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수영의 역사
2. 경영 영법의 발전
⑴ 평영(Breast Stroke)
⑵ 접영(Dolphin Butterfly Stroke)
⑶ 횡영(Side Stroke)
⑷ 트러젼 영법(Trudgeon Stroke)
⑸ 크롤(Crawl Stroke)
⑹ 배영(Back Crawl Stroke)
3. 경영 영법의 특징
⑴ 평영
⑵ 접영
⑶ 횡영
⑷ 크롤
⑸ 배영
2. 경영 영법의 발전
⑴ 평영(Breast Stroke)
⑵ 접영(Dolphin Butterfly Stroke)
⑶ 횡영(Side Stroke)
⑷ 트러젼 영법(Trudgeon Stroke)
⑸ 크롤(Crawl Stroke)
⑹ 배영(Back Crawl Stroke)
3. 경영 영법의 특징
⑴ 평영
⑵ 접영
⑶ 횡영
⑷ 크롤
⑸ 배영
본문내용
어서도 팔꿈 치를 펴고 행하는 것과 굽히고 행하는 2가지 형태는 각각 그 장단 점을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현대 우수 선수가 사용하고 있는 기 법은 팔굼치를 굽히고 당기기와 밀기를 행하고 있다.
3. 경영 영법의 특징
⑴ 평영
① 머리를 수면 위로 내어놓고 수영한다.
경영의 경우에 있어서는 스피들르 내기 위하여 얼굴을 물에 잠 그고 동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단지 호흡을 위해서만 얼굴 을 수면 위로 들어 올리지만 보통 사람들은 항상 얼굴을 수면 위로 내어 놓고 헤엄친다. 그래서 항상 목표를 주시하면서 헤엄 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② 팔이나 다리의 동작이 좌우 대칭으로 동시에 행하여진다.
따라서 다른 영법과 같이 한쪽 팔로 물을 저으면서 반대쪽 팔 을 앞으로 옮긴다든지 휴식시키는 동작은 곤란하게 된다. 그 대 신 진행 코오스가 한쪽으로 구부러지는 경우는 적어진다.
③ 물을 뒤로 밀어 내는 시기는 팔과 다리가 각각 따로따로이며 팔과 다리는 교대로 물을 뒤로 밀어 서로 도움으로써 전진한다. 따라서 팔이나 다리의 긴장 시기와 이완 시기가 명확하다.
④ 진행 속도가 고르지 못하고 팔과 다리의 매회 동작에 따라서 스피드의 빠른 시기와 정체 시기가 나타난다.
⑤ 큰 반작용을 얻기 위해서는 그 준비 자세가 대단히 저항을 크 게 받는 자세가 되어 동작의 효율성에 있어서의 모순점을 내포 하고 있다. 물을 차기 위한 준비 자세로서 다리를 굽히는 동작 은 저항을 크게 받으며 다리의 차기와 동시에 양 팔을 앞쪽으 로 내뻗는 동작이나 유효하게 물을 끌어 당기기 위하여 두 팔 을 물속에서 옆으로 벌리는 동작은 모두가 대단히 저항이 큰 자세인 것이다.
⑵ 접영
① 양 팔과 양 다리로 동시에 물을 젓는다.
다리로 물을 2회 차는 중에서 1회는 팔을 앞으로 뻗는 시기에, 다른 1회는 팔로 물을 끌어당기는 동작과 동시에 행함으로써 강력한 추진력을 낼 수 있다.
② 양 팔을 동시에 수면 위로 들어올려서 이동한다.
물을 뒤로 밀어 보낸 양 팔을 수면 위로 들어올려서 각각 좌 우의 앞쪽으로 옮겨진 다음 다시 물 속으로 들어간다. 이 동작 은 익숙하지 못한 사람, 특히 어깨 관절이 굳은 사람에게는 대 단히 곤란한 동작이므로 몸의 상하 운동을 수반하거나 상체가 수직으로 서게되는 결함을 가져오기 쉽다.
③ 천천히 수영하기가 어렵다.
다른 영법에서는 천천히 헤엄치는 것이 용이하지만, 이 영법에 서는 스피드를 늦추어서 헤엄치게 되면 몸을 가라앉히는 원인 이 되며, 몸이 가라 앉으면 양 팔을 수면 위로 옮기는 동작이 곤란해지고 이에 따라 호흡도 곤란해진다.
④ 1회는 다리 동작만으로, 다른 1회는 다리와 팔이 함께 추진력 을 낸다. 이 점에 있어서 접영은 크롤이나 평영 그리고 횡영과 상이한 리듬을 가지고 있다.
⑶ 횡영
① 머리와 몸을 옆으로 베개를 베듯이 눕히고 발끝쪽이 수면에 가깝게 떠오른 수평에 가까운 자세로 나아가기 때문에, 물의 저항도 적게 받으며, 또한 물결이나 파도의 영향으로 몸이 동 요되는 상태도 적은 반면, 스피드가 빨라지면 몸이 전후 어느 편으로 회전되기 쉽고 발끝이 가라앉는 결점이 있다.
② 호흡이 용이하다. 얼굴을 항상 수면 위에 내어놓으며, 그 위에 약간 후상방을 향한 듯한 자세를 취하기 때문에, 물결이나 파 도가 어느 정도 일어나는 때에도 호흡이 용이하며, 물을 먹게 되는 경우가 비교적 적다.
③ 시야가 옆과 뒤쪽으로 한정되어 있다. 특히 진행 방향이 잘 보 이지 않기 때문에 방향이 삐뚤어진다든지 위험물에 근접하여 있을 경우에도 이를 발견하기 힘든 결함을 가지고 있다.
④ 팔과 다리의 움직임이 좌우 각각 별개의 동작을 행한다. 한쪽 팔은 물을 차는 동작에 협력하지만 다른 쪽 팔은 다리의 동작 과는 별개의 움직임을 행하여 다리 동작을 원만하게 한다.
⑷ 크롤
① 체위의 수평
이 영법에서는 체위가 완전히 수면과 평행한다고는 말할 수 없으나 다른 영법과 비교하여 볼 때 가장 수평에 가까운 자세 이다. 머리의 일부는 수면 위로 나오지만, 평영과 같이 머리 전체를 수면 위에 내어놓을 분의 가라앉음을 방지할 수가 있 다.이와 같은 머리의 수평 위치는 또한 물의 저항을 가장 적게 하는 자세이고, 팔로 물을 저으며 다리로 물을 뒤로 차밀어 냄 으로써 생기는 반작용이 몸의 중추선인 척추와 일치하기 때문 에 가장 효율적으로 작용한다.
② 끊임없는 추진력
팔과 다리를 계속 리드미컬하게 동작하므로 항상 균등한 스피 드로 나아간다. 즉, 물장구치기와 양 팔의 동작에 의하여 항상 몸을 뜨게 하는 한편 계속적인 추진력을 일으킨다.
이는 바꾸어 말하면 다른 영법, 특히 평영이나 횡영 드에서 볼 수 있는 몸의 상하 진동이 없어서 몸이 끊임없이 일직선상으 로 나아가기 때문에 최단거리를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쉴새없이 팔 다리를 움직이는 것은 다른 각도에서 본 다면 팔다리가 휴식할 틈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동작 중의 팔이나 다리에도 힘을 빼고 휴식할 시기가 있고, 또한 수 영의 기술이 진보하여 나아감으로서 근육의 긴장과 이완을 잘 배합하여 피로를 적게 할 수 있으나, 초보자에게는 대단히 어 려운 문제이기 때문에 쉽게 피로하게 된다.
얼굴을 물에 잠그고 몸을 수평 위치로 유지하는 것은 유리한 점도 잇으나 호흡이 자유롭게 되지 못하여 초보자에게는 이 영법이 어렵고 쉽게 피로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호흡 을 행하기 위해서는 얼굴을 옆을 향해 돌리며, 입을 수면 위로 내어 놓고 숨을 들이마시지 않으면 안 되는데, 이에는 어쩔 수 없는 몸의 회전이 다소 수반되며, 따라서 머리의 위치도 높아 지기 쉽다. 이 때문에 저항이 커지고 스피드가 떨어지는 원인 이 되기도 한다.
⑸ 배영
① 배영은 반드시 뒤로 누워뜨기 때문에 항상 얼굴이 수면 위로 나와 있으므로 호흡이 용이하다. 그러나 코로 물이 들어가기 쉬우므로 숨내쉬기는 입을 이용하지 않고 코로 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② 뒤로 전진하기 때문에 진행 방향이 보이지 않아서 지로가 삐 뚤어지기 쉬우며 따라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물체와 충돌 하기 쉽다.
③ 발끝이 거의 수면 위로 나오지 않고 수중에서 이루어지므로 익숙하기 전에는 피로하기 쉽다.
3. 경영 영법의 특징
⑴ 평영
① 머리를 수면 위로 내어놓고 수영한다.
경영의 경우에 있어서는 스피들르 내기 위하여 얼굴을 물에 잠 그고 동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단지 호흡을 위해서만 얼굴 을 수면 위로 들어 올리지만 보통 사람들은 항상 얼굴을 수면 위로 내어 놓고 헤엄친다. 그래서 항상 목표를 주시하면서 헤엄 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② 팔이나 다리의 동작이 좌우 대칭으로 동시에 행하여진다.
따라서 다른 영법과 같이 한쪽 팔로 물을 저으면서 반대쪽 팔 을 앞으로 옮긴다든지 휴식시키는 동작은 곤란하게 된다. 그 대 신 진행 코오스가 한쪽으로 구부러지는 경우는 적어진다.
③ 물을 뒤로 밀어 내는 시기는 팔과 다리가 각각 따로따로이며 팔과 다리는 교대로 물을 뒤로 밀어 서로 도움으로써 전진한다. 따라서 팔이나 다리의 긴장 시기와 이완 시기가 명확하다.
④ 진행 속도가 고르지 못하고 팔과 다리의 매회 동작에 따라서 스피드의 빠른 시기와 정체 시기가 나타난다.
⑤ 큰 반작용을 얻기 위해서는 그 준비 자세가 대단히 저항을 크 게 받는 자세가 되어 동작의 효율성에 있어서의 모순점을 내포 하고 있다. 물을 차기 위한 준비 자세로서 다리를 굽히는 동작 은 저항을 크게 받으며 다리의 차기와 동시에 양 팔을 앞쪽으 로 내뻗는 동작이나 유효하게 물을 끌어 당기기 위하여 두 팔 을 물속에서 옆으로 벌리는 동작은 모두가 대단히 저항이 큰 자세인 것이다.
⑵ 접영
① 양 팔과 양 다리로 동시에 물을 젓는다.
다리로 물을 2회 차는 중에서 1회는 팔을 앞으로 뻗는 시기에, 다른 1회는 팔로 물을 끌어당기는 동작과 동시에 행함으로써 강력한 추진력을 낼 수 있다.
② 양 팔을 동시에 수면 위로 들어올려서 이동한다.
물을 뒤로 밀어 보낸 양 팔을 수면 위로 들어올려서 각각 좌 우의 앞쪽으로 옮겨진 다음 다시 물 속으로 들어간다. 이 동작 은 익숙하지 못한 사람, 특히 어깨 관절이 굳은 사람에게는 대 단히 곤란한 동작이므로 몸의 상하 운동을 수반하거나 상체가 수직으로 서게되는 결함을 가져오기 쉽다.
③ 천천히 수영하기가 어렵다.
다른 영법에서는 천천히 헤엄치는 것이 용이하지만, 이 영법에 서는 스피드를 늦추어서 헤엄치게 되면 몸을 가라앉히는 원인 이 되며, 몸이 가라 앉으면 양 팔을 수면 위로 옮기는 동작이 곤란해지고 이에 따라 호흡도 곤란해진다.
④ 1회는 다리 동작만으로, 다른 1회는 다리와 팔이 함께 추진력 을 낸다. 이 점에 있어서 접영은 크롤이나 평영 그리고 횡영과 상이한 리듬을 가지고 있다.
⑶ 횡영
① 머리와 몸을 옆으로 베개를 베듯이 눕히고 발끝쪽이 수면에 가깝게 떠오른 수평에 가까운 자세로 나아가기 때문에, 물의 저항도 적게 받으며, 또한 물결이나 파도의 영향으로 몸이 동 요되는 상태도 적은 반면, 스피드가 빨라지면 몸이 전후 어느 편으로 회전되기 쉽고 발끝이 가라앉는 결점이 있다.
② 호흡이 용이하다. 얼굴을 항상 수면 위에 내어놓으며, 그 위에 약간 후상방을 향한 듯한 자세를 취하기 때문에, 물결이나 파 도가 어느 정도 일어나는 때에도 호흡이 용이하며, 물을 먹게 되는 경우가 비교적 적다.
③ 시야가 옆과 뒤쪽으로 한정되어 있다. 특히 진행 방향이 잘 보 이지 않기 때문에 방향이 삐뚤어진다든지 위험물에 근접하여 있을 경우에도 이를 발견하기 힘든 결함을 가지고 있다.
④ 팔과 다리의 움직임이 좌우 각각 별개의 동작을 행한다. 한쪽 팔은 물을 차는 동작에 협력하지만 다른 쪽 팔은 다리의 동작 과는 별개의 움직임을 행하여 다리 동작을 원만하게 한다.
⑷ 크롤
① 체위의 수평
이 영법에서는 체위가 완전히 수면과 평행한다고는 말할 수 없으나 다른 영법과 비교하여 볼 때 가장 수평에 가까운 자세 이다. 머리의 일부는 수면 위로 나오지만, 평영과 같이 머리 전체를 수면 위에 내어놓을 분의 가라앉음을 방지할 수가 있 다.이와 같은 머리의 수평 위치는 또한 물의 저항을 가장 적게 하는 자세이고, 팔로 물을 저으며 다리로 물을 뒤로 차밀어 냄 으로써 생기는 반작용이 몸의 중추선인 척추와 일치하기 때문 에 가장 효율적으로 작용한다.
② 끊임없는 추진력
팔과 다리를 계속 리드미컬하게 동작하므로 항상 균등한 스피 드로 나아간다. 즉, 물장구치기와 양 팔의 동작에 의하여 항상 몸을 뜨게 하는 한편 계속적인 추진력을 일으킨다.
이는 바꾸어 말하면 다른 영법, 특히 평영이나 횡영 드에서 볼 수 있는 몸의 상하 진동이 없어서 몸이 끊임없이 일직선상으 로 나아가기 때문에 최단거리를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쉴새없이 팔 다리를 움직이는 것은 다른 각도에서 본 다면 팔다리가 휴식할 틈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동작 중의 팔이나 다리에도 힘을 빼고 휴식할 시기가 있고, 또한 수 영의 기술이 진보하여 나아감으로서 근육의 긴장과 이완을 잘 배합하여 피로를 적게 할 수 있으나, 초보자에게는 대단히 어 려운 문제이기 때문에 쉽게 피로하게 된다.
얼굴을 물에 잠그고 몸을 수평 위치로 유지하는 것은 유리한 점도 잇으나 호흡이 자유롭게 되지 못하여 초보자에게는 이 영법이 어렵고 쉽게 피로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호흡 을 행하기 위해서는 얼굴을 옆을 향해 돌리며, 입을 수면 위로 내어 놓고 숨을 들이마시지 않으면 안 되는데, 이에는 어쩔 수 없는 몸의 회전이 다소 수반되며, 따라서 머리의 위치도 높아 지기 쉽다. 이 때문에 저항이 커지고 스피드가 떨어지는 원인 이 되기도 한다.
⑸ 배영
① 배영은 반드시 뒤로 누워뜨기 때문에 항상 얼굴이 수면 위로 나와 있으므로 호흡이 용이하다. 그러나 코로 물이 들어가기 쉬우므로 숨내쉬기는 입을 이용하지 않고 코로 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② 뒤로 전진하기 때문에 진행 방향이 보이지 않아서 지로가 삐 뚤어지기 쉬우며 따라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물체와 충돌 하기 쉽다.
③ 발끝이 거의 수면 위로 나오지 않고 수중에서 이루어지므로 익숙하기 전에는 피로하기 쉽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