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만찬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 1
A. 연구동기와 목적 ............................................ 1
B.연구방법과 범위 ........................................... 3

Ⅱ.성만찬에 대한 성서와 신학적 고찰 .............................. 4
A. 성만찬의 성서적 근거 ....................................... 5
1. 성만찬의 성서적 중요성 ................................. 5
2. 성만찬의 역사적 기원 ................................... 8
3. 성만찬의 성서적 의미 ...................................3
B.성만찬에 대한 신학적 견해 ................................. 16
1. 가톨릭의 견해 ......................................... 16
2. 종교개혁자들의 견해 ................................... 21

Ⅲ. 성만찬 예전의 실천 ......................................... 30
A. 성만찬의 현대교회의 견해 ................................. 31
1. 감사의 예전으로서의 성만찬 ............................ 31
2. 그리스도와 연합으로서의 성만찬 ......................... 33
3. 회상으로서의 성만찬 ................................... 34
4. 그리스도의 희생제로서의 성만찬 ........................ 36
5. 공동체의 모체로서의 성만찬 ............................ 37
B. 한국 개신교 공예배에 있어서 성만찬의 갱신 ............... 39
1. 개신교 공예배의 문제점 ................................ 39
2. 공예배에 있어서 설교와 성만찬의 균형 회복 ............ 54
3. 성만찬 예전 갱신의 모델 .............................. 59

Ⅳ. 공예배와 예전복 ............................................. 75
A. 예전복의 의미와 기능 .................................... 75
B.예전복의 성서적 고찰 ..................................... 77
1. 구약시대의 예전복 ..................................... 78
2. 신약시대의 예전복 ..................................... 84
C. 현대사회에서의 예전복 .................................... 85
1. 성만찬과 예전복 ........................................ 85
2. 예전복의 필요성 ........................................ 88
D. 개신교회의 공예배에 따른 예전복 모델의 제시 ............... 89
1. 가운 (Gown) ........................................... 90
2. 영대 (Stole) .......................................... 91

Ⅴ. 결 론 ................................................... 93

본문내용

Trypho . The Ante-Nicene Fathers 10
Vols.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75.
Thuriam, Max. Ecumenical Pespectives on Baptism, Eucharist and
Ministry. Geneva:World Council of Churches, 1983.
McCormick, Scott. The Lord's Supper.Philadelphia:The Westminister
Press, 1966.
Brilioth, Y. Eucharistic Faith and Practive Evangelical and
Catholic. London:S.P.C.K., 1953.
Cullman, Oscar. Early Christian Worship. Philadelphia:The
Westminster press, 1953.
Srawley, J. The History of the Liturgy. Cambrige:University
Press, 1947.
Lindgren, A. J. 교회개발론 . 박근원 역.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77.
Skudlarek, William. 예배에 있어서 설교 . 차호원 역. 서울:소망사,
1985.
압바, R. 기독교예배의 원리와 실제 . 허경삼 역. 서울:대한기독교서
회, 1981.
Benton, William. Benton, Helen Hemingway. Publisher, The New
Encyclopedia Britannica, Vol. 17. Chicago, 1943-1973.
Horn, Marilyn J./ Gure, Lois M. The Second Skin. Boston:Moughton
Mifflin Co., 1981.
Slemming, Charles W. 이것이 예복이다 . 가브리엘 출판위원회 역.
서울:가브리엘출판사, 1985.
메튜헨리, 성서주석씨리즈 3 출애굽기. 황장욱 역. 서울:기독교문
사, 1979.
블러쉬, 도널드 G. 목회와 신학 . 오성춘, 최건호 역. 서울:대한예수
교장로회총회출판국, 1992.
The Interpreter's Bible, Vol. II. New York:Abingdon Press, 1951.
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 Vol. III. New York:
Abingdon press, 1962.
Benton, William. Publisher. Encyclopedia Bitannica, Vol. 23.
Chicago, 1963.
Kaspar, Peter Paul. 전례와 표징 . 허인 역. 서울:성바오로출판사,
1989.
- 국 내 서 적 -
박근원. 오늘의 예배론 .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92.
김수확. 개혁파 예배학 . 서울:보문출판사, 1982.
백천기. 공예배의식 갱신에 관한 연구 예배학박사학위논문, 미국훌
러신학대학원, 1984.
이장식. 예배와 성찬의식 . 기독교사상 , 1979.12.
김동수. 예배학 개론 .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67.
정장복. 예배학개론 . 서울:종로서적, 1986.
세계교회협의회 신앙과 직제 위원회. 세례, 성만찬 사역 . 서울:한신
대학출판부, 1982.
김소영. 예배와 생활 .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84.
박은규. 예배의 재발견 .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88.
박근원. 공중예배에 있어서 성찬식의 위치 . 기독교신학총론 I.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77.
김득용. 현대교회 예배학 신강 . 서울:총신대학출판부, 1985.
정용섭. 교회갱신의 신학 .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91.
박형용. 루터와 칼빈의 성례관 비교 . 로고스, V.20. 서울:크리스챤
헤럴드사, 1968.
전경연. 루터신학의 제문제 . 복음총서 11. 서울:기독교서회, 1974.
지원용. 루터와 사상:신학과 교육 . 서울:컨콜디아사, 1982.
이장식. 기독교사상사 . 제2권.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78.
. 기독교 신조사 제1집. 서울:컨콜디아사, 1982.
박근원. 한국교회 성숙론 .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86.
정장복. 리마예식서 . 1990년 교회력에 따른 예배와 설교핸드북 .
서울:흥성사, 1989.
새문안 역사편찬위원회. 새문안교회 70년사 . 서울:새문안교회,1958.
박찬환 외 3인. 어떤 예배를 드릴 것인가 . 기독교사상 . 1979. 2.
정용섭. 예배와 의식 . 세계와 선교 54집. 서울:한국신학대학,
1973.
기독교사상강좌 편찬위원회. 기독교사상강좌 제3집. 서울:대한기독
교서회, 1963.
유동식. 한국종교와 기독교 .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77.
. 한국신학의 광맥 . 서울:전망사, 1982.
김기현. 한국교회의 예배와 생활 . 서울:양서각, 1984.
문상희. 종교란 무엇인가 . 왜관:분도출판사, 1982.
민병소. 한국기독교와 샤머니즘의 이해 . 풀빛목회 . 1982. 3.
이장식. 한국교회의 어제와 오늘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65.
한완상. 무엇을 위한 예배인가 . 기독교사상 . 1972.2.
김재준. 한국재래 종교와 그리스도 . 기독교사상 강좌 제3집.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3.
윤성범. 기독교와 한국사상 .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64.
정성구. 실천신학개론 . 서울:총신대학출판부, 1981.
정용섭. 그리스도교 예배의 신학 . 기독교사상 . 1987. 봄.
정장복. 한국교회 예배 예전형태 백년 . 기독교사상 . 1984. 12.
한완상. 한국교회 이대로 좋은가 .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82.
배동섭. 새예배학 . 서울:중앙문화사, 1983.
류형기. 성서주해 I . 서울:대한기독교감리회 총21편, 1965.
이순애. 한국 기독교 성직자 예전복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1985.
정인찬. 성서대백과 6,7권. 서울:기독지혜사, 1981.
김미사. 사제복의 변천과정과 예전복에 관한 사적 고찰 성심여자대
학교논문 제5집, 1973.
이상근. 신약주해 I . 경북:경북인쇄소, 1966.
교회예규 및 행정규제제정위원회. 사업보고 . 서울:기독교대한성결교
회, 1992.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51페이지
  • 등록일2003.01.04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76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