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목차
I. 서론
A.연구의 동기와 목적
B.연구의 범위와 전제
II. 요한복음의 성만찬에 대한 견해들
A. 극단적 성례전적 견해
B. 반 성례전적 견해
C. 수정 성례전적 견해
D. 피상적 성례전적 견해
III. 요한복음의 역사적 배경과 집필 목적
A. 요한복음의 역사적 배경
1. 영지주의
2. 유대교
B. 원시기독교 예배와 요한복음
1. 기독교 예배의 구성
2. 요한복음과 예배
C. 요한복음의 집필 목적
IV. 요한복음의 성만찬적인 본문 주석
A. 요한복음 6장 26-47절 주석
B. 요약
C. 요한복음 6장 48-58절 주석
D. 요 약
V. 결 론
A.연구의 동기와 목적
B.연구의 범위와 전제
II. 요한복음의 성만찬에 대한 견해들
A. 극단적 성례전적 견해
B. 반 성례전적 견해
C. 수정 성례전적 견해
D. 피상적 성례전적 견해
III. 요한복음의 역사적 배경과 집필 목적
A. 요한복음의 역사적 배경
1. 영지주의
2. 유대교
B. 원시기독교 예배와 요한복음
1. 기독교 예배의 구성
2. 요한복음과 예배
C. 요한복음의 집필 목적
IV. 요한복음의 성만찬적인 본문 주석
A. 요한복음 6장 26-47절 주석
B. 요약
C. 요한복음 6장 48-58절 주석
D. 요 약
V. 결 론
본문내용
분에게 와서 그를 믿고 영접하므로 온전한 연합을 이루는 은유적 표현이다. 이는 요한이 주의 성만찬을 염두에 두고 있었기에 성만찬적 언어를 사용하였다. 성만찬이 그리스도의 희생적 죽음을 예표하고 이것을 기억하며 이로 인하여 하나님과 아들을 믿고 영접한 자 사이에 이루어지는 화목과 교제를 가리킨다는 점에서 이 본문의 내용은 성만찬과 서로 상통한다.
요한은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것과 그 분이 우리를 위하여 대속의 죽음을 죽었다는 것을 믿어 생명을 얻게 하려는 목적과 영지주의와 유대교의 공격을 변증하려는 의도에서 이 모든 것을 가능케 하는 성만찬을 알고 있었다. 그러므로 요한은 성만찬적인 배경에서 그의 복음서를 집필하였다. 따라서 요한복음을 분명하게 이해하여 바르게 해석하기 위해서 성만찬적인 배경을 전제해야 한다.
참 고 도 서
1. 외국서적
Barrett, C.K. The Gospel according to St. John. London : SPCK. 1978.
Brown, R.E. Johannie Sacramentary in New Testament Studies. New York.1908.
_________. New Testament Essays. N.Y.,Doubleday & Comp. 1968.
_________. The Anchor Bible The Gosprl According to John New York : Doubleday & Company Inc. 1983. p.CXVI.
_________. The Gospel According to St.John. New York Doubleday and Co. 1966.
_________.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p.cxi.
Vanderlip. D.G. Christianity according to John. Philadelphia; Westm ins ter Press. 1975.
Dodd, C.H. The Sacramant of Lord's Supper in the New Testmant in Nathaniel Micklm ed, Christian Worship : Studies in its History and Meaning (London : Oxford University Press.
Kysar R. The Fourth Evangelist and His Gospel. Minnesota:Augsburg Publishing House. 1975.
Pollard, T.E. Johannine Christology and the Early Church.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0.
Ruland, V. Sign and Sacrament Interpretation 18. 1984.
Schillebeeks, E. Christ the sacrament of the Encounter with GOD. New York: Sheed and Word. 1963.
2. 역서
Barrett, C.K. 「요한복음」. 한국신학연구소역. 한국:정화인쇄문화사. 1984.
Lindars. B. 「The Gospel of John」. London: Oxford. 1956.
Bultmann, R. 「Das Evangel; des Johannes」. 허 혁역. 요한복음서 연구. 서울 : 성광문화사. 1979. Vol 2.
Cullmann, O. 「원시 기독교 예배」. 이선희 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4.
Guthrie, Donald. 「신약개론」. 나용화.박영호 공역. 서울 : 기독교 문서선교회. 1988.
Henel, I.C. 「폴.틸리히의 그리스도교 사상사」. 송기득 역. 서울:한국신학 연구소. 1986.
Jaubert, A. 「요한복음」. 안병철역. 서울: 카톨릭 출판사. 1988.
Morris, Leon.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 John」. Vol.I. 이상훈역. 서울:생명의 말씀사. 1979.
Schelkle, K.H. 「신약성서입문」. 김영선외 5인 공역. 경북:분도출판사. 1982.
Tenny, Menril.C. 「신약개설」. 김근수역. 서울:기독교 문서선교회. 1985.
Walker, Williston. 「세계 기독교 교회사」. 강근환 외 3인 공역.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87.
던, 제임스. 「신약성서의 통일성과 다양성」. 김득중.이광훈 공역. 서울:나단출판사. 1988.
마틴, 랄프. 「초대교회예배」. 오창윤역. 서울:은성출판사. 1986.
모리스, 레온. 「요한복음」. 이상훈역. 서울:생명의 말씀사.1979.
스몰리, 스티븐 S. 「요한신학」. 김경신역. 서울:풍만출판사. 1987.
3. 한 서
김득중. 「복음서신학」. 서울:컨콜디아서. 1985.
______. 「신약성서개론」. 서울:컨콜디아사. 1986.
이대섭. 초기 기독교의 역사적 배경. 서울:성광문화사. 1986.
이상근. 「요한복음」.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80.
이상훈. 『신약개설』. 서울:종로서적. 1984.
정장복. 『예배학 개론』. 서울:종로서적. 1985.
4. 논문및 Journal
Brooks, O.S."The Johannine Eucharist another interpretation" JBL 83. 1963.
Cacgregor, G.H. "The Eucharist in the Fourth Gospel" N.T.S. 1963.
Smalley, S. "Liturgy and Sacrament in the Fourth Gospel". Evangelical Quarterly 29. 1957.
이상훈. "요한복음서 연구". 연신원 신학세미나 강의집. 「성서와 현대 목회」 제2권. 서울:유니온 학술 자료원. 1982.
길성남. "요한복음의 성만찬 논의". 고신대학 신학대학원 논문집. 1987.
김병학. "요한복음의 성서관". 카톨릭대 논문집. 제5집. 1979.
이대섭. 초기 기독교의 역사적 배경. 서울:성광문화사. 1986.
이상근. 「요한복음」.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80.
요한은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것과 그 분이 우리를 위하여 대속의 죽음을 죽었다는 것을 믿어 생명을 얻게 하려는 목적과 영지주의와 유대교의 공격을 변증하려는 의도에서 이 모든 것을 가능케 하는 성만찬을 알고 있었다. 그러므로 요한은 성만찬적인 배경에서 그의 복음서를 집필하였다. 따라서 요한복음을 분명하게 이해하여 바르게 해석하기 위해서 성만찬적인 배경을 전제해야 한다.
참 고 도 서
1. 외국서적
Barrett, C.K. The Gospel according to St. John. London : SPCK. 1978.
Brown, R.E. Johannie Sacramentary in New Testament Studies. New York.1908.
_________. New Testament Essays. N.Y.,Doubleday & Comp. 1968.
_________. The Anchor Bible The Gosprl According to John New York : Doubleday & Company Inc. 1983. p.CXVI.
_________. The Gospel According to St.John. New York Doubleday and Co. 1966.
_________.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p.cxi.
Vanderlip. D.G. Christianity according to John. Philadelphia; Westm ins ter Press. 1975.
Dodd, C.H. The Sacramant of Lord's Supper in the New Testmant in Nathaniel Micklm ed, Christian Worship : Studies in its History and Meaning (London : Oxford University Press.
Kysar R. The Fourth Evangelist and His Gospel. Minnesota:Augsburg Publishing House. 1975.
Pollard, T.E. Johannine Christology and the Early Church.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0.
Ruland, V. Sign and Sacrament Interpretation 18. 1984.
Schillebeeks, E. Christ the sacrament of the Encounter with GOD. New York: Sheed and Word. 1963.
2. 역서
Barrett, C.K. 「요한복음」. 한국신학연구소역. 한국:정화인쇄문화사. 1984.
Lindars. B. 「The Gospel of John」. London: Oxford. 1956.
Bultmann, R. 「Das Evangel; des Johannes」. 허 혁역. 요한복음서 연구. 서울 : 성광문화사. 1979. Vol 2.
Cullmann, O. 「원시 기독교 예배」. 이선희 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4.
Guthrie, Donald. 「신약개론」. 나용화.박영호 공역. 서울 : 기독교 문서선교회. 1988.
Henel, I.C. 「폴.틸리히의 그리스도교 사상사」. 송기득 역. 서울:한국신학 연구소. 1986.
Jaubert, A. 「요한복음」. 안병철역. 서울: 카톨릭 출판사. 1988.
Morris, Leon.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 John」. Vol.I. 이상훈역. 서울:생명의 말씀사. 1979.
Schelkle, K.H. 「신약성서입문」. 김영선외 5인 공역. 경북:분도출판사. 1982.
Tenny, Menril.C. 「신약개설」. 김근수역. 서울:기독교 문서선교회. 1985.
Walker, Williston. 「세계 기독교 교회사」. 강근환 외 3인 공역.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87.
던, 제임스. 「신약성서의 통일성과 다양성」. 김득중.이광훈 공역. 서울:나단출판사. 1988.
마틴, 랄프. 「초대교회예배」. 오창윤역. 서울:은성출판사. 1986.
모리스, 레온. 「요한복음」. 이상훈역. 서울:생명의 말씀사.1979.
스몰리, 스티븐 S. 「요한신학」. 김경신역. 서울:풍만출판사. 1987.
3. 한 서
김득중. 「복음서신학」. 서울:컨콜디아서. 1985.
______. 「신약성서개론」. 서울:컨콜디아사. 1986.
이대섭. 초기 기독교의 역사적 배경. 서울:성광문화사. 1986.
이상근. 「요한복음」.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80.
이상훈. 『신약개설』. 서울:종로서적. 1984.
정장복. 『예배학 개론』. 서울:종로서적. 1985.
4. 논문및 Journal
Brooks, O.S."The Johannine Eucharist another interpretation" JBL 83. 1963.
Cacgregor, G.H. "The Eucharist in the Fourth Gospel" N.T.S. 1963.
Smalley, S. "Liturgy and Sacrament in the Fourth Gospel". Evangelical Quarterly 29. 1957.
이상훈. "요한복음서 연구". 연신원 신학세미나 강의집. 「성서와 현대 목회」 제2권. 서울:유니온 학술 자료원. 1982.
길성남. "요한복음의 성만찬 논의". 고신대학 신학대학원 논문집. 1987.
김병학. "요한복음의 성서관". 카톨릭대 논문집. 제5집. 1979.
이대섭. 초기 기독교의 역사적 배경. 서울:성광문화사. 1986.
이상근. 「요한복음」.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