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경영과 작업현장 혁신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참여경영의 정의와 접근의 틀

Ⅲ. 선진국의 생산시스템 혁신과 참여경영 모델의 비교

Ⅳ. 한국기업의 참여경영 실태

Ⅴ. 한국식 경영과 경영합리화, 참여경영의 한계

Ⅵ. 참여경영을 가로막는 요인들과 제도개혁

본문내용

회』, 1994년 여름.
이병남. 1994. 「미국노동법 개혁추진의 현황과 한국노동정책에 주는 시사점」,『노사 관계연구』, 제4권,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노사관계연구소.
이영희. 1994. 『포드주의와 포스트 포드주의』, 서울: 한울.
임영일. 1995. 「산별노조 조직화의 방향과 과제」, 『산업노동연구』, 1권 1호.
전병유. 1994. 『도요타』, 서울: 길벗.
정명기. 1995. 「시스템적 합리화론과 노동의 문제」, 『산업노동연구』, 1권 1호.
정승국. 1995. 「유연적 생산을 향한 기술과 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최종태. 1991. 「경영자의 경영참가」, 한국노사발전연구원 세미나 자료집.
한국노총 정책연구실. 1990. 90년대 노동정책 방향, 서울; 한국 노동조합 총연맹.
한국전산원. 1995. 『국가정보화백서』.
허명구. 1995. 『노동법을 아는 사전』, 서울: 돌베개.
野村正實, 1993. 『熟練と分業』, 御茶の水書房.
<그림 1> 조직 혁신의 도입과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행위자들간의
관계 개념도
기업의 지배구조 정부 정책 제도적 하부구조
↘ ↓ ↙
+-------------------------------------------------------------------------+
| +-----------+ |
| | 시장조건 | |
| | 기술변동 | |
| |생산시스템 | |
| +-----------+ 경영의 선택 |
| ↘ ↙ |
| ↓ 확산 및 |
| 도입 -------------------> 지속 가능성 |
| ↑ |
| ↗ ↖ |
| +-----------+ 노조/노동자의 선택 |
| | 경쟁전략 | |
| | 경영가치 | |
| | 권력구조 | |
| +-----------+ |
+-------------------------------------------------------------------------+
<주요 코멘트들>
- 연구의 논지와 실태 분석이 전체적으로 따로 놀고 있는 느낌을 주고 있음. 사례 연구 부분에서 노조의 어떤 특성이 경영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해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참여경영과 관련한 \'best practice\'를 찾아내기 위한 노력이 보완되어져야 할 것임.
- 정책적 함의 부분이 지나치게 거시적 수준에서 정리되고 있음.
- 앞으로 한국에서의 구체적인 참여경영 프로그램과 모델을 제시해 줄 수 있도록 연구를 발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
- 이와 관련하여 \'ideal communication\' 모델을 생각해 보는 것은 어떠할지.
- 한국에서 기업들의 참여경영에 대한 관점: HRM을 중심으로 한 참여이지, 노조의 empowerment를 통한 labor empowerment 모델은 아니라 할 수 있음. 노조의 입장에서는 labor empowerment를 통한 참여을 모델을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것임.
.... 어떤 조직이든 조직에는 그 조직의 \'core resource\'가 존재함. ..이 핵심 자원을 둘러싸고 노사간의 의사결정 과정에 어떤 단위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작용하게 되는지를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됨. ...노조가 이에 접근하려 할 때 이에 대한 \'managerial resistance\'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볼 필요가 있음.
- 노조의 전략과 관련하여 \'solidarity with flexibility\' 전략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임. ...이와 함께 참여경영을 가능케 하는 노조의 조직 문제가 정리되어야 할 것임. 노조의 조직 변화 부분이 보강되었으면 좋겠음.
- 정부의 정책이 우리나라의 참여경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도 함의를 제시해 주기 바람.
- 새로운 연구 주제: \'the Politics of Work Reogranization in Korea\'...앞으로 정리해 볼 것....지금까지 한국의 노동문제, 노사관계에 대한 연구는 주로 임금/근로조건 등에 관련된 문제들을 다루어 왔음. ... 이 과정에서 작업현장 수준에서 노사의 핵심적인 \'core resource\'를 둘러싼 갈등과 대립에 대한 연구는 별로 없었음. ....그러낮 최근의 작업 현장은 임금 이외의 이른 바 잔여적 문제 영역들이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특히 작업 현장의 재조직화와 노동과정에서의 각축적 교환 문제가 중요한 비중을 점하게 될 것임.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만들어짐.
- 참여적 교환 모델의 이론화: 경영의 입장에서 볼 때 이들의 \'core resource\' 는 \'경영권\'이라 할 수 있음. 이 경영권은 경영의 다양한 기능들이 모여있는 것. 예를 들어 소유권, 집행권, 감시권, 명령권 등..우리는 이를 \'기능적 경영권\'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임.
(P) = a+b+c+d....
노동자들의 입장에서 볼 때 노동자들이 보유하는 \'core resource\'는 숙련, 품질, 생산성.. 혹은 기타 기능들이 있는데...이 역시 경영권과 유사한 \'노동권\'으로 파악됨...
(L) = a+b+c+d....
작업 현장에서는 일상적 수준에서 양자간의 각축적 교환이 일어나고 있음. 즉 경영자들은 L이 제공할 수 있는 핵심 자원들을 극대화하는 데, 노동자들은 P의 권한을 제한하거나, 이 권한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데 관심이 있음...
그런데 지금까지 주된 교환의 내용은 임금, 근로조건과 양적 생산성의 문제였음. 그러나 이제 새로운 상황에서 양자의 교환 내용은 극히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것으로 변모하고 있고, 이 과정에서 어떠한 교환이 이루어지는가, 그리고 그 교환의 결과가 어떠한 변화를 작업 현장에서 만들어내고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을 것임.
참여경영 모델은 ...특히 최근의 모델은 노동자들의 입장에서 \'품질\'과 \'생산성\'을 제공하는 대신, 경영자들은 노동자들에게 경영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겠음....이것을 우리는 일종의 참여적 교환 모델이라 부를 수 있음.
그렇다면 이와 같은 참여적 교환 모델은 양자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고찰해 보아야 할 것임.

추천자료

  • 가격500
  • 페이지수64페이지
  • 등록일2003.01.18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93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