하고, 즐거움과 정체성을 얻고....'류의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복잡한 정의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붉은악마를 보면서 팬에 대한 간단한 정의를 내릴 수 있게 되었다. 축구만 좋아해서는 진정한 축구팬이 아니다. 진정한 축구팬은 축구에 애정을 가져야 하고, 그 애정을 축구가 존재하는 사회 속에서 표현해야 한다. 붉은악마, 그들이 바로 그런 팬들이다.
Ⅳ. 참고문헌
김창남(1998). 대중문화와 스포츠. 대중문화의 이해. 서울:한울아카데미.
김창남(1998). 팬과 매니아. 대중문화의 이해. 서울:한울아카데미.
김형곤(1992). 뮤직비디오 수용자들의 포스트모던 청소년문화에 대한 현장기술지. 서울 대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논문.
양재영(1994). 청소년집단의 대중문화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연예인 팬 클럽의 사례 를 중심으로. 서울대 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임현진 & 정홍익 & 박홍규(1991). 스포츠사화학을 향하여. 스포츠 사회학. 서울: 나남.
이만제(1997). PC통신내 동호회 문화분석. 한국사회와 언론.제 9호.사회언론연구회편.
Fiske. J.(1992). The Cultural Economy of Fandom. The Adoring Audience: Fan Culture and Popular Media. Lewis, L.(ed). New York: Routledge.
Grossberg. L. (1992). Is there a Fan in the House? The Adoring Audience: Fan Culture and Popular Media. Lewis, L.(ed). New York: Routledge.
Jenkins, H. (1992). "Get a Life!". Textual Poachers: Television Fans & Participatory Culture. New York: Routledge.
Jenkins, H. (1992). "In My Weekend-Only World". Textual Poachers: Television Fans & Participatory Culture. New York: Routledge.
Jenkins, H. (1992). How Texts become Real. Textual Poachers: Television Fans & Participatory Culture. New York: Routledge.
Jenson. J. (1992). Fandom as Pathology. The Adoring Audience: Fan Culture and Popular Media. Lewis, L.(ed). New York: Routledge.
Kellner. D.(1995). Media Culture, Cultural Studies, Identity and Political between the Modern and the Postmodern. London: Routledge.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02.12.29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71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